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화된 과학문화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ritical Reconstruction of The Korean Science Culture (한국 과학문화의 비판적 재구성)

  • Lee Cho-Si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 no.1 s.1
    • /
    • pp.5-27
    • /
    • 2001
  • This paper makes a preparatory attempt to reconstruct 'the Korean Science Culture' toward which I think the Koreans should direct and orient themselves rather than describe the history of the science culture in Korea. This task requires us to define 'science culture.' So I propose, based on the definitions of science culture so far made, to consider the model of 'Humanized Science Culture' as a regulating ideal of the Korean Science Culture. To support the model, analyzing the concept of 'science literacy' of the 2061 Project, I posit the model of KDSC (Korean Designer of Science Culture) as the Koreans who will actually come to design the Korean Science Culture. KDSC refers to 'a reasonable man' who will represent a desirable Korean, rather than to a natural Korean. Then I spell out the conditions of becoming a KDSC and scrutinize the philosophical backbones of those conditions. Finally, I make a few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program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Korean Science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a model of KDSC.

  • PDF

Mechanization of humans, humanization of machines, and coexistence through dance works (무용작품을 통해 본 인간의 기계화, 기계의 인간화 그리고 공존)

  • Chang, So-J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1
    • /
    • pp.145-150
    • /
    • 2021
  •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the mechanization of humans, humanization of machines, and coexistence through dance works. The dance works were reviewed by partial excerpts from Oscar Schlemer's <3 Chord Ballet>, Felindrome Dance Company's , and . Also, I looked at the dance work , which has an inherent form of coexistence. Through the above work, robot-like science and technology and fusion. It was found that various dance performances that coexist in complex forms provide continuous creativity to humans, and various forms of sensibility and creative movements based on data make it possible to produce rich performances for humans. This researcher expects numerous works that accept and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through the embodied interaction of dance performance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al Implic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의 문화적 함의)

  • Lim Hy-Sop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3 no.1 s.5
    • /
    • pp.1-17
    • /
    • 2003
  • 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can understood as a part of cultural system, the relationship of science/technology with culture is often viewed as contradictory or mutually exclusive by many scholars. Therefor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present paper, the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cultural form is examined. Here, science is viewed as a form of symbolic culture, while technology is regarded as a form of instrumental culture. In the second section,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and/or tensions between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strumental culture) and cultural system (symbolic culture) within a society is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of this paper, 'science culture' is conceptualized as a dynamic social process in which contradictory science sub-cultures of political system(state), economic system(cooperations), civil society (including academic community of scientists and other social organizations and movements), and cultural system are supposed to be coordinated. In conclusion, establishment of 'humanized science culture' and 'democratic science-culture movement'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of resolving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ystem and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 the modern world.

  • PDF

21세기 대비 교육정책의 방향

  • 신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7
    • /
    • 1998
  • 새로운 밀레니엄을 불과 몇 년 앞둔 지금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역동적인 변화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종식 이후 세계의 정치 구도는 경제패권을 둘러싼 지역화.블럭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플랜트와 하드웨어 중심의 규모의 경제가 기술중심의 소규모화 된 현장중심의 범인의 경제로 전환되는 와중에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도 오늘날 우리는 국제화, 다원화, 지방화의 무드 속에서 조직구조의 변화는 물론 이에 따른 인간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때로는 능동적으로 혹은 피동적으로 체험하고 있다. 한편, 과학 기술 분야의 변화는 거대 에너지와 물자를 활용하는 ‘힘-중심적’ 방향에서 새 사고와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지식-중심적’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학과 기술에 있어서도 에너지, 재료, 기계 등 대대적으로 활용하는 거시적 과학과 기술로부터 지식, 정보, 통신을 중심에 두는 정밀과학, 정밀기술 쪽으로의 변화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적 대응의 원리는 두 가지 형태로 집약될 수 있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순응(accommodation)과 적응(adaptation)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순응의 원리는 교육의 탄생이래 교육목적의 본질에 해당되는 것으로 기존 사회질서의 유지와 체제 존속을 위해 교육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의미 있는 문화내용을 엄선하여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그들로 하여금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도록 하는 사회화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순응의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은 과거 지향적이며 외부의 변화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한편, 적응의 원리에 입각한 교육은 문화와 전통에 대한 피동적 전승을 넘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체제와 내용을 바꾸는 등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인간육성에 힘을 기울이는 교육방식을 취한다. 시대적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육은 이제 기왕의 많은 교육적 신화들을 타파하고 뉴 밀레니엄을 준비해야할 기로에 서 있다. 현재의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미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오늘날 교육의 사명은 우선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다. 교육정책은 국가의 교육방침으로서 현실 교육문제의 해결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장기적인 비젼과 목표 속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고는 \circled1 과거 우리 나라의 교육정책을 반성적으로 회고하고, \circled2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과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며, \circled3 마지막으로 21세기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과학기술과 정신문화 문학인과 과학자의 대화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6 s.97
    • /
    • pp.18-32
    • /
    • 1977
  • 지난6월 1일 한국과학기술 연구소 강당에서 「과학기술과 정신문화」라는 주제로 심포지움이 열렸다.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이 주최한 이 심포지움에는 국내과학기술인과 문학인 등 관심있는 인사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제발표에 이어 열띤 공방설전의 선투도 볼 수 있었다. 과진 김립삼 부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이 심포지움은 「엄청난 도전의 의의」를 갖는다고 말하고 장자의 천지편 「기심」,「기사」의 풀이와 아인슈타인의 인간의 alogical을 지적했다. 오늘날 근대화 과정에서 기능분화, 전문화. 세분화의 가속화 파괴와 분열 등 현대문명의 위기에서 인간이란 ,행복이란 ,아름다움이란, 문학적 해답을..과학자와 문학자가 현대사회가 지니는 고민에 해답할 의무가 있다고 했다. 이 심포지움이 공통대화의 광장을 마련함으로 과학과 문학이라는 현대문명의 양거보잉 공통의 이해를 가짐으로 새문화창조의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이날 최형섭 과학기술처장관의 축사, 박종화 학술원 원장의 격려사에 이어 다섯분의 발표가 있었고 참석자 토론이 있었다. 이번에 지면 관계로 일부만 실었다

  • PDF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문화유산 데이터의 시공간상 시각화 연구)

  • Park, Narae;Jeon, M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5-57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유산 데이터의 효과적 정보 시각화 방안을 탐색한다. 문화유산 데이터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충실히 이해될 수 있기에, 지리적 평면과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시공간 큐브상에 문화유산 데이터들을 배치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통시적·공시적 조망을 동시에 제공하는 유익한 시각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유산 컬렉션 데이터를 지도 평면과 시간 축으로 구성된 시공간 큐브 상에서 탐색·체험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과 AR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분석 결과 문화유산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는 데이터에 대한 총체적 시야를 제공하고 새로운 체험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한편, 낯선 형식으로 인한 인지적 피로가 뒤따를 수 있어 대상 데이터의 특성, 매체 형식의 특성, 사용자의 경험적 이해, 인간의 지각방식을 고려한 다각적 정보 체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A study of folding bicycle (FOLDING BICYCLE에 관한 연구)

  • 김태진;이병훈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00-110
    • /
    • 1993
  • 인간은 도구를 만드는 동물인 동시에 이동을 하면서 사회적 생활을 영위하는 동물이다. 인류는 초기, 도보중심으로 이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생활활동 범위도 좁았었다. 그러나 인류는 여러가지 이동의 도구를 만들어 생활권을 확대시켜 나갔다. 그중 보다 빠르고, 보다 멀리, 대량의 사람이나 화물 을 이동시키기 위해 바퀴를 발명하게 되었다. 그래서 수레가 출현하게 되었고 그 후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의 자전거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생산기술의 고도화로 산업의 발전은 물론, 경제성장도 급속히 향상되고 국민의 소득증대도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여가시간의 활용빈 도도 많아지고 건강증진을 위한 레저나 스포츠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그중 자전거는 레저 스포츠로서 즐길 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으로서 비만증, 성인병의 예방, 지구력, 폐활량 증대 및 인내심 을 길러준다. 또한 현재 대도시가 안고 있는 교통체증 문제, 환경오염, 에너지절약 측면에서도 자전거는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상황 속에서 자전거 선호도도 Casual style에서 Seports style로의 변화를 가져오고 더욱 더 고급화, 개성화, 다양화의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고객층을 위한 풍요로움과 건전한 건강생활문화를 창출하고 새로운 고부가가치 상품의 연구로 제품의 경쟁력 을 높여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 PDF

A study on specializing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 Choe, Jong-Ho
    • KOMUNHWA
    • /
    • no.68
    • /
    • pp.25-39
    • /
    • 2006
  • This article attempts to define identity, role and functions of a university museum and to suggest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A university museum is defined as a center for the service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its development which acquires, researches, communicates, exhibits and educates, for purposes of eduinfotainment,29 material evidence of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The target user of the today's university museum are not only professors, students, university workers, but also university neighbourhood such as the related professionals, patrons, parents, school children and villagers. A multi-dimensional and multi-purpose university museum can be established and managed in a real world and / or a cyber world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Based on a ubiquitous system30 in a cyber world vis-a-vie a real world, the university museum can be easily utilized by users anywhere, anytime and any device. In order to specialize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it is desirable that the university museum director with the CEO of the university community promote the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based on philosophy and strategies of university community management after they definitely evaluate the components and resources of the university museum such as human powers, museum collections, organizational, technological, capital, spacial and symbolic resources, The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should be projected and executed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 typical scope of museum activities and managing the effective museum management. Specializing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can contribute not onl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to perform role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museum but also to encourage academic development, to revaluate the brand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to promote the marketing for the university.

  • PDF

Beyond Humanism - The End of Modern Humanity and the New Transformations of Human Being (휴머니즘의 경계를 넘어서 - 근대 인간학의 종언과 인간의 새로운 변형 -)

  • Choi, Jin-Seok
    • Cross-Cultural Studies
    • /
    • v.41
    • /
    • pp.381-413
    • /
    • 2015
  • This article aims to trace a historical trajectory of "Humanism" as a Modern scientific concept in the light of Michel Foucault's genealogy. Generally, we believe that Humanism is a natural and eternal idea for mankind, because no one doubts that he or she is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a "Human Being."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French philosopher Foucault, the Idea of Humanism, or anthropocentrism, appeared only in the Modern Age, from the 16th century downward. Before the Renaissance, human beings did not occupy the most important status in Nature, and only existed as natural beings. As soon as mankind was liberated from the superstitious of fear and religious dogma, the concept of "Human Being" is supplied with new meanings and values. The famous maxim, such as, "Man is the lord of creation" constitutes modern human science as an inviolable category of modernity. However, Foucault tried to illuminate the hidden sides of humanism, and gave us the strict warning on the end of the human beings, which turned out to be an object of Modern knowledge. If there would be no reason to maintain a knowledge system of Modernity, in other words, Modernity as knowledge would lose its validity and we could give up Humanism as a heavy burden. Moreover, it is very clear that we are confronted with the critical moments of radical skepticism on the meaning and value for Humanity. That means that we need to think about the new transformations of Human Beings, which will probably appear in the forms of "Non-Humans," "Machines (Deleuze & Guattari)," or "Post-Humans" etc. At the present time, we cannot know if it will be positive, or negative for mankind. We should look back at the history of Humanism from a genealogical perspective, which is why we hav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trajectory of Humanism in this moment.

Artificial Intelligence In Wheelchair: From Technology for Autonomy to Technology for Interdependence and Care (휠체어 탄 인공지능: 자율적 기술에서 상호의존과 돌봄의 기술로)

  • HA, Dae-Cheong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9 no.2
    • /
    • pp.169-206
    • /
    • 2019
  •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new relationships and ethics of human and technology by analyzing a cultural imaginary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Drawing on theoretical reflections of the Feminist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tudies which understand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matter of care(Puig de la Bellacas, 2011),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materialize cultural imaginary such as autonomy. This autonomy, defined as the capacity to adapt to a new environment through self-learning, is accepted as a way to conceptualize an authentic human or an ideal subject. However, this article argue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mediated by and dependent on invisible human labor and complex material devices, suggesting that such autonomy is close to fiction. The recent growth of the so-called 'assistant technology' shows that it is differentially visualizing the care work of both machines and humans. Technology and its cultural imaginary hide the care work of human workers and actively visualize the one of the machine. And they make autonomy and agency ideal humanness, leaving disabled bodies and dependency as unworth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cultural imaginary negate the value of disabled bodies while idealizing abled-bodies, and result in eliminating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echnology as mutually dependent beings.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the technology we need is not the one to exclude the non-typical bodies and care work of others, but the one to include them as they are. This technology responsibly empathizes marginalized beings and encourages solidarity between fragile beings. Inspired by an art performance of artist Sue Austin, the author finally comes up with and suggests 'artificial intelligence in wheelchair' as an alternative figuration for the currently dominant 'autonomous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