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호

Search Result 1,24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인공위성 시스템

  • Jang, Yeong Geun
    • Aerospace Industry
    • /
    • v.58
    • /
    • pp.25-31
    • /
    • 1997
  • "인공위성 시스템" 기획연재의 첫 번째로 지난 호에서는 인공위성의 기본 비행원리와 개발역사를 살펴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인공위성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리고 위성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 PDF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erms of Size Dimension on Multi-Purpose Korean Dam Reservoir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Gradients (우리나라 다목적댐 인공호들의 규모에 따른 연별.계절별 수질변이 및 상.하류간 종적구배 특성)

  • Han, Jeong-Ho;Lee, Ji-Yeoun;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3 no.2
    • /
    • pp.319-337
    • /
    • 2010
  •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nterannual and seasonal water quality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gradients along the reservoir axis of the riverine zone (Rz)-to-lacustrine zone (Lz). Water quality dataset of five years during 2003~2007 used here were obtained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nd te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 the study. Similarity analysis, based on moropho-hydrological variables of reservoir surface area, watershed area, total inflow, and outflow, showed that the reservoirs were categorized as three groups of large-dam reservoirs (Chungju Reservoir, Daecheong Reservoir and Soyang Reservoir), mid-size reservoirs (Andong Reservoir, Yongdam Reservoir, Juam Reservoir and Hapcheon Reservoir), and small-size reservoirs (Hoengseong Reservoir and Buan Reservoir). According to the data comparison of high-flow year (2003) vs. lowflow year (2005), dissolved oxygen (DO), pH,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suspended solids (SS),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chlorophyll-a (CH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declin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Rz to Lz and water transparency, based on Secchi depth (SD), increased along the ax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ansparency was a function of Values of pH, DO, SS, SD, and EC at each site were greater in the low-flow year (2005) than the high-flow year (2003), whereas values of BOD, COD, TN, TP and CHL were greater in the high-flow year (2003). When values of TN, TP, CHL and SD in nine reservoirs were compared in the three zones of Rz, Tz, and Lz, values of TN, TP and CHL declined along longitudinal gradients and SD showed the opposite due to the sedimentation processes from the water column. Values of TN were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P values. The empirical linear models of TP-CHL and CHL-SD showed significant (p<0.05, $R^2$>0.04). In the mid-size reservoirs, the variation of CHL was explained ($R^2$=0.2401, p<0.0001, n=239) by the variation of TP. The affinitie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id-size reservoirs were greater in the CHL-SD model than any other empirical models, and the CHL-SD model had an inverse relations. In the meantime, water quality variations was evidently greater in Daecheong Reservoir than two reservoirs of Andong Reservoir and Hoengseong Reservoir as a result of large differences of water quality by long distance among Rz, Tz and Lz.

Studies on the Adsorption of Coloring Food Additives (식품(食品) 착색제(着色劑)의 흡착(吸着)에 관(關)한 연구(硏究))

  • Park, Hong-Koo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0 no.3
    • /
    • pp.201-209
    • /
    • 1987
  • Solutions of food colorants were tested with insoluble drugs (kaolin, active carbon, talc, natural aluminum silicate) for their adsorption phenomena in purified water, gastric and intestinal fluid test solutions, respectively. The adsorption isotherms of kaolin with Red 2 in purified water, and active carbon with Red 2, 3, 40 in the three media, with Yellow 4 in purified water, gastric fluid, with Yellow 5 in intestinal fluid and natural aluminum silicate with Red 3 in purified water, intestinal fluid, with Yellow 4, 5 in purified water followed the Freundlich equation, and those of talc with Red 2, 3, Yellow 5 in the three media, with Red 40 in purified water, gastric fluid, with Yellow 4 in intestinal fluid fitted the Langmuir equation. With decrease of the alcohol content of aqueous solutions, the adsorption of coloring food additives is increased, but it decreased in high temperature. Also the activation energy of adsorption of coloring food additives by active carbon was determined.

  • PDF

A Laboratory Study on Erosional Properties of Fine Cohesive Sediments from Saemankeum Artificial Lake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Hwang, Kyu-Nam;Kim, Hyun-Min;Ahn, Ik-J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5
    • /
    • pp.473-48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erosional properties for cohesive sediment from Saemankeum artificial lake. A series of erosion tests were conducted with Chonbuk annular flume, which is the first one constructed in this country and verified with validities. Each erosion tests were conducted under a uniform bed condition but a different bed density respectively, and its critical shear stress for erosion(${\tau}_{ce}$) as well as the erosion rate coefficient (${\varepsilon}_M$) were determined quantitatively. Since the erosional properties of the cohesive sediments vary largely depending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properties of Saemankeum sediments were also estimated and their effects on the erosion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Saemankeum sediments, it can be seen that ${\tau}_{ce}$ increases from $0.26N/m^2$ to $0.52N/m^2$ and ${\varepsilon}_M$ decreases exponentially from $14.28mg/cm^2\;hr$ to $6.02mg/cm^2\;hr$, as the bed density varies from $1.17g/cm^3$ to $1.34g/cm^3$. The erosional parameters of Saemankeum sediments are found to be remarkably different in quantity as compared with those for cohesive sediments from other sites. Particularly, ${\tau}_{ce}$ for Saemankeum sediments is known to be larger than that of Kunsan sediments but similar with that of Shihwa sediments, while ${\varepsilon}_M$ for Saemankeum sediments is shown to be smaller than that for Kunsan sediments.

우리별 3호의 이상현상 분석 및 과학위성 1호 개발 시 문제점 보완

  • 김경희;신근수;이준호;남명용;임종태;정태진;정연황;박성동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57-57
    • /
    • 2003
  • 우리별 3호는 1996년 5월 26일 발사하여 2002년 12월까지 수명 초과에 따른 성능 하락으로 임무 수행을 마칠 때까지 설계 예상 수명 3년을 초과하여 약 3년 7개월 동안 운용되었다. 인공위성은 운용 되는 동안 종종 예측하지 못한 이상현상을 겪는다. 이러한 이상현상은 인공위성의 임무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며 심지어는 인공위성의 작동을 완전히 불가능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이상현상 발생은 매년 수백 건씩 기록되고 있으며 인공위성 시스템이 복잡해짐에 따라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공위성에서 발생하는 이상현상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며 시스템 설계 오류, 제작 오류, 운용 오류, 우주환경이 끼치는 영향 등이 있다. 우리별 3호 또한 운용 동안 발생한 이상현상으로 임무를 제한적으로 수행하기도 하였다. 인공위성에서 발생한 이상현상을 분석 및 해결함으로서 임무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분석 경험과 축적된 자료를 통해서 이상현상을 예측 및 대비할 수 있고 위성의 성능과 수명 평가의 지표로 삼을 수 있으며 위성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향 후 향상된 위성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궤도상에서 발생한 이상현상을 각 서브시스템 별로 임무 수행에 끼치는 영향, 위성체에 미치는 영향, 발생원인, 이상현상 종류, 처리 방법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고 그 분석 결과를 과학위성 1호 개발 시 문제점 보완에 적용한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호소의 부영양화 및 관리

  • 공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1994.05a
    • /
    • pp.51-53
    • /
    • 1994
  • 담수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섭취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직접, 간접적으로 물과 관련되지 않고서는 생활할 수 없다. 지구 표면의 약 70%가 물로서 덮여 있다고는 하지만 인간의 생활에 직접적인 이용가치가 있는 담수(지표수)는 전체 물의 용적의 2%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로서 세계 연평균 강수량인 970mm보다 많은 편이나 인구 1인당 연간 강수량은 약 3,000m3으로서 세계 평균인 34,000m3의 11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수자원총량중 지하침투와 증발에 의해 손실되는 양을 제외한 하천유출량은 전체의 55%인 697억m3으로서 이것이 곧 가용수자원량이다. 그러나 하절기 강우집중도가 높은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가용수자뭔량중 수자원총량의 37%가 홍수시 유출되고 실제 이용량은 수자원총량의 18%인 230억m3에 불과하여 인구증가와 함께 수자원의 가치가 더욱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지하수 이용량은 19억m3에 불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실제 이응수자 원량의 90% 이상을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약 40%가 호소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자원 이용효율의 취약성으로 인해 제한된 수자원 용량과 생활 및 농공용수의 과수요에 따른 불균형으로 근래 많은 하천이 갈수기나 평수기시 친천화되어 가고 있어 수중생태계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산업발달과 함께 수질오염원은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증가일로에 있어 기존의 유기 및 중금속 오염물질을 포함해 수많은 신생 유기화합물질이 수계에 유출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질소 및 인으로 대표되는 영양물질의 유입과다로 국내 대다수의 호수가 부영양화의 새로운 위협에 직 면해 있다. 우리나라에는 적은 유입유량에 큰 저수용량 및 긴 체류시간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자연호는 없으며, 대부분이 매단위 강을 막아 형성된 체류시간 1년 이하의 인공호로서 그 중 안동호, 충주호, 대청호 등은 비교적 체류시간이 긴 호소형 인공호로, 팔당호나 기타 대부분의 호수는 체류시간이 짧은 하천형 인공호로 대별된다(Table 1). 이처럼 국내 호소는 국외의 자연 호와는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짐에 따라 부영양화 특성 역시 매우 상이하고, 호소형 인공호와 하천형 인공호간의 차이 역시 현저하여 일률적인 관리대책을 설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또한 각 호수의 유역특성이 상이함에 따라 호수별로 유역 오염원의 오염부하율이 현저히 달라(Table 2) 호수에 따른 특성적인 유역관리(Lake-specific management)가 요구되고 있다 정상상태(Steady state)가 아닌 국내 호소에 대해 국외 자연호의 인단순모델 (Simple phosphorus budget model)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 다소 무리한 점이 따르나, 평균적인 개념으로 OECD의 유역부하량 및 호소특성에 따른 부영양화 판정모델을 적용한다면, 국내 주요 호수는 모두 부영양 수준에 있다. 또 각 호수별로 부영양화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인의 삭감부하량은 상당량이 되어 현실적으로 관리가 이미 어려운 실정에 와 있다. 호수의 부영양화는 조류 발생으로 이어지며, 그에 따른 폐해는 각종 형태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이취미 발생이나 유해조류에 의한 독성물질의 배출, 정수처리 과정의 THM 발생등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호수의 구조적 특성별 부영양화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영향 및 관리방안에 관한 종합적 고찰이 차후 수질관리를 위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납조류로 대표되는 유해조류의 독성영향에 관한 연구는 시급한 실정에 있다.

  • PDF

Toxicity Evaluation of Surface Waters from Artificial Lakes(Shihwa, Asan, Busa) and Mankyung River using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Sperm and Embryo (둥근성게 (Strongylocentrotus nudus) 정자와 수정란을 이용한 인공 호수(시화, 아산, 부사)및 만경강 표층수의 독성 평가)

  • Lee Chang-Hoon;Choi Jin-Wo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8 no.4
    • /
    • pp.277-285
    • /
    • 2003
  • 연안의 방조제 건설은 하천수와 바다물의 교환을 인위적으로 차단하고, 방조제 내부에는 호수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인공호수의 수질은 호수로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인공호수의 수질이 악화되면 인근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공호수의 물이 바다로 방류될 때 해양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방조제 건설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시화호, 아산호, 부사호와, 현재 건설중인 새만금 방조제로 인하여 형성될 호수의 유입 하천인 만경강에서 표층수를 채수하여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의 정자와 수정란을 이용한 생물 검정을 실시하였다. 담수호의 수질을 해양생물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료의 염분을 조절하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자를 이용한 수정 실험 결과, 시화호에서는 수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아산호와 부사호에서는 약간의 영향이 있었으나 그 정도는 미약하였다. 반면, 만경강의 경우 수정률의 저해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수정란을 이용한 발생 실험 결과, 시화호, 아산호, 부사호에서는 약간의 영향이 나타난 반면, 만경강의 경우는 매우 큰 영향이 나타났다. 이들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시화호, 아산호, 부사호의 수질은 대체로 양호하나, 만경강의 수질은 크게 우려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앞으로 건설될 새만금 호수와 인근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만경강의 수질 개선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s an Exotic Species, in Some Medium-to-Large Size Korean Reservoirs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Habitats (국내 중대형 인공호에서 외래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의 분포 특성 및 서식지의 이화학적 수질)

  • Kim, Hyun-Mac;Kil, Ji-Hyon;Lee, Eui-Haeng;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4
    • /
    • pp.541-550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as an exotic species in relation to water chemistr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10 reservoirs in Korea that showed different properties in size, location and eutrophic state.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observed in the artificial reservoirs was 52 (13 family)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bass was 13% of the total, which is the third dominant species in the whole sample. The relative abundance of bass was the highest in the Pyungtak reservoir (60%), whereas the Daechung reservoir showed the lowest abundance (only 3%). Although no significance difference statistically were found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s abundance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reservoir trophic state showed some relationships. As result, the higher abundance was observed in hypertrophic reservoirs that located in the esturine regions compared to other large and medium reservoirs classified as meso- or eutrphic state. In conclusion, bass distribution in the reservoir ecosystem can not be directly explained by water chemistry only but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연구실 탐방-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 Ha, Jeong-Sil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4 s.311
    • /
    • pp.82-83
    • /
    • 1995
  • 「우리별」1,2호에 성공적 발사로 우리도 인공위성국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최순달 소장을 중심으로 「우리별3호」제작준비에 바쁜 연구실장을 찾아가 본다.

  • PDF

Soaking Effects of Brassinosteroids on Germination of Rice Under Simulated Acid Rain (인공산성비에 의한 볍씨발아 장해경감에 대한 Brassinosteroids의 처리효과)

  • Kim, Sang-Kuk;Choi, Chung-Don;Lee, Seong-Phil;Lee, Sang-Chul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2 no.1
    • /
    • pp.57-61
    • /
    • 1999
  • This study measured the soaking effects of two brassinosteroids(BRs), homobrassinolide(hBR : 225, 23S-homobrassinolide) and epibrassinolide(epiBR : 22R, 23R. 24R-$2{\alpha}$, $3{\alpha}$, 22, 23-Tetrahydroxy-B-homo-7-oxa-$5{\alpha}$-ergostan-6-one) on the germination of two rice cultivars, 'Milyang 23' and 'Naepungbyeo' exposed to simulated acid rain(SAR). The results suggested that promoting effect of two BRs on alleviating damage to SAR would be attributed to the promotion of plant growth, root elongation, and particularly germination rate of both cultivars. Eight organic acids were determined by HPLC. Succinic acid acetic acid in 'Milyang 23' under SAR were highest among eight organic aci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