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로봇 공존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echanization of humans, humanization of machines, and coexistence through dance works (무용작품을 통해 본 인간의 기계화, 기계의 인간화 그리고 공존)

  • Chang, So-J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1
    • /
    • pp.145-150
    • /
    • 2021
  •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the mechanization of humans, humanization of machines, and coexistence through dance works. The dance works were reviewed by partial excerpts from Oscar Schlemer's <3 Chord Ballet>, Felindrome Dance Company's , and . Also, I looked at the dance work , which has an inherent form of coexistence. Through the above work, robot-like science and technology and fusion. It was found that various dance performances that coexist in complex forms provide continuous creativity to humans, and various forms of sensibility and creative movements based on data make it possible to produce rich performances for humans. This researcher expects numerous works that accept and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through the embodied interaction of dance performance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지능형 로봇산업 육성정책 추진 현황

  • 이호길
    • Journal of KSNVE
    • /
    • v.14 no.3
    • /
    • pp.6-22
    • /
    • 2004
  • 지능형 로봇 이란 주어진 환경 (현장, 인간 공존 등)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스스로 환경을 인지 판단하고 작업을 수행하거나,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중략)

인간-로봇 협업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

  • Park, Dong-Il;Gyeong, Jin-Ho;Jeong, Gwang-Jo
    • 기계와재료
    • /
    • v.22 no.4
    • /
    • pp.76-83
    • /
    • 2010
  • 로봇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면, 기존의 위치 기반제어를 통하여 단순반복 재생 하는 로봇에서 인간과 로봇이 협력할 수 있는 로봇으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독자적인 작업지능을 갖고서 독립적으로 운용되거나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로봇으로 개발되어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까지의 로봇 기술로는 로봇 독자적으로 완전한 작업지능을 구현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 중간 단계로써 사람과의 협력 작업을 구현하고 하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로봇 협업 기술은 인간의 지능과 로봇의 성능을 결합하여 고도의 작업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써 로봇의 사용법을 모르는 현장 작업자도 로봇의 말단부를 잡고 손쉽게 로봇에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의 응용 범위가 매우 다양해지고, 특히 로봇 전문인력이 없고 다품종 변량 생산을 주로 하는 중소기업에서의 로봇 활용을 촉진시켜 작업 환경 개선과 생산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조업용 로봇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범용성이 강한 기술로 개인서비스 로봇에서부터 국방, 건설, 의료 등 전문 서비스 로봇에 이르기 까지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간-로봇 협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들로는 경량형 로봇팔 기술, 인간-로봇 협조 제어 기술, 인간-로봇 안전 기술, 작업자 편이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포함되며 향후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파급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산업용 로봇기술 발전동향

  • 여인택
    • ICROS
    • /
    • v.1 no.1
    • /
    • pp.35-38
    • /
    • 1995
  • 일본에 있어 산업용로봇은 생산현장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으나, 현재의 산업용로봇은 결코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라 당초의 이념에서 상당히 축소된 상태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향후의 로봇 보급확대를 위하여 본래의 로봇이념에 좀더 근접한 형태가 될 필요가 있으며 우선 필요한 것을 정리하면 1) 인간과 공존가능하게 되어, 현재의 산업용로봇이 사람과 격리되어 사용되어야만 하는 데서 오는 한계를 극복한다. 2) 이동기능이 현실적으로 실현되어, 현재의 고정식에 따른 한계를 극복한다. 3) 인간의 힘을 넘는 작업의 자동화를 위해 대형화한다. 4) 조작성.신뢰성을 향상시켜 누구라도 안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5) 감각.지능기능을 부여하여 자율성을 갖게 함으로써 주변기기에의 의존도를 낮춘다.

  • PDF

재사용 가능한 모듈로 구성된 이동로봇의 하이브리드 제어구조 설계

  • 남화성;송재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24
    • /
    • 2004
  •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불확실하고 예측이 어려운 복잡한 환경에서 로봇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주행하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인지능력, 판단능력 및 강인한 적응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로봇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시스템의 통합, 즉 제어구조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고전적인 제어구조의 형태는 각각 단편화된 deliberative 구조이거나 reactive 구조였다. deliberative 구조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환경 모델링을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 로봇의 임무수행과 인간과의 의사전달을 가능하게 하였다.(중략)

  • PDF

State-of-the-Art of Domestic Emotional Robots (국내 감성로봇 연구 현황)

  • Cha, Go-Eum;Kim, Eun Jin;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161-162
    • /
    • 2017
  •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해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앞으로 새로운 시장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되며 이와 관련된 연구와 개발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인간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이다. 여기서 말하는 상호작용이란 단순히 인간이 원하는 것을 명령하고, 로봇이 이 명령을 수행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로봇이 스스로 인간의 감정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로봇 자신의 감정 표출이나 서비스, 행동을 제공함으로써 직접적인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로봇이 자연스럽게 인간과 함께 공존하기 위해서 감성 로봇(Emotional Robot) 분야에서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감성 로봇의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해 서술한다.

  • PDF

RoboSapience : Impending Community of Human and Robots (로보사피엔스 : 현실로 다가온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사회)

  • 오상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6a
    • /
    • pp.296-301
    • /
    • 2003
  • Various robots are emerging nowadays to human life from industrial factories. Especially, technologies from multiple disciplines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IT), bio technology (BT), and etc. are merged to make novel types of robots. Robots are employed to every place of works such as entertainment, education, service. rescue, medical support, dangerous job, production, etc. The robot in science fictions are now realized so that they become a new species taking human job and more than human.

  • PDF

Position Improvement of a Mobile Robot by Real Time Tracking of Multiple Moving Objects (실시간 다중이동물체 추적을 통한 이동로봇의 위치개선)

  • Jin, Tae-Seok;Lee, Min-Jung;Tak, Han-Ho;Lee, In-Yong;Lee, J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11a
    • /
    • pp.415-418
    • /
    • 2007
  • 가까운 미래에 인간생활에 활용될 지능형 로봇은 인간과 공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인간을 도와줄 수 있는 인간친화형 로봇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로봇은 미지의 환경 내에서 자신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것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이 당연하다. 로봇을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로서 이동로봇의 주행에서의 위치불확실성을 해결함으로서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외 공간에서 인간을 포한함 이동물체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자기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한 방법은 로봇자체의 DR센서 정보와 카메라에서 얻은 영상정보로부터 로봇의 위치추정방법을 결합 한 것이다. 그리고 이동물체의 이전 위치정보와 관측 카메라의 모델을 사용하여 이동물체에 대한 영상프레임 좌표와 추정된 로봇위치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동하는 인간과 로봇의 위치와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시하고 이동로봇의 위치를 추정하기위해서 칼만필터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제시한 방법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and Design of Control Synchronization for Map Auto-Generated Simulation Smart Robot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맵 자동생성을 위한 제어 동기화 설계 연구)

  • Son, Jae-Hyeon;Kim, Young-Soo;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15-217
    • /
    • 2010
  • IT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IT 지식정보화 사회에 지능형 로봇의 발전은 끝없이 연구되고 있다. 미래 인간사회에 로봇이 미치는 영향은 아주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인간의 실생활과 로봇의 가상공간 세계는 점점 일체화 되어 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인간은 로봇의 활동과 행동을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최근 현실세계를 가상공간의 세계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가상공간을 활용한 미래의 세상 환경은 점점 많아 질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맵 자동생성을 위한 제어 동기화 설계를 연구하였다. 현실세계의 실제 로봇과 가상공간의 시뮬레이션 로봇을 동기화하여 하드웨어 로봇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공간의 로봇이 맵을 자동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설계하여 실험하였다. 실제 로봇의 움직임을 3차원 가상공간으로 자동 생성하게 함으로서, 로봇의 제어를 좀 더 지능화 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여러 다양한 시뮬레이션 테스트 환경으로 응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로봇을 활용한 가상공간 세계의 시뮬레이션은 미래 인간과 로봇이 함께하는 공존세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행위가독성(Legibility)을 고려한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 동향

  • Jang, Min-Su;Kim, Jae-H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8
    • /
    • pp.44-50
    • /
    • 2016
  • 로봇의 활동 영역이 사람의 활동 영역과 점점 더 크게 겹쳐지면서 로봇이 사람과 무리없이 공존하는데 필요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심화되고 있다. 행위가독성은 겉으로 드러난 로봇의 행위를 기반으로 얼마나 쉽고 빠르게 로봇의 행위 의도를 판단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로봇과 상호작용하는 사람의 심리적이고 물리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는데 결정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많은 연구를 통해 로봇 행위의 가독성이 높으면 사람이 더 빠르고 명료하게 로봇의 의도를 인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사람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이 향상될 뿐 아니라 사람과 로봇 간 협업의 효율도 높아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글에서는 행위가독성의 개념을 소개하고 행위가독성을 향상하는 대표적 연구 사례들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