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화학적 성상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고려인삼 ( Panax ginseng C.A.Meyer)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제1보. 전분의 함량과 일반성상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M. Meyer) Root Starch 1. Starch Cantent and General Feachures)

  • 김해중;조재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14-123
    • /
    • 198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starch granule in ginseng roo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starch contents of main and lateral ginseng 1$.$cot were 23-32% and 14-16%, respectively, and it was varied significantly with growing season, namely 15-37% in Summer (May to August) and 3-6% in Winter (November to March). Thus the starch content of ginseng roo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rtien of ginseng root and growing season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y a growing period of ginseng. The starch granules showed nearly round or oval shape having the diameter 2-8${\mu}$ and their size were increased with a growing period of ginseng.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starch granules was found to be B-type by X-ray diffraction study.

  • PDF

활성 락토페린을 첨가한 저지방 세절소시지의 냉장 저장(8°C)중 이화학적, 조직적 및 저장 특성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Shelf-Life Effects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Various Levels of Activated Lactoferri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강인혜;이홍철;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8-414
    • /
    • 2008
  •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저지방 훈연 소시지는 활성락토페린을 각각 0, 0.3 및 0.6%로 함량을 달리하였고, 냉장저장($8^{\circ}C$)중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특성과 접종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조된 저지방 훈연소시지의 pH, 수분, 지방, 및 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6.04-6.08, 72-76%, 1-2%, 12-14%로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활성락토페린을 0.6% 첨가한 처리구는 0.3% 첨가구와 달리 무첨가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p<0.05), 유의적으로 높은 부서짐성을 보였다. 그러나 젖산나트륨 3.3%를 첨가에 의한 항균활성 효과보다는 낮은 효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락토페린은 육제품에 있어서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성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항균활성을 부여하는 좋은 기능성 물질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물고분자 생산 알칼리 내성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polymer Producing Alkali-Tolerant Bacterial Strain)

  • 이신영;이범수;신원철;권익부;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66
    • /
    • 1991
  •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연구의 일환으로 토양으로부터 생물고분자 생산균주를 분리하고, 이 분리균에 대한 균학적 성질 및 생성 생물고분자의 이화학적 성상을 검토하였다. 분리균주는 Bacillus속의 한 균종으로 동정 하였으며, 알칼리 내성균주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 균주로부터 생성된 생물고분자는 성분분석, 정색반응 및 I.R. spectrum 분석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고, 일부 amino sugar가 존재하나 uronic acid는 함유하지 않았다. 그러나 cetyl pyridinium chloride에는 침전되어 산성의 생물고분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Peptide계 생분해성 고분자 생산균주의 분리 및 생성 고분자의 특성 (Isolation of the Biodegradable Peptide Polymer-Producing Bacterial Strai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olymer Produced by This Strain)

  • 이신영;강태수김갑수유주현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209-216
    • /
    • 1993
  • 미생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생산연구의 일환으로 토양으로부터 고점성의 생물고분자 생산균주를 분리하고, 이 분리균에 대한 분류학적 성질 및 생성 생물고분자의 이화학적 성상을 검토, 규명하였다. 분리균주는 Alcaligenes속의 한 균종으로 동정하였으며, 호알카리성 균주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CPC(cetylpridinium chloride)침전 및 acetone처리하여 정제한 산성 고분자 물질은 carboxyl기를 갖고 자외 흡수가 강한 glutamic acid만을 구성성분으로 하였고, glutamic acid는 $\gamma$-peptide 결합의 $\gamma$-polyglutamic acid로 존재하였다. 중화당량은 약 350으로 $\gamma$-PGA 2.7잔가당 1개의 음이온이 존재하였으며, 분자량은 약 $6.5{\times}10^5$Daltons이었다.

  • PDF

숙성 및 건조기간중 소금농도에 따른 Dry Sausage의 이화학적 성상 및 미생물의 증식 특성 (Effect of Added NaCl Levels on the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Dry Sausage during Ripening Period)

  • 신현길;최성수;강익순;한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55-761
    • /
    • 1988
  • 식염의 1.7%, 2.2%, 2.7% 그리고 3.2%의 첨가수준에 따라 발효소세지의 숙성 및 건조중 이화학적 변화 및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Stahpylococcus aureus의 접종시험을 통해서 이들의 증식관계를 조사하였다. 소금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pH는 완만하게 떨어졌으며 모든 처리구 공히 원료혼합육 5.8 수준에서 최종제품 4.8-4.6의 pH를 나타내었다. 조직은 소금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저작성과 경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식염처리구에서는(1.7%, 2.2%)제품으로서의 조직을 갖지 못했다. 소금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총 세균수와 Lactobacilli수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아울러 완만하게 증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원료혼합육 g당 $10^5$ cells수준으로 접종한 St. aureus는 소금의 첨가수준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각 처리구 마차가지로 21일 숙성기간중 $10^4$ cells/g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Enterobacteriaceae는 소금의 첨가량이 낮아짐에 따라 그들이 생존기간이 길었다.

  • PDF

밤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 박인순;김성곤;김춘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18-223
    • /
    • 1982
  • 밤(품종, 은기) 전부의 성상, 이화학적 특성 및 전분 겔의 노화속도를 조사하였다. 전분의 입자는 장축 및 단축의 비가 1.4 : 1인 불규칙한 타원형으로서 크기는 $2.9{\sim}21.4{\mu}$(평균 $10\;{\mu}$)이었다. X-ray 회절도는 $2{\theta}$$5.6^{\circ},\;15.3^{\circ},\;17.2^{\circ},\;22.0^{\circ},\;23.8^{\circ}$에서 peak를 보였으며, B형에 속하였다. 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22.7%, 물 결합 능력은 81.5%, 호화온도는 $55^{\circ}C$이었다. 전분의 swelling은 $55^{\circ}C$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65^{\circ}C$ 이후에는 그 변화가 완만하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전분의 호화는 농도(5 및 6%)에 관계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최고 점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밤 전분은 입자간의 결합강도가 강하며, 열 및 shear force에 의한 swollen granule의 저항성이 큰 특징을 보였다. 전분 겔(건물중으로 45%)의 노화 시간상수(속도 상수의 역수)는 $21^{\circ}C$에서 1.68일이었다.

  • PDF

한국산 녹차의 품종 및 가공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reen Teas by Varieties and Processing Methods)

  • 신애자;천석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2
    • /
    • 1988
  • 녹차의 품종, 채엽시기, 가공방법별에 따라 13종류의 한국산 녹차시료를 조제하고 이들 시료의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활, 회분, 가용성 고형분 및 조지방 함량은 대체적으로 품종, 차엽의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의 상위에 따른 큰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조단백질의 경우에서는 삽목 Yabukida 품종 1번 차의 볶음과 찐 것에서 각각 30.8%, 31.3%이던 것이 2, 3번차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여 4번차의 경우에서는 각각 18.8%, 16.0% 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품종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품종별에 따른 변화도 크게 나타났다. 조섬유에서는 채엽시기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표면색도는 볶음 차보다 찐 차가 보다 밝은 녹황색을 띄며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밝은 황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클로로필함량은 찐 차의 경우가 볶은 차보다 높았고, 채엽시기에 따라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나 삽목 Yabukida 4번 차의 경우에서는 증가하였다. 3. 탄닌의 함량은 볶음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을수륵 증가하였지만 찐 차의 경우 그런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theaflavin과 thearubigin 함량은 평균하여 각각 0.07% 및 2.27%이었고 산화중합물비는 평균 0.22이었다. 4. Methylxanthine류에서는 caffeine이 주성분으로 94∼98%를 차지하였으며 볶음차의 caffeine 함량이 높았다. 베니호마래의 caffeine 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낮았다. 5. 녹차의 환원당은 0.1%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유리당의 경우 삽목 Yabukida가 다른 품종에 비해서 sucr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6. 녹차중의 유기산은 succinic, malic, shikimic, citric, quinic, gallic, oxalic 및 malonic acid의 8종류이었으며 이중 quin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삽목 Yabukida 품종에서는 채엽시기가 빠른 녹차에서는 malic acid 함량이 매우 낮은 반면 oxalic acid는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여 미량으로 검지되었다.

  • PDF

동부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from Cow Pea)

  • 김향숙;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22
    • /
    • 1987
  • 묵의 재료인 동부 전분을 분리하여 전분 입자의 성상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 검토하였다. 광학현미경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로 관찰한 동부 전분의 형태는 대부분이 타원형이며 그 크기는 $6{\sim}22{\mu}m$였다. X선 회절도는 2$\theta$$15^{\circ}$, $17.1^{\circ}$, $18.1^{\circ}$, $22.9^{\circ}$ 에서 약간의 결정성을 보였다. blue value는 0.370이었고 아밀로즈 함량은 26.9%였으며 물결합 능력은 70.6%였다. 전분의 팽화력은 $65^{\circ}C$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75^{\circ}C$부터는 즘 더 완만히 증가하였고, 용해도도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전분 현탁액(0.2%)의 광투과도는 $70^{\circ}C$부터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70^{\circ}C$부터 $90^{\circ}C$까지 single stage 의 호화양상을 보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전분 용액의 호화양상은 4%의 경우 호화정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6%의 경우 호화정점이 나타났다.

  • PDF

감국의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mgug (Chrysanthemun indicum L.))

  • 신영자;전정례;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6-151
    • /
    • 2004
  • 다양한 식품 소재의 창출을 목적으로 그 기초자료로서 감국꽃잎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감국꽃잎의 수분함량이 10.51% ,조단백 9.38%, 지방 3.47%, 회분 4.87%, 환원당 13.12%, 조섬유가 9.03%, 비타민 C의 함량은 0.74%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전체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41.42%이고, 비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8.58%였다. 감국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가 13.5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alanine(11.25%), aspartic acid(10.35%)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6종의 구성지방산이 확인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23.63%)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linoleic acid(17.51%), linolenic acid(12.76%), myristic acid(4.36%)의 순이었다. 무기질 함량은 K가 847.4 $\mu\textr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Mg 369.0 $\mu\textrm{g}$/g, Ca 300.8 $\mu\textrm{g}$/g, Na 61.4 $\mu\textrm{g}$/g 순으로 나타났다. 감국꽃잎에는 45종의 휘발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docosane(9.41%), benzene, 1-(1,5-dimethyl-4-hexenyl)-4-methyl-benzene(5.78%), camphor(5.39%) 순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 0.67 mg%이었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0.84 mg%으로 나타났다.

액란의 냉장저장 중 미생물 및 이화학적 성상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quid Egg during Cold Storage)

  • 강근호;조수현;성필남;박범영;함준상;정석근;김동훈;채현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7-56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액란의 냉장저장 중 미생물 및 이화학적 성상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액란은 살균 및 비살균 처리된 전란액, 난황액 및 난백액으로 여름철과 겨울철 생산 제품에 대해 각각 조사하였다. 냉장저장 중 세균수의 경우 여름철에 생산된 비살균 액란(전란액, 난황액 및 난백액)은 1,270-83,300 CFU/g 수준으로 겨울철에 생산된 비살균 액란의 0-4,330 CFU/g 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 전란액과 살균 난황액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액란생산 계절과 관계 없이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살균 액란은 냉장저장 중 겨울철에 생산된 난백액에서만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는 살균 및 비살균 액란 모두에서 냉장저장 중 액란 생산 계절과 관계없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름철에 생산된 비살균 전란액으로부터 Salmonella 의심균을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 Pseudomonas geezenne, Pseudomonas otitidis, 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액란의 냉장저장 중 pH 및 점도변화는 살균과 비살균 처리구간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름철에 비살균 액란 생산시 교차오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