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간중심

검색결과 2,336건 처리시간 0.029초

인간 중심에서 자연 중심으로 -인간의 작은 움직임도 오염이다-

  • 진정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3-504
    • /
    • 2003
  • 새가 날고 싶은 곳으로 나는 것처럼 사회적 제도나 규범, 예술적 범례(paradigm)를 넘어 예술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나 자신이 자아도취라도 된 작품을 하고 싶다. 물론 예술 사회의 인정도 받고 자연생태계의 무공해적 균형과 조화된 것이라면 더욱 이상적이겠다. 인간중심적 세계관은 환경파괴의 기초사상이다. 나 중심일 때 사회가 파괴되고 인간이란 동물이 지구상의 모든 생물의 중심이라고 생각할 때 자연생태계는 파괴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연 중심적 사고방식을 기초로 자연적인 재료와 방법으로 무공해적 작품을 하는 것이 나의 목표이자 내 작품의 주제이다.

  • PDF

성품교육에 있어서 영화의 모델을 통한 소통연구 (영화 '찰리와 초콜릿공장'을 중심으로) (Communication of a Model for Education of Identity Based on the Epistles (Referring to the film,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 김덕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769-775
    • /
    • 2013
  • 본 논문은 성품교육에 있어서 영화의 모델을 통해 교육적 소통을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교육과 영화는 서로 인간의 본성에 대한 각각의 통찰의 시각을 갖고 있다. 특히 성품 교육의 소통에 있어서 어떤 영화들은 인간본성의 중요 주제들을 다룬다. 인간은 자신의 행복을 추구함에 있어서 두 가지 태도가 있다. 첫째는 성취중심적인 태도이다. 가정과 부모를 떠나 성취 중심적으로 자기의 지혜와 자기 자원으로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이런 태도에서 사람은 자기추구적이 되고 자기만족적인 삶을 살게 된다. 그의 행복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비교적인 것으로 전락되어 버리고 만다. 인간의 고난은 성취중심적인 인간의 자기추구적인 행동에서 초래되는 것이다. 둘째는 관계중심적인 태도이다. 진정한 행복은 성취중심적인 인간의 태도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신뢰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은 바로 이런 구조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은 성취중심적인 인간의 모습과 관계중심적인 인간의 모습을 아주 극적으로 대조시키고 있다. 초콜릿 공장을 위해 가정을 버린 인물과 가정을 위해 초콜릿 공장을 포기하는 인물의 대립을 통해 진정으로 우리가 바라보아야 할 교육학적 소통의 모델이 누구인지를 역동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인간 본성과 그 행복 추구에 있어서 성품인간이 지향해야 할 교육학적 소통의 태도가 영화를 통해 인지되어지고 증진되도록 하는데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 서비스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ervice Quality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박주희;박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09-415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 서비스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간호 근무 환경, 인간중심 돌봄,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서비스 질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G지역에 근무하는 요양병원 간호사 129명이 대상이었으며, 자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 근무환경, 인간중심 돌봄, 직무스트레스, 서비스 질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서비스 질의 영향요인은 기혼, 간호 근무환경, 인간중심 돌봄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 서비스 질을 49.9% 설명하였다. 이중 간호 근무환경은 간호 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간호 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병원 경영진은 바람직한 간호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직 구조 개선을 통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하며, 인간중심 돌봄에 대한 병원 구성원의 인지 정착과 인간중심 돌봄 확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과학기술의 책임과 기후변화윤리 - 책임을 중심으로 -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cience Technology and the Ethics of the Climate Changes)

  • 변순용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7-34
    • /
    • 2010
  • 기후변화와 관련된 윤리적인 문제는 지금까지 인류가 겪어왔던 유형의 문제와는 성격이 매우 다르다. 기후변화의 예측, 완화 및 적응을 위한 인간의 행위에서 요청되는 윤리의 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우선 기후변화윤리의 담론에서 나타나는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야 한다. 강한 의미의 인간중심주의는 인간 종 이기주의라는 비판을 거세게 받고 있으며, 대부분의 환경교육에서는 약한 의미의 생태학적으로 계몽된 인간중심주의 논리로 환경윤리적 요청을 정당화하고 있다. 기후변화윤리의 담론에서는 이러한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를 지양해야 한다. 기후변화의 윤리와 과학기술에서 탈인간중심주의화를 통해 인간의 도덕적인 고려의 대상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윤리에서 제기되는 요청들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합의는 과학적인 근거와 사회구성원들의 가치에 기초해야 한다. 둘째, 기후변화로 파생되는 문제는 시급한 문제이면서도 장기적인 성격의 문제이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사실의 전달도 중요하지만, 윤리교육을 통해 기후변화가 갖는 윤리적 의미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야 한다. 끝으로, 기후변화윤리교육에서 지속 가능성은 기후변화윤리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당위적 요청들을 정당화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대인관계능력이 인간중심간호 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Person Centered Car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임미혜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5-43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D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 간호대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9월 25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에 3.72점,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90점, 인간중심간호 역량은 5점 만점에 4.01점이었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에 비해 비판적 사고성향, 대인관계능력, 인간중심간호 역량 수준이 높았으며, 인간중심간호 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 대인관계능력과 순 상관관계에 있었다. 인간중심간호 역량에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대인관계능력, 학년임을 확인하였으며(F=20.103, p<.000), 변인들의 설명력은 33%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 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이용자 중심의 정보 커뮤니케이션 동향 (A Review on the Trends of User-Centered Information Communication)

  • 문경화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2호
    • /
    • pp.49-66
    • /
    • 2002
  • 본 고에서는 최근 이용자 중심의 정보커뮤니케이션 동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특히, 인터넷 기반에서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CMC)과 인간공학(HFE), 그리고 최근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간중심의 정보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이용자 입장에서의 인터페이스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환경과학기술현황과 과제 (The Status of Environment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and its Development Strategies.)

  • 박원훈
    • 에너지공학
    • /
    • 제2권2호
    • /
    • pp.133-138
    • /
    • 1993
  • 환경(Environment)이라는 단어는 인간을 중심으로 한 유형, 무형의 주위 사방을 총체적으로 포괄하는 뜻을 지닌다. 만물의 주인은 인간이라는 인간중심주의적(anthropolatric) 의미를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환경운동가들은 환경이라는 단어의 사용을 배척하고 있으며 생태중심주의적(ecocentric) 단어인 상태(ecology)를 선호한다.

  • PDF

현대 시간성 디자인의 인간중심 디자인적 측면 : 어포던스에 의거한 행태지원 측면 분석을 중심으로 (Aspect of Human-Centered Design in Contemporary Design of Time and Change : Focus on Analysis of Affordance and Psychological Bases)

  • 홍의택;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1-102
    • /
    • 2007
  • 21세기로 접어들면서 공간의 확정성이 강하던 모더니즘에서 벗어나 디자인에 있어 시간성과 가변성, 불확정성을 수용하고 구조결정력이 약화되는 경향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시간성에 의한 변화의 개입이라는 요소가 디자인에서 수용되고 있는 상황을 인간중심 디자인과 행태지원성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시간성에 의한 변화라는 요소가 인간의 행동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심리학적 연결기제와 행태지원 측면을 중심으로 하여 알아본다. 또 이런 시간성에 의한 변화의 요인이 인간의 행태를 지원하는 방식에 의거해 시간성 디자인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사례들을 분석해 본다. 이를 통해 시간성에 의한 변화의 도입 경향이 인간의 심리에 어떠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와 현 시대의 시대성을 어떻게 표출하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 이명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8-257
    • /
    • 2001
  •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인간중심 교육철학이 도입되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학문중심교육과정보다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표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에 표출된 배경, 성격 그리고 목표에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의의를 찾고 그 과제와 전망을 논의하였다. 7차 과학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서 구체적인 교육활동이 실생활 소재로 이루어져서 적용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성과를 위해서는 현대과학이 가지는 사회적인 요소를 고려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실생활 맥락을 교육적이고 인식론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과학과 일상생활 맥락의 차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적 구명이 요청된다.

  • PDF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도덕적 고뇌가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Moral Distress Impact on Person-centered Car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이진숙;이소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90-1797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도덕적 고뇌가 인간중심돌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와 G도 소재 요양병원에서 현재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로 총 154명을 SPSS 25.0로 분석하였다. 간호근무환경은 2.42점, 도덕적 고뇌는 3.27점, 인간중심돌봄은 3.60점이었다. 인간중심돌봄의 영향요인은 간호근무환경, 도덕적 고뇌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관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과 도덕적 고뇌의 감소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