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행 전략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전략적 균형성과지표의 분석방법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시뮬레이션

  • 손태원;정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2.02a
    • /
    • pp.1-15
    • /
    • 2002
  •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지식 및 정보화 사회의 도래는 기업 경쟁 패러다임의 전면적인 개편을 요구하고 있다. 재화와 서비스의 질과 가격을 무기로 싸우던 것이 기존의 경쟁 패러다임이었다면, 신생산방법, 신시장, 신조직을 창출하는 것이 21세기의 경쟁 패러다임으로 정착되고 있다. 이처럼 산업경제시대에서 정보경제시대로 이행하면서 기업경영에서 가장 필요한 활동은 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전략의 실천일 것이다.(중략)

  • PDF

2000년 연도표기 문제 해결방안

  • Park, Yeong-Hyeon
    • 정보화사회
    • /
    • s.115
    • /
    • pp.13-16
    • /
    • 1997
  • 2000년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방법으로는 우선 고객이나 모든 경영자들, 실무자들이 문제를 인식하고 비즈니스 측면, 시스템 측면, 어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영향평가를 한 뒤에 그 결과에 맞게 규모나 비용, 범위를 산정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대응전략의 선정 및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패키지 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통한 설치 및 조정작업과 수정작업, 그리고 재개발 등의 상세분석 및 이행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21세기 우리 축산업의 대응전략

  • Sin, Seung-Yeol;Heo, Deok
    • 사료
    • /
    • s.8
    • /
    • pp.83-89
    • /
    • 2004
  • 칠레와의 FTA가 체결되었고, 일본 · 중국과의 FTA 체결이 검토되고 있으며 WTO의 UR협상결과 이행과 아울러 DDA협상이 진행되는 등 축산업을 둘러싼 국제적인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각종가축질병의 발생과 Wellbeing 바람등 축산물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들이 속속 나오는가 하면 rrnal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가축분뇨의 환경친화적 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 패러다임의 변화를 강요하고 있다. 한구축산학회에서는 이 같은 축산환경변화에 따른 ‘21세기 환경축산의 대응전략’ 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다음은 이날 발표된 ‘21세기 축산물수급전만 및 대응전략’중 대응 전략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Comprehensiv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Plan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 이행평가체계 마련 연구)

  • Lee, Hyunji;Kang, Moon Seong;Kim, Jihye;Kim, Seok Hyeon;Kwak, Jihye;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6-506
    • /
    • 2022
  •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BOD, T-P)은 점오염원의 2배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전략 및 추진과제 마련을 위해 제1차('04-'11), 제2차('12-'20)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이하 종합대책)이 수립 및 이행되었다. 이어 2016년 물환경보전법 개정에 따라 종합대책의 수립이 법제화되고 지난 2020년 말 제3차 비점종합대책('21~'25)이 수립되었다. 제3차 비점종합대책은 수질개선이 체감되는 비점오염원 관리라는 비전을 가지며 도시, 농·축산, 산림, 관리기반의 4개 분야에 총 71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P 비점오염배출부하량 5% 감축, 불투수율 감축, 비점오염관리지역개소 확대, 고랭지 흙탕물 관리지역 구역 확장, 지역 거버넌스 구축을 대책의 목표와 각 분야별 관리지표로 제시하고 있다. 물환경보전법 제53조의5와 동법 시행령 제75조의3에 따라 환경부장관은 매년 이행사항을 점검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비점오염원 관리 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반영해야 한다. 지난 제1·2차 대책의 경우 성과 점검 및 관리를 위한 체계가 부재하여 사업의 실효성 확보에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소관별 이행사항 점검 및 평가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대책 이행평가 전략 및 세부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효율적인 소관별 이행사항 점검 및 평가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분야별 세부 추진과제는 매년, 대책의 목표와 각 분야별 관리지표는 대책 시행 후 5차년에 점검 및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종합대책의 최종 목표 달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5차년 이후 원활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마련한 이행평가 체계를 통해 적절한 이행평가 및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ational Public Procurement Innovation through SRM (SRM 솔루션을 통한 국가 공공조달 시스템 혁신 방안)

  • Chang, Juno;Lee, Jae-Won;Lee, Ig-Hoon;Lee, Sang-G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9
    • /
    • pp.823-834
    • /
    • 2008
  • Recently, interests for SRM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to automate the whole processes of supply chain from sourcing to procurement and improve the whole efficiency of supply chain by strategically managing the relationship with external partners (suppliers). The national procurement service of Korea is trying to build new paradigms by introducing SRM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this, a new assessment model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suppliers with fairness and objectivity should be develop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RM solution including a model that evaluates and grades of suppliers' capabilities of performing the contracts. We also explain the innovation of national public procurement system through this SRM solution.

국가인적자원 개발 방향과 전문대학의 과제

  • Gang, Mu-Seo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e
    • /
    • pp.151-156
    • /
    • 2001
  • (1) 21세기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진입하여 초일류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지식기반사회로의 성공적인 이행과 디지털 경제 시대에의 능동적인 대응임. (2)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디지털 경제시대는 정보와 지식이 가치 창출과 경쟁력의 핵심 원천인 동시에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며,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창출 획득,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 관리가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임. (3) 대다수 OECD 회원국에서는 이미 지난 세기말부터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기 위한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인적자원개발 관리에 관심과 정책을 총집결하여 왔으며, 국가 차원의 교육개혁추진과 관련부처의 통폐합 등 인적자원개발 관리체제를 재구축 하였음. (4) 부존자원이 전무하여 사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도 다각적으로 인적자원개발 관리에 관심을 보이고, 정책을 펼쳐왔지만 아직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관리체제가 미흡하여 정책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곳곳에 인적자원개발 관리의 비효율 비능률이 초래되고 있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