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pecializing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 Choe, Jong-Ho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define identity, role and functions of a university museum and to suggest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A university museum is defined as a center for the service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its development which acquires, researches, communicates, exhibits and educates, for purposes of eduinfotainment,29 material evidence of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The target user of the today's university museum are not only professors, students, university workers, but also university neighbourhood such as the related professionals, patrons, parents, school children and villagers. A multi-dimensional and multi-purpose university museum can be established and managed in a real world and / or a cyber world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Based on a ubiquitous system30 in a cyber world vis-a-vie a real world, the university museum can be easily utilized by users anywhere, anytime and any device. In order to specialize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it is desirable that the university museum director with the CEO of the university community promote the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based on philosophy and strategies of university community management after they definitely evaluate the components and resources of the university museum such as human powers, museum collections, organizational, technological, capital, spacial and symbolic resources, The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should be projected and executed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 typical scope of museum activities and managing the effective museum management. Specializing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can contribute not onl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to perform role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museum but also to encourage academic development, to revaluate the brand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to promote the marketing for the university.

이 논문은 대학박물관의 정체성과 역할 및 기능을 정의하고,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박물관은 대학공동체와 대학공동체에 이바지하는 중심으로서 교육정보위락을 위하여 인간과 인간의 환경에 관한 유무형의 증거를 수집 보존 연구 교류 전시 교육하는 곳이다. 오늘날 대학박물관의 표적 이용자들은 교수와 학생, 교직원뿐만 아니라 관계되는 전문가, 후원자, 학부모, 학교 어린들과 동네사람들 같은 이웃 사람들이다. 다목적의 대학박물관은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현실 세계 또는 가상현실 세계에서 설립될 수 있다. 현실세계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세계에서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대학박물관은 어디서나 언제든지 어떤 기자재로든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위해서 대학박물관 관장은 대학공동체의 최고경영자와 함께 대학박물관의 인적, 물적, 조직적, 기술적, 재화적, 공간적, 상징적 구성요소를 평가하여 대학공동체의 경영 철학과 전략을 바탕으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는 박물관 활동의 독창적인 영역을 유지하고, 경영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되고 추진되어야 한다. 문화.예술.과학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는 대학공동체의 정체성 확립과 대학박물관의 역할 및 기능 수행에도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대학공동체의 학문적 발전과 브랜드 가치 창출 및 홍보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