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 과실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uman Factors Aircraft Cockpit Design and Flying Qualities (인간공학적 조종실 설계가 항공기 비행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오제상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2.10a
    • /
    • pp.26-32
    • /
    • 1992
  • 세계적으로 항공기 사고의 통계적 분석에 의하면 항공기 운용자의 인적과실(Human error)로 인한 항공기 사고가 약 70%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항공기 운용자의 인적과실에 기인한 요인들 중에서 운용자의 작업량, 작업공간, 작업환경, 인체크기, 인체 생리, 인간 심리 및 습관 등을 항공기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지 못한 요인이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비행품질(Flying qualities)의 영향을 주는 설계분야는 크게 세가지로 항공기 형상(Configuration), 조종체계(Control system)및 조종실 배치(Cockpit layout)로 분류된다. 이들 세가지 설계분야 중에서 조종실의 운용자 인간공학적인 요구 사항을 고려하지 않으면 항공기 운용성 품질중에서 삼분의 일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항공기 개발시에 전담하는 항공기 설계 분야별로 구분하고 그 전담설계 부서들과 인간공학적 조종실 설계 전담 부서가 항공기 비행 품질 및 운용자 인적과실(Human error)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인간공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항공기를 개발할때에 개발자는 그 항공기를 운용하는 운용자의 인체, 생리, 심리, 습관 등을 고려 하여 항공기 조종실의 인간공학적 최적화 설계 및 배치 (Design and layout)를 개발초기단계부터 항공기를 설계할때에, 그 항공기의 조종실 품질은 조종사가 항공기 비행 임무를 수행할때에 항공기 비행을 위한 용이한 정보 인식(Sencing), 용이한 정보 결심(Deciding) 및 용이한 조종(Manipulating)의 특성을 조종사에게 제공할 때 항공기 비행 품질이 좋아질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Fatigue Factor as a Cause of Human Error (인간과실을 유발하는 피로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Yang, Won-Jae;Shin, Chul-Ho;Keum,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0 no.2 s.21
    • /
    • pp.1-6
    • /
    • 2004
  • For many years, fatigue was discounted as a potential cause of or contributor to human error. However, resent accident data and research point to fatigue as a cause of and/or contributor to human error precisely because of its impact on performa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of the fatigue factors related to human error.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sw-vey which concerned with the fatigue factors.

  • PDF

A study on the Fatigue Factor as a Cause of Human Error (인간과실을 유발하는 피로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Yang Won-Jae;Shin Chul-Ho;Keum Jong-S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4.11a
    • /
    • pp.89-94
    • /
    • 2004
  • For many years, fatigue was discounted as a potential cause of or contributor to human error. However, resent accident data and research point to fatigue as a cause of and/or contributor to human error precisely because of its impact on performa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of the fatigue factors related to human error. For this, we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cerned with the fatigue factors.

  • PDF

Ergonomic Evaluation of a Powered Rail Trolley in a Tomato Greenhouse (토마토 온실 내 레일 전동 작업차의 인간공학적 작업 부하 평가)

  • Jeong, Eun Seong;Yang, Myongkyoon;Son, Daesik;Cho, Seong 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3-143
    • /
    • 2017
  •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자동화 기계 및 로봇에 의해 대량 생산 되는 품목과 달리, 작업 절차의 비정형성, 비연속성 등으로 인해 여전히 농업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세계 인력의 절반이 농업 인력에 해당하고 작업 중 부상이나 사망 등으로 인해 가장 위험한 직업군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재배 농업의 경우, 노동집약적인 온실 내 작업 특성상 잘못된 자세로 작업하거나 지나친 작업량 등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감소하거나 생산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농가 수익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시설 재배 농업에서 사용되는 레일 전동 작업차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토마토를 수확할 때의 신체에 대한 농작업의 부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작업차를 이용한 주요 작업 절차는 작물로부터 과실 수확, 과실 상자에 과실 투입, 빈 과실 상자와 가득 찬 과실 상자의 교대, 작업차 위의 과실 상자를 운반용 파레트에 하역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장비로 촬영된 일련의 농작업 과정을 OWAS, RULA, REBA와 같은 체크리스트형 인간공학적 작업 부하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기존 레일 전동 작업차를 이용한 농작업의 근골격계 질환 유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동작별 위험성을 토대로 근골격계 질환 유발 가능성이 높아 개선이 필요한 농작업 동작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동작은 실험실 내 환경에서 피실험자를 통한 모의 동작의 생체 신호 계측을 통해 신체 부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보조가 필요한 신체 부위를 특정하거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동작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토마토 온실 내 신선도 유지를 위한 레일 전동 작업차의 개발에 작업자의 안전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해기사 정신건강 통합관리시스템개발 및 원격 심리지원에 관한 연구

  • Yang, Won-Jae;Ryu, Chang-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62-264
    • /
    • 2015
  • 해기사 정신건강 통합관리시스템개발 및 원격 심리지원에 관한 연구로써, 해기사에 특화된 양방향 웹기반 정신건강 관리기반을 제공하고, 정신건강 관리 및 판별프로그램, 원격심리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인간과실 해양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한다.

  • PDF

선원피로도와 해양사고와의 인과관계 연구동향 분석

  • Yang, Won-Jae;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77-479
    • /
    • 2013
  • 지금까지 해양사고 관련 조사보고서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선박승무원의 피로가 업무수행능력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쳐서 인간과실을 유발하게하고 결국 각종 해양사고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사고와 선박승무원의 피로도와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하기위한 국내외 관련 연구동향 및 그 결과들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선박승무원의 피로도를 관리하고 완하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최종적으로 충돌, 좌초 등과 같은 각종 해양사고를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해양사고 및 인간과실을 저감하기 위한 선원피로도 분석

  • Yang, Won-Jae;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3-25
    • /
    • 2012
  • 최근 선원피로도는 해양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선원피로도에 대한 현황을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선원피로도에 대한 완화 및 관리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Fatigue Factor as a Cause of Human Error (항해사의 피로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Yang, Yang;Keum, Jong-Soo;Ju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9 no.1
    • /
    • pp.95-100
    • /
    • 2005
  • For many years, fatigue of ship's crew was discounted as a potential cause of or contributor to human error. However, resent accident data and research point to fatigue as a cause of and/or contributor to human error precisely because of its impact on performa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of the fatigue factors related to human error.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cerned with the fatigue factors.

  • PDF

The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rgonomic Integrated Bridge Alarm Management System (인간공학적 선교통합알람장치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Yang, Young-Hoon;Yang, Chan-Su;Gong, In-Young;Lee, Bong-W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1 no.1 s.22
    • /
    • pp.17-22
    • /
    • 2005
  •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if the ships navigational equipment, a bridge system has been improved but a marine accidents by human error haven't been reduced Recently our interest is concentrated on a suitable ergonomic arrangement and design of the ships bridge equipment to reduce an error due to human factors. The bridge alarm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recognize the alarm informations as soon as possible and to deliver it clearly. Internationally, the matter is being discussed on the BAMS(Bridge Alarm Management System) in a view if a ergonomic bridge design, but a practical design method is not getting resul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an application approach of human engineering ergonomics to a bridge alarm system and propose a conceptual design if the Ergonomic Integrated Bridge Alarm Management System(EIBAMS)

  • PDF

간이형 해상근무자 피로도 측정기 개발

  • Jang, Jun-Hyeok;Ha, Uk-Hyeon;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63-465
    • /
    • 2012
  • 선박근무자의 피로는 해양사고의 잠재적 요인으로 혹은 인적과실에 기여하는 한 요인 정도로만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이와 관련한 연구에 의하면 선박근무자의 피로가 임무수행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며, 인적과실을 유발하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면서 선박 인간공학분야에서의 인간공학적 요소들의 고려 여부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선박근무자의 피로 발생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선상작업에서 오는 스트레스, 감정 및 작업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나, 통상 피로는 주로 한 가지 원인보다 복합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박근무자의 자각피로도와 직무스트레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선상에서 간편하게 자각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