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Feelings and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감정, 수용의도 관계에서 위험인식의 매개 및 조절효과 분석)

  • Hwang, SeoI;Nam, Young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350-358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feelings and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Subjects in their teens to forties were surveyed and the final sample comprised 1,969 sub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Medi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people's knowledge and feelings towards AI affected their acceptance intention of AI.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erceived risks of AI partially mediated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elings and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moderated but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s perceived risks of AI are associated more strongly with their feelings towards AI than their knowledge towards AI.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creasing general population's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The Role of Confidence in Government i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수용의도에서 정부신뢰의 역할)

  • Hwang, SeoI;Nam, YoungJ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8
    • /
    • pp.217-22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mplications for government policy aimed at increasing public's intention to accept AI. Knowledge regarding AI and feelings regarding AI were found to influence acceptance to intention towards AI.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explore the moderation effect of confidence in government on knowledge and feelings regarding AI. Results showed that as advanced knowledge regarding AI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negative feelings regarding AI has a nega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Feelings regarding AI had the highest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followed by confidence in government and knowledge regarding AI. Results also revealed that a high level of confidence in government regulations was associated with greater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a low level of confidence in government regulations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was more influenced by feelings regarding AI than by knowledge regarding AI. Furthermore, relig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which provides one insightful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Design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Based on the Ontology of Procedural Knowledge (절차 지식 온톨로지 기반 지능형 교수 시스템 설계)

  • Yu, Jeong-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71-75
    • /
    • 2007
  • 오늘날 지능형 교수 시스템은 과거와는 달리 전문영역 지식, 학습자 지식과 융통적인 개별 학습과 개인교수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이 사용되고 있다. 학습자들이 배웠던 내용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가르칠 도메인 지식을 전문영역 지식으로 표현한다. 교수법 모듈은 학습을 제어하거나 가르치기 위한 모든 결정을 한다. 학생 모형은 학습자의 지식을 기술하고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특정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교수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학습자 모형의 지식을 기존의 인공지능에서의 지식 표현 기법인 생성 시스템의 절차 지식을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 PDF

OK-KGD:Open-domain Korean Knowledge Grounded Dialogue Dataset (OK-KGD:오픈 도메인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 구축)

  • Seona Moon;San Kim;Jinyea Jang;Minyoung Jeung;Saim Sh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42-345
    • /
    • 2023
  • 최근 자연어처리 연구 중 오픈 도메인 지식 기반 대화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연구를 위해서는 오픈 도메인 환경을 갖추고 적절한 지식을 사용한 대화 데이터셋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오픈 도메인 환경을 갖춘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은 존재하지 않아 한국어가 아닌 데이터셋을 한국어로 기계번역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를 사용할 경우 두 가지 단점이 존재한다. 먼저 사용된 지식이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한국인이 쉽게 알 수 없는 대화 내용이 담겨있다. 그리고 번역체가 남아있어 대화가 자연스럽지 않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스러운 대화체와 대화 내용을 담기 위해 새로운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오픈 도메인 환경 구축을 위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의 지식을 사용하였고 사용자와 시스템의 발화로 이루어진 1,773개의 대화 세트를 구축하였다. 시스템 발화는 크게 지식을 사용한 발화, 사용자 질문에 대한 답을 주지 못한 발화, 그리고 지식이 포함되지 않은 발화 3가지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셋을 통해 KE-T5와 Long-KE-T5를 사용하여 간단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

Evidence Extraction Method for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Model using Recursive Neural Network Decoder (디코더를 활용한 기계독해 모델의 근거 추출 방법)

  • Kyubeen Han;Youngjin Jang;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09-614
    • /
    • 2023
  • 최근 인공지능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문 지식에 특화된 분야(질병 진단, 법률, 교육 등)에도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전문 지식 분야는 정확한 판단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인공지능 모델의 결정에 대한 근거나 해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연구인 XAI가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착안해 본 논문에서는 기계독해 프레임워크에 순환 신경망 디코더를 활용하여 정답 뿐만 아니라 예측에 대한 근거를 추출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모델의 예측 답변이 근거 문장 내 등장하는지에 대한 실험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모델이 추론 과정에서 예측 근거 문장을 기반으로 정답을 추론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of SW Universities (SW중심대학의 인공지능 교육과정 현황분석)

  • Woo, HoSung;Lee, HyunJeong;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3 no.2
    • /
    • pp.13-20
    • /
    • 2020
  • The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s due to an increase in influence on companies, organizations, daily lives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 elements in the teaching subj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subjects of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e intelligent system area of Computer Science 2013 in term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five out of nine universities that run the required courses. Based on the 12 detailed knowledge domains of intelligent systems, the compulsory subjects of universities are distributed in the field of basic search theory, basic knowledge expression and reasoning, and inference based on uncertainty. The elective courses of each university covered topics in five to eight areas of the total knowledge area of the intelligent system, with 69.9 percent of universities with the highest average ratio of areas involving the subject of teaching subjects and 46.3 percent of universities with the lowes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fact that prior to enter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graduate school, we were able to grasp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t the undergraduate level.

지식공학을 위한 하드웨어

  • 황시영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5 no.3
    • /
    • pp.43-50
    • /
    • 1988
  • 대다수의 사람들이 갖고 있지 않은 특정분야-예를 들어 의학, 법률, 과학적 분석, 회로설계 등-의지식을 요하는 일은 이에 필요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에 의해서만 가능하였으나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이런 일을 해주는 프로그램의 탄생을 보게 되었으며 이런 프로그램을 전문가 시스템이라고 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을 지식공학(knowledge engineering)이라고 한다. 지식공학은 인공지능을 응용면에서 추구하는 바이며 지적기능을 프로그램화하는 과학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지식공학을 위한 컴퓨터 구조를 기술하기 전에 인공지능 응용 프로그램의 특징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PDF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with ChatGPT: Harnessing AI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지하수 수량 및 수질 관리를 위한 ChatGPT의 활용)

  • Eungyu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12
    • /
    • 2023
  • 지하수자원 관리의 정량적 및 정성적 측면에 있어, 최첨단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ChatGPT의 혁신적인 기능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지하수 자료에 대한 분석과 도출된 문제의 중요도에 따른 목표를 설정, 그리고 지하수 관리 전략 개발에 있어서의 ChatGPT 활용 방법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사례로, 지하수자원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의 개발과 고도화에 ChatGPT가 기여하는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개별 도구들은 지하수자원 관리 결정에 있어 더 나은 예측 및 평가를 제공하여, 지하수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hatGPT의 문제 발견 및 해결책 제안 능력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지하수 관리에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식별하고, 이해당사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hatGPT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문제에 대한 솔루션 접근 방식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일반 인공지능(AGI)의 개발에 근접하면서 지하수 관리의 자동화 및 가속화 그리고 산업 및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이 더욱 고도화되고 향상되면서, 지하수 관리 및 관련 분야에서의 의사결정, 계획 수립, 그리고 모니터링과 같은 작업들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하여 토의할 것이다. 본 발표는 지하수 자원 관리 분야에서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 접근법의 가치를 보여주며, 복잡한 지하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첨단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AGI가 등장할 때까지 여전히 요구되는 지하수 분야 도메인 지식과 전문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지하수 관리자들의 도메인 지식과 전문적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 도구와 결합되어 보다 정확한 분석, 예측 및 해결책 도출을 가속화하며 정교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하수 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의 인공지능 기술활용은 지속가능한 지하수의 첨단 관리 효과적 달성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Innovation Resistance Factors on Adoption Inten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Focused on Drug Discovery Fields (인공지능(AI) 플랫폼의 지각된 가치 및 혁신저항 요인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약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 Kim, Yeongdae;Kim, Ji-Young;Jeong, Wonkyung;Shin, Yongta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0 no.12
    • /
    • pp.329-342
    • /
    • 2021
  •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experiencing a productivity crisis with a low probability of success despite a long period of time and enormous cost. As a strategy to solve the productivity crisis, the use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Bigdata are increasing worldwide and tangible results are coming out. However,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taking a wait-and-see attitude to adopt AI platform for drug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a research model that combines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and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to empirically study the effect of value perception and resistance factors on adopting AI Platform. As a result of empirical verification, usefulness, knowledge richness, complexity, and algorithmic opac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s. And, usefulness, knowledge richness, algorithmic opacity, trialability, technology support infrastruc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Continuous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Knowledge Distillation (지식증류를 활용한 지속적 한국어 개체명 인식 )

  • Junseo Jang;Seongsik Park;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05-509
    • /
    • 2023
  • 개체명 인식은 주어진 텍스트에서 특정 유형의 개체들을 식별하고 추출하는 작업이다. 일반적인 딥러닝 기반 개체명 인식은 사전에 개체명들을 모두 정의한 뒤 모델을 학습한다. 하지만 실제 학습 환경에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개체명이 등장할 수 있을뿐더러 기존 개체명을 학습한 데이터가 접근이 불가할 수 있다. 또한, 새로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새로운 데이터에 기존 개체명을 수동 태깅하기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해결 방안으로 여러 방법론이 제시되었지만 새로운 개체명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기존 개체명 지식에 대한 망각 현상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증류를 활용한 지속학습이 한국어 개체명 인식에서 기존 지식에 대한 망각을 줄이고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인다.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한 개체명 인식 데이터로 실험과 평가를 진행하여 성능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