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성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기술과 자유로운 상상의 연결 패러다임

  • Lee, Ho-Yeong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 /
    • v.8 no.1
    • /
    • pp.1-11
    • /
    • 2006
  • 의사는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 권한이 있으니까 마치 생명을 죽이는 권한도 포함된 것 같은 생각에 그야말로 막강한 권한을 가진 것 같이 보인다. 오늘의 한국에서는 과거와 달리 의사의 사회적 위상에 많이 떨어져 있지만 아직도 미국이나 독일 같은 선진 사회에서 의사의 위상은 준신에 가깝게 높고 그의 말과 판단이라면 비록 건강에 관한 이슈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지혜로도 존중되고 수용된다. 의사의 사회적 위상이 높아진 것은 의학이라는 특수한 학문과 이와 연결된 의술의 그동안의 엄청난 발달과 무관하지 않다. 역사적으로 보면 고대 희랍시대부터 의학은 인간의 질병을 고치고 생명을 건강하게 보존하는 특별한 지식 그리고 이 지식을 기반으로 응용되는 치료기법으로 기예 (techne)라는 존칭으로 불리었다. 즉, 건강의 회복이라는 실질적인 목적을 가진 지식과 테크닉을 합친 이른바 귀중한 실천 (praxis)이다. 의학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은 시대와 문화가 바뀌면서 또한 의학 자체가 좀 더 발달하면서 도전을 받는다. 20세기에 들어서서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또 고통을 주는 질병의 종류와 양상이 변하고, 의 과학이 앞으로 인류의 병들을 퇴치시킬 수 있다는 기대에 차질이 생기게 되었다.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1960년도 말부터 의학교과목 개혁의 일환으로 인문학의 과목들을 같이 가르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과목들이 윤리학, 철학, 역사, 문학 등이다. 인문학의 보강은 의학과 기술과 인간성의 연결을 위해 의사들이 쓸 수 있는 인지적 도구 (cognitive tools)를 갖추게 하는 목적에서이다. 인문학의 도입으로 의사들이 인간의 삶을 좀 더 깊게 이해하고 풍부한 인간성으로 지식과 기술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기 위해 각자의 마음과 머리 속에 포용통합능력을 발달시키자는 데 있다. 즉 의사들의 의식과 자유로운 상상력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갖게 되는 것을 바라는 것이다. 선진국의 의학교육에서 이 같은 교육이 좋은 의사를 만든다는 신념을 굳혀가고 있다. 성과를 증명하는 연구결과가 없어 아직도 회의적인 반응도 있으나 이와 같은 교육이 윤리적 상황에 대한 예민도를 높이는 것은 확실하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은 기독교 이념이 기본 교육철학이다. 인간성을 강조하고 의사들이 자신의 인간성을 개발 강화하는 교육이 하나님의 사랑을 의사 지신의 인간성과 그의 인간애로 내재화 시킬 수 있다면 그리스도의 정신을 의학과 의술에 연결시키는 고귀한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Humanity and Culture: Based on the Conception of Husserl's Philosophical Cultural Community (인간성과 문화: 후설의 철학적 문화공동체 개념을 중심으로)

  • Park, In-Cheol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113
    • /
    • pp.61-92
    • /
    • 2016
  • In the Western civilization, the concept of culture has traditionally the meaning of education or forming the moral humanity. However, this meaning of culture has recently changed since the advent of cultural relativism which lays stress on the cultural diversity. The current meaning of culture lies in the ways of life, whatever they are. It indicates that culture has nothing to do with universal human nature and morality, as the new concept of culture is only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ontingent life-situations of people in the each special area. Against this current view of culture, this paper contends that culture and humanity(human nature)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at every culture is rooted in the universal human nature. So culture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humanity and forming of moral community. This thesis might be justified by Husserl's view on the philosophical culture of the ancient Greece. According to Husserl, the philosophy in the ancient Greece intended to realize the idea of true humanity and to build the moral community. Husserl's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culture is based on his belief that philosophy as an ideal culture transcends the cultural diversity and historical contingency and strives for a universal human community, in which all mankind are harmonized and live well. The philosophical culture would -so Husserl- result in the moral community. Against this conception of the moral cultural community, could man argue that the idea of the moral community be an ideal dream which could not be realized considering the irrational and immoral character of community. However, this argument should be refuted, because it has overlooked the moral and open-minded character of culture with the feeling of solidarity.

협동조합의 사상과 실천

  • 장원석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0 no.2 s.220
    • /
    • pp.44-45
    • /
    • 1988
  • 우리 양계업자의 궁극적 소망은 무엇일까? 등 따시고 배부르고 사람답게 사는 것이리라. 등 따시고 배부르려면 돈을 잘벌어야 할 것이고, 사람답게 살려면 인간성이 발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자연계와 인간 시리즈(I)-자연.양생.양기

  • Lee, Hyeon-Jae
    • 공원문화
    • /
    • s.43
    • /
    • pp.22-23
    • /
    • 1989
  • 날로 병들어가는 자연과 인간성의 건전한 회복을 촉구하는 일은 오늘의 당면한 우리의 과제입니다. 본지는 뜻있는 필진의 찬동을 얻어 이번호부터 본시리즈를 연재하게 되었습니다. 본회회원은 물론 전국애독자의 관심과 투고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 PDF

책선물 운동 펼치는 별난 공무원-서울 은평구청장 김치운씨

  • Choe, Tae-W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93
    • /
    • pp.11-11
    • /
    • 1991
  •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문화적 도시로의 탈바꿈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시점에서 가장 적절한 방편으로 독서운동이 떠오르더군요" 김구청장은 "가장 손쉬운 듯하면서도 실상 어려운일"인 독서가 인간성을 회복케 하는 바람직한 문화활동이라는 소신에서 이 운동이 비롯되었다고 전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