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내비게이션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epresentation modes for visual navigation (실감 내비게이션을 위한 표현 방안)

  • Chae, Gee-Ju;Joo, In-Hak;Cho, Seong-I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83-187
    • /
    • 2007
  • 텔레매틱스에서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부상하고 있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현재의 2D 내비게이션에서 발전하여, 일본의 경우에는 3차원 건물 데이터를 이용한 3D 내비게이션 제품이 나와 있다. 또한 2D 내비게이션과 3D 내비게이션과는 별도로 위성영상사진을 이용한 위성영상 기반 내비게이션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운전자가 운전하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시도이며, 이러한 시도 중에는 카메라를 이용한 실감 내비게이션 기술이 있다. 실감 내비게이션 기술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기존의 안내정보와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해석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운전자가 보고 있는 단말의 화면에 보여주는 기술로서, 기존의 전자지도를 보고 운전하면서 해석의 어려움을 느낀 운전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실감 내비게이션을 위해서는 운전자의 운전환경에 맞게 안내정보를 화면에 정확하게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기점(교차로 상황, 지하차도 상황, 고가도로 상황, 차로변경 상황등)에 대한 표현전략과 다양한 운전환경(터널, 비, 주간, 야간)에 대한 표현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상황별로 표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와 이를 이용한 표현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Car HUD Navigation Using a Raspberry Pi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차량용 HUD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 Joo, Han-Wul;Choi, Sung-Moon;Choi, Won-Seok;Joo, Bokgyu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3
    • /
    • pp.175-181
    • /
    • 2017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design and development of car HUD(Head-Up-Display) navigation system using a Raspberry Pi. Car drivers can't concentrate on driving due to the us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especially the car navigation systems installed in the cars. Therefore, car accident caused by not concentrating on the driving views is one of the most common accident types.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s, HUD technology is used to help the driver to secure front views, thereby to minimize th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neglecting forward view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design and development techniques of a HUD navigation system using Raspberry Pi, and we believe that the commerical use of HUD navigation will grately reduce the risk of many car accidents.

Methodology on e-Navigation-Assisted Ocean Monitoring and Big Data Analysis (이내비게이션을 활용한 해양환경관측 및 빅데이터 분석방안)

  • LEE, GUAN-HONG;PARK, JAE-HUN;HA, HO KYUNG;KIM, DO WAN;LEE, WOOJOO;KIM, HONGTAE;SHIN, HYUN-JU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3 no.4
    • /
    • pp.204-217
    • /
    • 2018
  • This study proposes a cost-effective method to monitor coastal environments using e-Navigation-implemen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ferries, and to analyze big data of records such as wind, temperature, salinity, waves, and currents that are gathered through e-Navigation system. First, we present the concept and architecture of e-Navigation operation system based on the General Information Center on Maritime Safety and Security. Then, the marine observation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ferries operating in our nation's territory is discussed. Analytical methods, such as spatio-temporal mixed effects model, ensemble method, and meshfree method, in handling real-time big data obtained by the e-Navigation observing system are then explained in detail. This study will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e-Navigation project that focuses on the safety of small vessels such as coasters and fishing vessels.

Improvement of Positioning Accuracy of Laser Navigation System using Particle Filter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레이저 내비게이션의 위치측정 성능 향상)

  • Cho, Hyun-Hak;Kim, Jung-Min;Do, Joo-Cheol;Kim, S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1 no.6
    • /
    • pp.755-760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improv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laser navigation. As a wireless navigation system, the laser navigation which is more flexible than a wired guidance system is used for the localization and control of an AGV(automatic guided vehicle). However, the laser navigation causes the large positioning error while the AGV turns or moves fast.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laser navigation using particle filter which has robust and reliable performance in non-linear/non-gaussian systems. For the experiment, we use the actual fork-type AGV. The AGV has a gyro, two encoders and a laser navigation. To verify the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laser navigation which is a product. In the experimental result, we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by approximately 66.5%.

Road Object Recognition for Real Video based Navigation (실사영상 기반 내비게이션을 위한 도로객체인식)

  • Park, Jeong-Ho;Jo, Seong-I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88-19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실사영상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내비게이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모듈 가운데 하나인 도로객체인식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모듈은 기존의 맵 기반의 내비게이션에서 찾아볼 수 없는 부분이며, 실사 영상위에 차량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서는 이 모듈을 통해 다양한 도로객체를 인식해야 하는데, 주행차선인식, 주행차로인식 및 신호등 인식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건물인식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 PDF

Data Fragmentation Protection Technique for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DB-Based Navigation Supporting Incremental Map Update (점증적인 맵 갱신을 지원하는 DB 기반 내비게이션의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 단편화 방지 기법)

  • Kim, Yong Ho;Kim, Jae Kwang;Jin, Seongi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9 no.3
    • /
    • pp.77-82
    • /
    • 2020
  • Most of the navigation in the vehicle has been developed based on a complex structure of PSF(Physical Storage Format) files, making it difficult to support incremental map updates. DB-based navigation is draw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navigation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In DB-based navigation that supports incremental map updates, data fragmentation due to continuous map data updates can increase data access costs, which can lead to a decrease in search performance. In this paper, as one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methods of DB-based navigation that supports incremental map updates, data fragmentation prevention techniques were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was verified through actual implementation.

Patent Analysis of e-Navigation Technology in Korea and the US (한국과 미국의 e-내비게이션 기술분야 특허분석 연구)

  • Song, Hwan Bee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43-65
    • /
    • 2017
  • UN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 국제적인 시행을 목표로 e-내비게이션 분야의 국제기술표준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e-내비게이션은 차세대 해양안전 종합관리시스템으로서 각종 해상 운항정보를 디지털화 해 선박 운항자에게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해수부는 2020년 이후 약 1,000조원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진입 장벽이 높은 해양 장비 시장에 우리나라도 ICT 강점을 바탕으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e-내비게이션 분야의 핵심기술 중심으로 기술분야별 특허동향, 기술시장 성장 단계, 국가간 기술경쟁력, 그리고 특허 Key Player별 보유 특허 포트폴리오, 피인용 분석을 통한 경쟁력, 특허 거래 및 소송 분석을 통하여 양 국가의 기술개발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The Design of Indoor Navigation using AR (AR을 활용한 실내 내비게이션의 설계)

  • Kim, Myung Seong;Kim, Seong Jo;Kim, Do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29-132
    • /
    • 2019
  • 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실내 공간이 점차 대형화되면서 실내공간은 복잡해졌으며, 이로 인해 원하는 장소를 찾기가 어려워졌다. 4차 산업혁명에 힘입어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 내비게이션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 내비게이션의 기술들로는 Wi-Fi, Bluetooth, Beacon, RFID, UWB 등이 있지만, 실내 건물 구조 특성상 여러 장애물들에 의해 신호 정보의 오차가 심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내장된 IMU 센서 및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동시적 위치 인식 및 지도 작성을 하는 SLAM 알고리즘으로 실내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고, 사용자가 보다 쉽게 길을 찾을 수 있게 접근성이 높은 스마트폰과 AR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 PDF

Offering Information in Car Navigation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and Filtering (데이터 마이닝과 필터링을 이용한 내비게이션에서의 정보제공)

  • Soon-won Jung;Eun-ju Lee;Ung-m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41-244
    • /
    • 2008
  • 내비게이션 시장의 확대에 따라 주요 서비스인 길안내 외에 다양한 콘텐츠 제공 기술개발로 경쟁력을 갖춰 나갈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운전자의 특성, 관심사를 고려, 운전자가 선호할 만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여 내비게이션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필터링과 추천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내비게이션이 경로를 탐색할 때 운전자의 기호와는 상관없는 정보를 제공한 것과 다르게 운전자가 선호할 만한 서비스 정보를 효율적으로 도출하는 방법을 제안 한다. 또한 내비게이션이 제공하는 불필요한 정보를 제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Exploring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Based on AI Using US e-Navigation Patent Information (미국의 e-내비게이션 특허정보를 활용한 AI(인공지능) 기반 미래유망기술 탐색)

  • Song, Hwan Bee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9-350
    • /
    • 2017
  • e-내비게이션은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 국제적인 시행을 목표로 도입한 차세대 해양안전 종합관리시스템이다. 각종 해상 운항정보를 디지털화 해 선박 운항자에게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준다. 육상에서 차량용 내비게이션처럼 선박을 운항하는 데 운항항로, 날씨, 돌발 변수 등을 제공하면서 선박 사고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크루즈와 같은 큰 선박부터 작은 낚시용 선박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해수부는 2020년 이후 약 1,000조원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진입 장벽이 높은 해상장비 시장에 우리나라도 ICT 강점을 바탕으로 디지털로 변화하는 이 시장에 주도권을 잡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를 위하여 e-내비게이션 분야의 미국 특허정보를 확보하여 DB화 하고, DB에서 제공하는 특허적 행위(M&A, 특허 매입, 신규 R&D 등)를 중심으로 하는 미래기술예측 분석틀을 활용하여 유망기술을 발굴하고자 한다. 미래기술예측 분석틀은 미래기술예측의 3대 주제를 (1) 미래 기술의 대상과 범위, (2) 미래 기술의 주인과 수혜자, (3) 미래 기술로의 투자 시점으로 설정하고, 3~10년까지의 근미래(Near Future Only), 측정 및 검증 가능한 미래(Data Oriented), 미래를 만드는 힘 있는 주체에게만(Activity Oriented) 집중하여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