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해성

Search Result 11,15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Self-understanding of Art in an age of the End of Self-evidence (자명성 종언의 시대에서 예술의 자기이해 - 가다머(H.-G. Gadamer)의 「예술의 종언?」을 중심으로 -)

  • Kim, Seo-ra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5
    • /
    • pp.143-165
    • /
    • 2018
  •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past character of art through Gadamer's interpretation of "End of the Art" thesis of Hegel. His interpretation also reveals that new art can demand a validity as a way of self-understanding that the art understands itself from its past. Hegel declared the end of art in his philosophical system. From Gadamer's perspective, it means that art has past character in the horizon of modern christianity-humanistic self-evidence (II). Then art understands itself as the past and demands its own validity. Gadamer sees that art cannot require common self-evidence which is clearly and universally understood by all in an age of "the end of self-evidence." And according to him, this requirement shows up in the phenomenon of anti-art in post-modernism(III). From his standpoint it is about time to demand new validity of art again and this requirement could be complied through hermeneutical self-understanding. Art exists as a self-understanding artwork in the cycle of understanding in which art understands itself as an understood past. As a play is played by players, artwork exists as participating spectators. This artwork does not demand a common understanding but exists through various understandings of spectators(IV).

A Study on the Compatibilities of Symbols in Driver-Automoive-Environment System (운전자-차량-환경에서 부호의 양립성에 대한 연구 -주행편의장치 부호의 다중평가-)

  • Son, Il-M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235-244
    • /
    • 2016
  • Automotive symbols are more widely needed for new, convenient driving devices in automobiles. Good automotive symbols should be detectable, identifiable at first glance, easily learned, recognizable, and produce quick responses after practice. In this paper,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automotive symbols is suggested. It includes multiple tests, such as comprehension, perceptual quality, appropriateness, and integrated evaluation. 28 symbols were tested and evaluated by the suggested methodology for convenient driving systems, such as a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cruise control (CCS), and a collision warning system (CWS). Most of the KS R ISO 2575 symbols had higher scores of comprehension, perceptual quality, and appropriateness, but the sunroof and camera symbols had lower scores. Standard symbols with several new functions should be developed. This methodology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automotive symbols.

A Framework for Modeling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 Cohesive Sediment (점착성 유사의 분포 모형 개발을 위한 Framework)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9-249
    • /
    • 2019
  • 하천에서 하상과의 접촉 없이 부유 상태로 이동하는 유사는 부유사로 정의된다. 부유사의 이동은 유사 입자의 침강 속도와 난류의 섭동 성분에 따라 결정된다. 실제 하천에서 부유사는 단일 크기가 아닌 여러 크기의 유사 입자가 혼재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유사의 이동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침강 속도를 결정하는 유사 입자 크기의 분포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진흙과 같은 점착성 유사의 경우에는 모래와 같은 비점착성 유사와는 달리 입도 분포를 구성하는 유사 입자의 크기가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유사의 특성 변화는 유사 알갱이 표면의 전자기적 점착력으로 인한 응집 현상(Flocculation Process)에서 기인한다. 응집 현상으로 인해 점착성 유사는 물과 유사 입자의 덩어리인 플럭(Floc)을 형성하며, 플럭의 특성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흐름 특성 및 입도 분포뿐만 아니라 플럭의 응집 현상에 관한 이해가 함께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럭의 응집 현상으로 인한 크기 변화와 입도 분포를 이해하기 위한 모형 개발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입도 분포 모형의 개발을 위해 추계학적 접근법이 이용되며, 추계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방법이 적용되었다. 입도 분포 모형과 유사 이동 모형의 결합을 통해 흐름 내 부유 상태로 이동하는 점착성 유사 입도 분포에 관한 수치 모형 개발이 가능하다.

  • PDF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Pi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원주율 개념에 대한 이해)

  • Kang, Hyangim;Choi, Eunah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1
    • /
    • pp.91-11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pi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explore improvement direction of teaching p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understood insufficiently the property of approximation, constancy and infinity of pi from the fixation on 'pi = 3.14'. They mixed pi up with the approximation of pi as well. Second, they had a inclination to understand pi as algebraic formula, circumference by diameter. Third, few students understood the property of constancy and infinity of pi deeply. Lastly, the discussion activity provided the chance of finding the idea of the property of approximation of pi. In conclusion, we proposed several methods which improve the teaching of pi at elementary school.

The Effect of Cohesive Devices on Memory an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Text (응집장치가 과학텍스트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효과)

  • 김세영;한광희;조숙환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2
    • /
    • pp.1-13
    • /
    • 2002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impact of linguistic markers of coherence, such as causal connectives. repetitions. and anchoring devices. on the comprehension of a scientific text in Korean. A scientific text on the process of lightning formation was selected. and two versions of the text were constructed by varying the strength of coherence. Eighty-two undergraduate students took Part in the experiment in which they were instructed to fill in the blanks in each text in a recall and a recognition task and to respond to a set of question in a comprehension tes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revealed a selective effect of the cohesive marker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 linguistic signals seem to Play a facilitating role in varying degre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asks involved Moreover an analysis of topic continuity from the beginning paragraphs through the last revealed that the text was better understood in the paragraphs containing the main topic better than those without it. This finding seems to indicate that the off-line processing of scientific text is not influenced solely by the local bottom-up processing alone The effect of topic continuity seems to suggest that a global. top-down processing effect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overriding the impact of cohesive devices.

  • PDF

ORT(Ornithobacterium rhinotracheale)에 대해서

  • 정용운
    • Monthly Korean Chicken
    • /
    • v.60 no.54 s.120
    • /
    • pp.80-84
    • /
    • 2005
  • 최근에 여러 전염성 질병들로 인해 종계의 생산성에 많은 피해를 주어 육계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뉴캣슬병, 저병원성 인플루엔자, 전염성 기관지염 등 몇몇 특정 질병에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최근에 육계와 종계에서 이런 질병들 이외에 실제로 다양한 신종 질병들이 발생해 축산농가가 피해를 입고 있다. 불행히도 이러한 신종 질병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전염성 질병들에 의한 피해에 가려져 있어 정확한 이해 없이 방관하거나 왜곡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계산업에서 특히 수의 분야에서 신종 질병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치료 및 예방 대책의 수립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질병들 중 하나가 'ORT'이다. 필자는 이번 기회에 ORT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지면을 빌려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Randomness (예비교사들의 무작위성 개념 이해 조사)

  • Ko, Eun-Sung;Lee, Kyeong-Hwa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4
    • /
    • pp.455-471
    • /
    • 2010
  • Understanding of randomness is essential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derstanding of randomness prompts to understand natural and social phenomena from the point of view of mathematics, and plays a role of base in understanding of judgments based on rational interpretation on these phenomena.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this, and they understand randomness included in various contexts. According to results, they did not have a understanding of randomness in the context related to measuring, while they grasped randomness in simple and joint events. This implies that they lack the understanding of variability which is essential in the context of measuring.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the settings of measuring should be introduced into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especially that data from measuring should be analyzed focusing on the variability in the data set.

  • PD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lmogorov Length Scale and Floc Size Distribution (플럭의 입도분포와 난류 길이규모와의 상관관계)

  • Byun, Jisun;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7-307
    • /
    • 2020
  • 하천에서 하상과의 접촉 없이 부유 상태로 이동하는 유사는 부유사로 정의된다. 부유사의 이동은 유사 입자의 침강 속도와 난류의 섭동 성분에 따라 결정된다. 실제 하천에서 부유사는 단일 크기가 아닌 여러 크기의 유사 입자가 혼재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유사의 이동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침강 속도를 결정하는 유사 입자 크기의 분포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진흙과 같은 점착성 유사의 경우에는 모래와 같은 비점착성 유사와는 달리 입도 분포를 구성하는 유사 입자의 크기가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유사의 특성 변화는 유사 알갱이 표면의 전자기적 점착력으로 인한 응집 현상(Flocculation Process)에서 기인한다. 응집 현상으로 인해 점착성 유사는 물과 유사 입자의 덩어리인 플럭(Floc)을 형성하며, 플럭의 특성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흐름 특성 및 입도 분포뿐만 아니라 플럭의 응집 현상에 관한 이해가 함께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럭의 응집 현상으로 인한 크기 변화와 입도 분포를 이해하기 위한 모형 개발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입도 분포 모형의 개발을 위해 추계학적 접근법이 이용되며, 추계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방법이 적용되었다. 입도 분포 모형과 유사 이동 모형의 결합을 통해 흐름 내 부유 상태로 이동하는 점착성 유사 입도 분포에 관한 수치 모형 개발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