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혼한 성인 남녀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ducation, Occup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e Divorced (교육수준, 직업과 이혼상태율)

  • 오선주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1-13
    • /
    • 1995
  • 우리나라의 이혼율이 최근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이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며 특히 여러변수와 이혼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이혼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통계청에서 집계힌 자료중에 이혼과 수입과의 관곌계를 알수 있는 자료가 없었으므로 본 연구에선 교육 직업과 이혼과의 관계만을 살펴보았다. 교육수준별 직업별로 이혼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수준별 이혼상태율을 보면 (1980, 1990년의 자료를 분석) 남자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혼상태의 비율이 낮아진다. 여자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점점 이혼상태의 비율이 높아지다가 다시낮아지는 고선형의 관계를 보인다. 남녀모두 모든 교육수준에서 중퇴자들이 졸업자들보다 높은 이혼비율을 보이고 있다. 연령으로 통제한 후에도 이러한 경향에는 별변함이 없다 직업별 이혼상태율을 비교하면(1970, 1980, 1990년의 자료를 분석) 남성들의 경우 직업군의 지위가 높을수록 이혼상태율이 낮아진다. 여성들의 경우 직업적지위가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가 불규칙하게 이혼비율이 분포되어 있어 일반적 경향을 찾기가 어려우나 가장낮은 이혼율을 보인 직업과 가장높은 이혼율을 보인 직업은 세시기에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농/축/임업/수산업/수렵업에 종사하는 경우 이혼비율이 가장낮게 나타났고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경우 다른 직업군에 비해 현저하게 이혼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으로 통제한 후에도 같은 경향을 보인다.

  • PDF

Marital Quality, Barriers to Divorce, Everyday Stress and Post-Divorce Adjustment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결혼의 질, 이혼 장애 요인,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이혼 후 적응)

  • Son Jeong-Yeon;Han Gyoung-Hae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4 no.1 s.79
    • /
    • pp.83-10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ivorce process on post-divorce adjustment.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pre-divorce marital quality, perceived barriers to divorce at the time of considering divorce, and the level of everyday stress after divorce on post-divorce adjustment of men and women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Data gathered from 147 men and 208 wom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divorce marital quality, perceived barriers to divorce at the time of considering divorce, and the level of everyday stress after divorce,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depending on the stages of divorce proc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divorce process and adjustments differ according to the sub-dimension of post-divorce adjustment. Third, divorce process functions differently for divorced men and women. Th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divorce process, including both pre-divorce and post-divorce circumstances in order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post-divorce adjustment of men and women.

A Comparison of Cause-Specific Mortality Between Korea and Japan (한.일 사망원인별 사망력 비교)

  • 박경애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37-63
    • /
    • 1999
  • 한국 사망력의 수준 및 특징을 일본과 비교하고자 양국의 1995년 공식통계를 사용하여 사망원인별로 성·연령·혼인상태별 사망률, 연령표준화사망률, 생존기간손실년수(PYLL) 및 동 측정치의 남녀간 비와 한일간 비를 계산하였다. 사망원인 항목은 모든 사인(총사망), 결핵, 악성신생물,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간 진환, 교통사고, 자살을 포함한다.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 사망력의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자살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인에서 한국의 사망률이 일본보다 높은데 , 특히 결핵, 고혈압성 질환, 간 질환 및 교통사고의 경우 한국 생산활동연령층의 사망률이 두드러지게 높다 : (2)결핵, 간질환, 교통사고, 암사망이 한국의 소아에게서도 발생한다 : (3)한국의 생산활동연령층에서 간 질환, 결핵, 교통사고에 의한 성별 사망력 격차가 큰데, 남성의 사망률이 여성의 사망률보다 높기 때문이다 : (4)자살률이 한국생산활동연령층 남성의 경우 일본보다 낮고, 10대와 20대 여성의 자살률은 일본보다 높다 : (5)한국의 45세 미만에서는 사인에 따라 사별이나 이혼상태에서, 45세 이상에서는 모든 사인에 대해 남녀 모두 미혼상태에서 사망력이 가장 높다. : (6)한국은 사별상태에서, 일본은 이혼상태에서 성별 사망력 격차가 가장 크다.

  • PDF

The Attitudes toward Divorce of Young Men and Women (청년 남녀의 이혼에 대한 태도)

  • 김성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1 no.2
    • /
    • pp.75-8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 divorce of young men and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425 respondents who resided in Sunchon.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one-way ANOVA, t-test.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 young men and women accepted divorce as an alternative to unhappy marri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 divorce. Women accepted divorce more positively as an alternative than men in every conditions. Men accepted divorce remarkably as an alternative to unfaithful debauchery of spouse, but women accepted divorce extremely well as an alternative to wrongdoing of spouse. Most of young men and women were worried about children, but not a few of them did not perceived themselves as child rearer. This results showed that divorce will be increased and perceived differently by gender. The young men and women who had lower conservative familism, who were younger, and who had higher education responded more positively about divorce.

The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intake and marital status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based on the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30세 이상 한국성인의 결혼상태와 채소섭취와의 연관성 분석: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Baek, Yeji;Joung, Hyojee;Shin, Sangah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8 no.2
    • /
    • pp.192-198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tatus and vegetable intake. Methods: Data were from participants 30 years and over (n = 18,190) in the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rital statu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married, never married, and separated/divorced/widowed. Vegetable intake was estimated from the twenty-four hour dietary recall.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analysis of covariance, least squares mean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Married respondents tend to consume more vegetables, including kimchi, than all other marital status groups. Vegetable intake, excluding kimchi, was lowest among 30~64 year-old respondents who had never married. Elderly men (65 years and older) who were never married/separated/divorced/ widowed had significantly lower vegetable intake than elderly men who were married (p = 0.0008). When considering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 (KDRIs), elderly men who were never married/separated/divorced/widowed, compared with elderly men who were married,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for consuming fewer vegetables than the KDRIs (OR = 1.64, 95% CI: 1.13~2.37).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rital status might influence vegetable intake and the probability of consuming fewer vegetables than the KDRIs. In particular, being never married/separated/divorced/ widowed might adversely affect vegetable consumption among elderly men, although assessing the causal effect of marital status from this cross-sectional study is difficult.

An Empirical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Demand for Children on the Basis of Quantity-Quality Interaction Model (자녀교육과 수요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실증적 고찰)

  • Chang-Jin Mo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1 no.1
    • /
    • pp.197-203
    • /
    • 1988
  • In order to examine cause-specific mortality in Korea by comparing mortality of Japan, various mortality indicators are calculated using 1995 of ficial statistics of twonations. The mortality measures are cause-specific mortality rate by sex, age, andmarital status, cause-specific age-standardized death rate and potential years of lifelost, and their ratios by sex and nation. Items of major causes of death include allcauses (total deaths),tuberculosis, malignant neoplasm, diabetes mellitushypertensive diseases, heart diseases, cerebrovascular diseases, liver diseasestransport accidents, and suicide. Major characteristics of mortality in Korea are asfollows . (1) Death rates from most causes except suicide are higher in Korea thanJapan and especially death rates from tuberculosis, hypertensive diseases, liverdiseases, and transport accidents are higher for economically active Koreans : (2)Death rates from tuberculosis, liver diseases, transport accidents, and malignantneoplasm are salient for Korean children (3) Sex-differentials in mortality fromliver diseases, tuberculosis , and transport accidents are large for economically activeKoreans, because male mortality is higher than female mortality : (4) Suicide ratesare lower for economically active males, and higher for females aged 10s and 20s inKorea than Japan : (5) Death rates are highest f3r divorced or widowed under 45years of age depending on causes, but death rates from all causes are highest fornever-married of the age 45 and over in Korea : and (6) Sex-differentials inmortality are greatest for widowed in Korea and for divorced in Japan.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existence of spouse and drinking behavior (결혼 후 배우자 유무와 음주 행태의 관련성 연구)

  • Lim, Jong-Min;Na, Bak-Ju;Lee, Moo-Sik;Hong, Ji-Young;No, Young-Su;Jeong, Gye-Rim;Hwang, Hye-Je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79-483
    • /
    • 2009
  • 서론: 최근 음주가 사회적 문제로 더욱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음주 소비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빠른 사회경제적 변화는 새로운 도덕과 가치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알코올 소비량의 증가와 관계가 있다.(양정남, 1998) 특히 결혼 및 배우자 유무는 음주에 중요한 관련 요인이라는 주장이 있음에도(김태수 등, 2003) 실증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 후 배우자 유무와 음주 형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음주 관련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40대 이상의 남녀 중 결혼 경험이 있는 14,970명 중 음주행태에 관한 설문에 응답한 3,190명이었으며, 결혼 후 배우자의 유무에 따른 고위험 음주 경험 및 다빈도 음주, 음주자제빈도, 고위험음주빈도와의 관련성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 후 배우자 유무에 따른 음주 행태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 1,678명(52.6%)이며, 여자 1,512명(47.4%)였다. 연령별로는 65세 미만 2,359명(73.9%), 65세 이상 831명(26.1%)이었다. 결혼상태는 유배우 2,621명(82.2%), 사별 344명(10.8%), 이혼 및 별거 225명(7.1%)이었다. 고위험 음주경험은 한달에 한번 미만 1,883명(59.0%), 한달에 한번 정도 379명(11.9%), 일주일에 한번 이상 928명(29.1%)으로 한달에 한번 미만 고위험 음주를 경험한다가 가장 많았으며, 일주일에 한번이상. 일주일에 한번정도 순으로 고위험 음주를 한다고 응답하였다. 월평균 음주 횟 수에 있어서는 5회 이하 1,149명(36.0), 6회-10회 395명(12.4%), 11회이상 593명(27.7%)이었다. 고위험 음주 경험을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고위험 음주 경험을 많아 하며, 연령이 증가하면 고위험 음주음 경험이 낮아지며, 교육수준이 높아지면 고위험 음주 경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자제 경험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음주자제 경험을 많아 하며, 연령이 증가하면 음주자제 경험이 낮아지며, 교육수준이 높아지면 음주자제 경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빈도 음주 경험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다빈도음주 경험을 많아 하며, 연령이 증가하면 다빈도 음주 경험 높아지며, 가구 평균 소득이 증가 하거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 다빈도 음주 경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결혼 후 배우자 유무와 고위험 음주는 남녀를 합친 전체와 남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음주자제빈도에서는 남녀를 합친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다빈도 음주에서 여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절주사업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TO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TS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 Chin, Tae-Won;Kim, Sa-Jun;Lee, Heung-Pyo;Cho, Soo-Chur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8 no.2
    • /
    • pp.163-174
    • /
    • 1997
  • This study was to know the influence of familial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on conduct disorder. Subjects were composed of 47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patients group), 113 general male and female students(normal group), and 173 juvenile prisoners(JP group). The Korean Form of the Family Environment Scale(FES) was used to assess the family environment of the subjects and the Korean Defining Issues Test(DIT) was used to assess the moral development. Conduct disorder was diagnosed with the DSM-III-R criteria for conduct disorder. The influence of familial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on conduct disorder was analyzed with ANOVA an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verified with Scheffe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hysical abuse by the parents among the three groups. But the rates of divorce or separation of the parents were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JP group and higher in the patient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Especially the subjects of the JP group experienced the divorce or separation of their parents during the preschool or the elementary school periods. In regard to the family environmen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Subscales of Expressiveness, Independenc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Moral-religious emphasis, Organization, and Control. ‘Cohesion Subsca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JP group. ‘Conflict Subsca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JP and patients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Achievement orientation Sub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JP group than in the patients and normal groups. ‘Activerecreational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JP and patients groups. In gegard to the moral developmental stage, the lower moral developmental step was higher in the JP and patients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higher ste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JP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Moral-religious emphasis Subscale’ and the moral development.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present study were listed and discussed.

  • PDF

Suicide Ideation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by Gender (한국 성인의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분석)

  • Park, Eun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9 no.3
    • /
    • pp.161-175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and its the related factors by gender among Korean adults. Methods: National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database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V-2) were used for this study. 13,165 adults (${\geq}20$ year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Results: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was 9.8% for men, 18.9% for women. Renal failure, depression, melancholy,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moking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among both men and women for suicide ideation. Divorced, separated or widowed of marital status and severe physical activity were related factors of suicide ideation for men. Low educational attainment, and alcohol dependency were associated factors of suicide ideation for women. Conclusions: There was gender difference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icide ideation. These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suicide prevention program.

Change in Fertility Rates in Korea: Causes and Future Prospect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 Kim, Seung-Kw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1-34
    • /
    • 2004
  •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출산율의 저하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우려하여 대책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국가정책을 개발${\cdot}$추진하기 이전에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저출산 현상의 올바른 인식과 철저한 원인규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산율 변화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변화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먼저 자녀출산의 변화를 결혼상태 변화와 유배우부인의 출산율 변화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과거와는 달리 최근의 출산율 저하는 유배우 부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미혼자의 결혼연장 또는 독신생활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요인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경기침체 및 직장불안정, 결혼가치관의 변화와 초혼연령의 상승, 자녀양육 관심증대, 자녀양육비 부담, 가정과 직장의 양립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부족, 여성의 자아욕구 및 사회참여 증대, 자녀효용가치 감소, 이혼 등 가족해체의 증대, 그리고 불임부부의 증대 등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출산율 변화를 전망해 보면, 저출산을 일찍 경험한 서구 선진국의 경우와는 달리 정책의 추진에 한계가 있어 선진국보다 더 낮은 출산율을 회복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더군다나 젊은 미혼남녀의 가치관이 개인주의화 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출산율 회복정책을 추진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수년간 실시된 각종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경기침체가 회복될 경우 약 20%의 출산율 상승 가능성이 있으며, 이 때의 합계출산율은 약 1.43명 수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또한 종합적 체계적 출산회복정책을 효과적${\cdot}$효율적으로 추진한다면 약 10년 후에는 합계출산율이 약 1.6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적 견해를 가져본다. 그렇지만 정책의 강도에 따라서 회복수준은 현저하게 상이할 것이다.를 진단, 치료함에 있어 진행성 신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예후인자가 없다면 신생검보다는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추적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도 등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견 당시 혈청 $C_3$치의 감소는 모두 11명(61.1%)에서 관찰되었는데, 증상군에서는 7명(87.5%),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40%)으로 증상군에서 혈청 $C_3$치의 감소가 보다 현저하였다. 그러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증상군에서는 7명 중 4명,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 중 1명에서 혈청 $C_3$치는 정상범위로 증가하여 최종 관찰시점에서는 6명 (33.3%)에서만 혈청 $C_3$치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혈청 $C_3$치의 감소를 보인 경우를 다시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의해 세분하여보면 발병당시에는 I형 8명(61.5%), II형에 1명(100%), III형 2명(50%)에서 관찰되었는데, 최종 시점에서는 I형 4명(30.8%), II형 1명(100%), III형 1명(33.3%)이었다. 또한 증상군에서 세포성 반월체형성과 세뇨관위축의 빈도가 높았으며, 사구체 혈관벽 비후와 사구체 간질의 증가의 정도가 집단뇨검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무증상성 요이상을 가진 환자에서 신장조직검사 실시 후 MPGN으로 진단되는 증례가 증가하고 있고, 오히려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보다 빈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집단뇨 검사에서 소변의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신장 조직검사를 실시할 경우 혈청 $C_3$치의 감소 여부에 관계없이 MPGN도 진단적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막 증식성 사구체 신염과 매우 희귀한 증례인 신유전분증 등으로 진단됨으로써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정확 진단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