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stimates to Longevity Population of Small Area and Distribution Patterns using Vector based Dasymetric Mapping Method

벡터기반 대시매트릭 기법을 이용한 소지역 장수인구 추정 및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 최돈정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김영섭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서용철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08.31
  • Accepted : 2011.09.28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A number of case studies that find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he spatial data fusion using GIS techniques are growing. The majority cases of these studies are adopt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y data for the spatial analysis. However, these methods cannot fully explain the phenomenon of longevity because there are a variety of spati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refore, studies of spatial unit are required that realistically reflect the phenomenon of human longevity.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enables to product of spatial unit more realistic than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y map and statistic estimates of small area utilizing diversity spat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elderly population of small area has been estimated with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at applied the vector based dasymetric mapping method. Also, the cluste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variation of local spatial relationship within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y.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need for local-level studies of the human longevity and the validity of the dashmetric mapping techniques.

GIS기법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간의 융합을 통한 지역적 장수인구의 분포와 영향요인을 밝혀내는 연구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들은 분석의 공간단위로써 센서스 행정구역을 채택한다. 그러나 센서스 구역 안에서도 공간적 특징의 다양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장수현상을 충분히 설명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장수라는 현상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공간단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시매트릭 기법은 다양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센서스 행정경계 보다 현실적인 공간단위의 재구성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소지역의 통계량 추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벡터기반 건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시매트릭 매핑기법을 응용하여 소지역 노인인구 수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안에서 재구성 하였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센서스 행정경계안에 존재하는 국지적인 공간 영향관계의 변이를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지적 수준의 장수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대시매트릭 기법의 응용이 유효한 방법론임을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인 (2002), 백 살 이상 장수노인의 거주 지역에 대한사회 환경요인, 한국노년학회지, 한국노년학회 제 21권,제 3호 pp. 157-168.
  2. 김종인 (2007), 백세인의 지역별 장수지표와 사회 환경요인의 영향력, 한국노년학회지, 한국노년학회 제 27권 제3호, pp. 635-647.
  3. 김형태, 안재성, 김상욱 (2008), GIS기반 다기준 의사결정분석을 위한 평가기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6권, 제3, 호, pp. 21-28.
  4. 김화환, 최진무 (2011), 원격탐사 자료를 바탕으로 인구밀도 분포 작성을 위한 하이브리드 대시매트릭 지도법,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한국지리학회, Vol. 46, No. 1, pp. 67-80
  5. 박삼옥, 정은진, 송경언 (2005), 한국 장수도 변화의 공간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한국지역지리학회, 제 11권, 제 2호, pp. 187-210.
  6. 박삼옥 (2007), 한국의 장수인과 장수지역,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 42권, 제 4호, pp. 666-667.
  7. 신정엽 (2004), 지역자료의 공간단위 재구성 기법 및 에러검증: 인구가중치 내삽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한국지역지리학회, 제 10권, 제 2호, pp. 389-406.
  8. 이병길 (2006), 밀도구분도 매핑을 이용한 통계정보 공간내삽의 유효성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4권 제 4호, pp. 343-350.
  9. 이상일, 김감영 (2007), GIS-기반 대시매트릭 매핑기법을이용한 서울시 인구밀도분포의 재현, 한국지도학회지,한국지도학회, 제 7권, 제 2호, pp. 53-67.
  10. 이정재 (2002),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장수지역의 공간적 분석, 한국의 백세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1-25.
  11. 전병운 (2006), 도시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화소기반기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 9권,제 3호, pp. 146-155.
  12. 정남수, 이정재, 김한중, 이지민, 서 교,이호재 (2003), 노령화사회에 대비한 농촌지역 장수도의 정의 및 장수지역기준마련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한국농촌계획학회,제 9권, 제 3호, pp. 35-39.
  13. 한이철, 이정재, 정남수 (2005.), 장수와 환경 생태학적 특성, 한국노화학회지, 한국노화학회, 제 15권, 제 3호, pp.76-82.
  14. Gregory, I., 2002, The accuracy of areal interpolation techniques: standardizing $19^{th}$ and $20^{th}$ century census data to allow long-term comparison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26, pp. 293-314. https://doi.org/10.1016/S0198-9715(01)00013-8
  15. Sadahiro, Y., 2000, Accuracy of count data transferred through the areal weighting interpolation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nation Science, Vol. 14, No. 1.pp 25-50.
  16. Wright, J, K, 1936, A method of mapping densities of population with Cape Cod as an example, Geographical Review, Vol. 26, pp. 103-110. https://doi.org/10.2307/209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