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해 수준

Search Result 2,64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cientific 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Separation of Mixtures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혼합물의 분리 개념을 중심으로)

  • Noh, Sehoon;Choi, Wonho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37 no.1
    • /
    • pp.103-116
    • /
    • 2016
  • In this study, we examined scientific 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mixtures'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was different by the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the more exactly they understood scientific concept. Misconception was observed at all the achievement level. The higher the achievement level, the common misconception was associated with concept definition. And the lower the achievement level, the common misconception was associated with phenomenon.

  • PDF

An Analysis of Bloom's Cognitive Domain Questions in the Home Economics area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영역에 나타난 Bloom의 인지적 영역 질문 분석)

  • Kim, Hyun-Hee;Park, Mi-Jeong;Chae, Jung-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2 no.1
    • /
    • pp.97-11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equency, level, and location of Bloom's cognitive domain questions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xt books applied to the 7th curriculum. Analyzed textbooks were selected 15 textbooks per a grade produced from 5 publishing firms.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ed: First, the biggest number of questions belonged to Bloom's cognitive domain in HE: text was in 1st grade (36.9%), following 2nd(33.6%) and 3th(29.5%). Most questions the HE textbooks according to Bloom's cognitive domain consisted of those about the understanding(28.9%), application(28.3%) and knowledge(21.8%). Second, in case of the location of questions, the subcategory of Questions after Reading occupied 49.2% of all in Bloom's cognitive questions, the case of Questions During Reading was 36.7%, and the subcategory of Questions Before Reading was 14.1%. The rate of understanding questions was the highest as 43.2% in the Bloom's cognitive domain, and the application questions' rate were 28.4%. Analyzed the questions located in questions, the result showed that application-level questions in textbooks were the highest with 36.7%, Regarding to the questions located after Reading, the knowledge question occupied the highest with 33.4%, and next was the understanding questions(26.8%), following the application questions(21,7%).

  • PDF

Narrative discourse in patients with fluency aphasia (유창성 실어증자의 이야기 이해와 산출능력)

  • Yang, Yong-Seon;Kim, S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6.06a
    • /
    • pp.125-130
    • /
    • 2006
  •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장들을 연결하여 흐름을 조직하고 말로 산출하고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야기는 이러한 문장들이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종속적이거나 나열적인 이야기 특성은 의사소통장애인의 이야기 이해와 산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특성에 따른 유창성 실어증환자의 이야기 이해 및 산출의 능력을 알아보고, 이해과제 수행이 산출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이야기 종류로는 시간적 나열 이야기와 인과적 관계 이야기, 유머가 있는 이야기를 사용하였으며, 사실적 정보, 텍스트 추론, 빠진 정보추론 등 세 가지의 이해과제를 통하여 이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산출능력은 이해과제 전과 후에 CIU 비율로 질적인 측면을 측정하고, 분당어절 수를 이용하여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해측면은 세 가지 이야기 모두 사실적 정보에 대한 이해 능력이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오류의 형태는 추론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산출에서는 인과적 관계이야기에서의 CIU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해과제 전, 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CIU 비율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분당 어절수에서는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야기의 종류에 따라서 유창성 실어증화자의 산출과제의 수행수준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해과제의 수행이 산출과제에서 양적인 증가는 가져왔으나 질적인 수준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무한개념의 이해와 반성적 추상

  • Jeon, Myeong-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655-691
    • /
    • 2002
  • 16개의 무한개념 문제를 가지고 47명의 대학생에게 개별 검사하여 무한개념의 이해 과정을 설명하고자 시도했다. 전문가-초심자의 조망에서 미시발생적 방법을 사용하여 2명의 사례를 비교 ${\cdot}$ 분석하였다. Cifarelli(1988)'의 반성적 추상과 Robert(1982)와 Sierpinska(1985)의 무한개념의 3단계를 설명의 틀로 사용하였다. 실무한 개념 수준으로 이행한 사례 P는 그렇게 하지 못한 L보다 높은 수준의 반성적 추상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반성적 추상은 무한개념의 이해에 결정적인 사고의 메카니즘으로 볼 수 있다.

  • PDF

Investigation of Learning Progression for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용해와 용액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조사)

  • Noh, Taehee;Lee, Jaewon;Yang, Chanho;Kang, Sukjin;Kang, Hun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2
    • /
    • pp.295-302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learning progression focusing on $5^{th}$ to $9^{th}$ graders' performances with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using the construct modeling approach. We designed a construct map describing hypothetical pathways of the concept development of dissolution and solution by analyzing both National Science Curricula and related studies. A conceptions test consisting of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826 students. A revised construct map was derived from analyses of the results based on the partial credit model, a branch of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The sequence of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presented in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was found to correspond with the learning progression of the students. However, the lower anchor, the concept of the homogeneity of particles in solu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solubility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expected levels of the construct map. After revising the construct map, we proposed a learning progression for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with five levels: Students of level 1 (the lower anchor) recognize the particles in the solution but misunderstand various concepts; Students of level 2 understand the homogeneity of particles in solution; Students of level 3 understand solubility and the conservation of particles during dissolution; Students of level 4 partially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les; and Students of level 5 (the upper anchor)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solubility.

정보보호 수준 자가 측정-환상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측정하라

  •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 정보보호뉴스
    • /
    • s.129
    • /
    • pp.27-29
    • /
    • 2008
  • 정보보호 부서 이동 후 새로운 업무를 이해하는 것만으로 한 달을 소비한 김 대리. 그렇다고 성과가 전혀 없던 것은 아니었다. 어떤 웹 사이트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알게 됐고,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처럼 간혹 언론매체를 통해 접했던 정보보호 관련 용어가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됐다. 무엇보다 '환상'기업의 보안관으로서 어떤 활동을 해야 할 것인지를 이해했다는 점에서 김 대리에게 지난 한 달은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하지만 이제 막 한숨을 돌린 김 대리는 또 다른 난관에 봉착했다. 경영진으로부터 환상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수치화해 보고하라는 지시가 내려온 것이다.

  • PDF

Analysis of Chemistry Teachers' Cognitive level related to Two Types of Acid-Base Models based o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viewpoint (인식론 및 존재론적 관점에서 두 유형의 산·염기 모델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지 수준 분석)

  • Lyu, Eun-Ju;Paik, Seoung-Hey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4 no.5
    • /
    • pp.267-276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chemistry teachers' cognition related to two types of acid-base models taught in secondary schools.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identify teachers' cogni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Ignorance' of each mode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items, one related to acid and base reactions and one related to acid and base dissociation, which suggested inconsistencies between the two models. The subjects were 15 chemistry teachers, and as a result, teachers' cognitions were analyzed at four levels. The four levels are: if they don't know the two models, if they only understand one model, if they understand the two models, and perceived the 'Ignorance' of one model, and if they understand the two models and perceived the 'Ignorance' of the two models. The largest proportion of teachers understood the two models and perceived the 'Ignorance' of one model. However, the proportion of understanding the two models and perceiving the 'Ignorance' of the two models was very small. Through this, we argued that efforts to increase the level of chemistry teachers' cognition of the model and 'Ignorance' were necessary.

The Effect of Teacher Education Using Scratch on Understanding of Science Model (스크래치를 이용한 교사교육이 과학교사의 모델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 Paik, Seoung-Hey;Kim, Sung-Ki;Choi,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80-383
    • /
    • 2017
  • 과학에서 사용하는 모델은 자연 그 자체가 아니면 자연을 단순화하여 표현한 표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 모델은 자연을 표상하기 위한 특정한 알고리즘을 갖는다. 그러므로 과학 모델에 대한 이해는 자연을 표상하기 위한 특정한 알고리즘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특정한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다른 현상의 예측과 설명을 위한 도구로 본 논문은 스크래치를 활용하였다. 또한 과학의 모델에 대한 이해의 소재로 대학생뿐만 아니라 많은 과학교사 조차도 대안개념에 머물러 있는 뜨거나 가라앉는 현상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원 교육대학원 멀티미디어와 과학교육을 수강한 17명의 과학교사이며, 스크래치를 통해 기본 알고리즘 3시간, 응용 알고리즘 3시간을 투입하였다. 모델에 대한 이해를 위해 뜨거나 가라 앉는 현상에 때한 LP설문지를 사전, 사후검사에 실시하였다. 1차적으로 양적변화를 통해 이 현상에 대한 개념의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2차적으로 인터뷰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모델에 대한 이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교사들은 현상에 대한 개념에 대한 수준이 상승하였으며, 질적자료 분석 결과,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depth)와 전이능력(transfer)이 증가하였다. 이는 스크래치를 통해 과학 모델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arth Systems to Implement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ffectively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 Lee, Hyo-N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7
    • /
    • pp.798-80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earth systems in order to implement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ffectively. A total of 121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sked to determine their basic understandings about earth systems, self-reported knowledge level, and perceived significance level of the 23 earth systems concepts (contents). In relation to students' basic understandings about earth system, approximately 67% students reported that they didn't know about the term of the earth system. Atmosphere and hydrosphere were highly perceived as major component of earth system. However, cryoshere was perceived to be least familiar by the subject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students' self-reported knowledge level and significance level about major ESU#4, #5, #6 related concept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Most of male students were more knowledgeable and perceived more significant than female students. Regarding the difference of the perceived significance level by grade, 10 out of 23 concep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om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revised curriculum and school fields were discussed.

Generative Evidence Inference Method using Document Summarization Dataset (문서 요약 데이터셋을 이용한 생성형 근거 추론 방법)

  • Yeajin Jang;Youngjin Jang;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137-140
    • /
    • 2023
  • 자연어처리는 인공지능 발전과 함께 주목받는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게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많은 인공지능 모델은 블랙박스처럼 동작하여 그 원리를 해석하거나 이해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연구 초기에는 모델의 예측에 큰 영향을 끼치는 단어나 절을 근거로 추출했지만 문제 해결을 위한 단서 수준에 그쳤으며, 이후 문장 단위의 근거로 확장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문서 내에 서로 떨어져 있는 근거 문장 사이에 누락된 문맥 정보로 인하여 이해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람에게 보다 이해하기 쉬운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생성형 기반의 근거 추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높은 수준의 자연어 이해 능력이 필요한 문서 요약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근거를 생성하고자 하며, 실험을 통해 일부 기계독해 데이터 샘플에서 예측에 대한 적절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