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혼부모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부모의 이혼 유무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Undergraduates: Focusing on the Divorce Status and the Marital Conflict of their Parents)

  • 한영숙;양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79-387
    • /
    • 2020
  •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여부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은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를 통하여 비교하였고, 부모의 이혼과 부부갈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혼을 하지 않은 부모들은 고갈등부모와 저갈등부모 자녀집단으로 나누어 이혼부모 자녀집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1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방법은 빈도분석과 t-검증, 상관분석,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부모가 이혼한 집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고,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는 이혼하지 않은 부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커플관계탄력성은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이혼은 하지 않았지만, 부모의 부부갈등이 높은 집단의 대학생들이 가장 심리적인 적응의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자체보다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적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혼가정자녀의 행동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과 아동의 이혼지각 분석 (Impact of Conflict and Nurturing Factors for the Divorced Parents on the Behaviora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 주소희;조성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215-238
    • /
    • 2004
  • 이혼가정자녀들의 부모이혼 후 적응방법을 찾기 위해 부모갈등, 부모양육태도 그리고 이혼에 대한 지각이 이혼 후 자녀들의 행동적응에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가 이혼한 가정의 자녀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해 분석되었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부모간 갈등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이혼에 대한 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행동문제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이혼지각에 직접 영향을 주며 아동의 행동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총효과를 보면, 이혼지각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아동의 부모이혼에 대한 지각은 더욱 부정적으로 나타나며, 이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강력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아동의 이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파악된 현상을 근거로 이혼 후 자녀들의 행동적응을 위한 예방과 전략이 모색되었다.

  • PDF

부모 이혼이 청소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parents divorce)

  • 김은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3-38
    • /
    • 2018
  •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목적을 두었으며, 이혼한 부모를 가진 청소년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분석한 기존문헌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가족 구조에 기초한 또래 관계의 다양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되었으며 핵가족의 청소년들과 비교해 보면, 이혼한 부모를 가진 의붓 가족의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형태의 상호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즉 부모들의 이혼은 그들의 아이들이 사춘기 때 겪는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또래들 사이에서 고립형태의 모습을 보이거나 낮은 자존감, 소통기술의 부재 등을 나타내었다. 이혼가정의 청소년 또래집단의 일반적인 심리적, 인지적 발달은 종종 연구되나 향후 미래 연구는 그들의 학교에서의 또래 상호 작용과 사회적인 상호 작용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이혼 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명가에 대한 고찰 (literature Re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ana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fter Divorce in the USA.)

  • 유희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1-9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and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fter divorce in the USA. Divorce Education Programs for Divorcing Parents have been explosively developed and executed after 1990's in America, and the half of them are court-connected mandatory prevention programs. This paper analyses the social background of nationwide provision, the present situation, and evaluates the evaluation and future prospect of the programs.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ety are suggested.

이혼가족 청소년의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Non-Custodial Parents)

  • 조성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7-168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facot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with non-custodial parent.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the family function as a factor controlling other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and social suppor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2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SPSS 22.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affected the relationship with non-custodial parent.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with non-custodial parent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non-custodial parents.

부모의 이혼과 아동의 또래애착 (Parents Divorce And Childrens Peer-Attachment)

  • 김옥;이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3호
    • /
    • pp.31-40
    • /
    • 2001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divorce and childrens peer-attachment. For this purpose, 79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se parents divorced answered the questionnaire which asked about the length of period after parents divorce, present family type, and childrens peer-attachment. The results showed that boys had lower communication level and higher estrangement level than girls among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parents divorce, that children who passed more than two years after parents divorce had lower communication level than children who passed less than two years after parents divorce, and that children from single father family had higher estrangement level than children from step parents family.

  • PDF

결혼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Duration)

  • 홍백의;박은주;박현정;박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307-328
    • /
    • 2009
  • 본 연구는 별거 이혼을 경험한 부부의 결혼지속기간의 추이를 살펴보고, 결혼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노동패널 1998~2007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생존표법(life tables)과 비례적 위험회귀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생명표법을 통하여 별거 이혼 추이를 보면 결혼 이후 5년 이내 이혼을 하는 경우가 0.79%, 10년 이내 이혼을 한 경우는 2.12%, 20년 이내 이혼을 한 경우는 5.84%를 나타났다. 결혼지속기간은 남편의 연령, 아내의 연령, 아내의 학력, 남편의 월 평균소득, 부모 부양여부, 그리고 연간가구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젊은 세대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경제적 상태가 열악할수록, 부모부양부담이 있을수록 이혼할 위험이 높으므로 이들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 PDF

20, 30대 이혼 남녀의 이혼과 이혼 후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 옥선화;성미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41-160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explored the sex differences. For this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30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liv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Sep. 23rd to Oct. 20th, 2002.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dealt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and other sca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en and women experienced a similar level of pre-divorce conflicts, women were more likely to want to divorce. Second, although women had wor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and more difficult problems than men after divorce, women more readily accepted their divorce reality than men. Divorce was not the best but the second best way to escape from a bad marriage for women.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marital preparation and divorce adjustment programs.

누적적 위험요인과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연구 (Cumulative Risk and Problem Behavioral of Divorced Family's Children)

  • 주소희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61-86
    • /
    • 2008
  • 본연구의 목적은 이혼가정자녀들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누적적 위험모델의 효과성과 누적적 위험요인의 수와 그 누적적 영향력이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누적적위험 요인은 생태체계적인 측면에서 12개로 구성하였으며 위험요인의 원점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0-12점의 점수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이혼가정자녀들이 부모이혼후 경험한 위험요인의 수가 많은 아동일수록 문제행동의 가능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위험요인의 누적적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에 누적적위험요인의 영향력과 다중위험 요인의 영향력이 일관성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이혼가정자녀들의 행동문제를 위한 예방과 전략이 모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