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출위치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Separated Position of Floating Light Buoy Equipment with AtoN AIS and RTU (항로표지용 AIS 및 RTU가 부착된 부유식 등부표의 이출위치 연구)

  • Moon, Beom-Sik;Yoo, Yun-Ja;Kim, Min-Ji;Kim, Tae-Go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6 no.4
    • /
    • pp.313-320
    • /
    • 2022
  • The light buoy installed on the sea is always flexible, because it is affected by the weather as well as passing vessels. The position of the light buoy can be cached through the AtoN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nd RTU (Remote Terminal Unit).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on data of the light buoys for the last five years (2017-2021),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buoys within the maximum separated position. As a result, there was a basic error of 17.9% in the position data. Additionally, the separated position error of 197 light buoys to be analyzed was 70.64%, and the AtoN RTU was worse than the AtoN AIS by equipment.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plotting the position data of the light buoy,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most common percussion center type, the percussion center dichotomous type in which the position is divided into two zones based on the chimney, the central movement type with a fluctuating center, and the drag type, in which the position is deviated from the center for a certain period. Except for Type-1, the typ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light buoy was installed. This study is the first to analyze the position data of the light buo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position data of the light buoy.

등부표 이출범위와 안전도선에 관한 연구

  • 최광영;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41-242
    • /
    • 2023
  • 등부표는 선박의 안전한 항행을 지원하는 시설인 항로표지의 한 종류로 항행하는 선박에게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의 소재를 알리거나 항로의 경계를 알리기 위해 침추를 해저에 정치하여 해상의 고정위치에 띄워 놓은 등화가 설치된 것을 말한다. 등부표의 표체는 해저에 정치된 침추와 체인으로 연결하며 체인의 길이는 수심의 1.5 ~2.5배로 하여 표체를 계류한다. 등부표는 조류,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이출거리가 발생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선회반경이 형성되나 외력으로 인하여 정상범위에서 벗어나 유실, 위치이동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선박추돌 등 항해안전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등부표 사고는 물적 피해비용과 이용자의 안전운항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또는 위험감수 등의 추가적인 행정소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안전한 도선을 위해서는 등부표의 이출범위와 위치가 변할 수 있음을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등부표로 인한 사고 예방과 안전한 도선을 위해 등부표 이출범위와 안전도선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Outlier(이상치) 분석을 통한 등부표 등부표 효율적 위치 관리 방안 연구

  • 최광영;송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0-291
    • /
    • 2023
  • Outlier(이상치) 분석을 통한 등부표 선회안전반경 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는 AIS 또는 RTU가 설치된 등부표에 대한 이탈 위험 인지, 항해안전 사고 예방 등 안전대책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등부표는 조류,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이출거리가 발생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선회반경이 형성되나 외력으로 인하여 정상범위에서 벗어나 유실, 위치이동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선박추돌 등 항해안전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등부표 사고는 물적 피해비용과 이용자의 안전운항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또는 위험감수 등의 추가적인 행정소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Outlier(이상치)란 외력 등으로 인해 최대 이출거리 이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거나 존재할 수 없는 극단적인 위치 값으로써 21년도 등부표 위치 데이터를 일정 단위 방위별로 분석해 본 결과 Outlier(이상치)가 식별되었다. 따라서 등부표의 안전한 위치 상태를 시스템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해 Outlier(이상치) 분석을 통한 등부표 선회안전반경 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등부표 이출 위치 분석

  • 문범식;유윤자;강정구;김민지;김태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66-67
    • /
    • 2022
  • 등부표는 항로표지 중 유일하게 해상에 설치되는 항로표지이다. 등부표의 중심은 침추이지만, 항해자에게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등부표의 실제위치는 외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표류한다. 이러한 등부표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난 5년간(2017-2021년) 전국 255기의 등부표 위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Data 오류는 17.94%였으며, 위치는 집중형, 이격형 등으로 구분되었다.

  • PDF

Metapopulation Structure and Movement of a Threatened Butterfly Parnassius bremeri (Lepidoptera: Papilionidae) in Korea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Parnassius bremeri )의 메타개체군 구조와 이주)

  • Kim, Do-Sung;Park, Doo-Sang;Kwon, Yong-Jung;Suh, Sang-Jae;Kim, Chang-Hwan;Park, Seong-Joon;Kim, Dong-Hyuk;Kim, Jin-Seo;Yu, Hye-Mi;Hwang, Jong-Se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0 no.2
    • /
    • pp.97-105
    • /
    • 2011
  • Understanding the metapopulation structure and movement of a species are required for conserving the species. In this paper, migration patterns and connectivity of patches of a threatened butterfly, Parnassius bremeri Bremer, were postulated using the mark-release-recapture (MRR) technique in a habitat located in the mid-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total of 194 individuals were captured (137 males and 57 females) and, of them, 93 individuals (73 males and 20 females) were recaptured during the MRR experiment. The migration analysis showed 23-150% immigration and 28-53% emigration.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migrating individuals and the distance between patche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igrating individuals and patch size or between migrating individuals and the number of host plants. Consequently, the migration of butterflies occurred frequently between closer patches, while patch size and quantity of the food plant had minor effects on migration behavior. Additionally, males migrated more frequently than females. Analysis of the migration patterns of P. bremeri showed that the central patch played an important role on linking patch groups and more frequent migrations were monitored between nearby patches than between the remote patches. This study suggested that active migrations take place between the neighboring multiple patches and these are accelerated if there is a stepping-stone patch between them.

위치기반 등부표 관리 기술 개발 연구

  • 최광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27-228
    • /
    • 2022
  • 위치기반 등부표 관리 기술 개발 연구는 AIS 또는 RTU가 설치된 등부표에 대한 이탈 위험 인지, 항해안전 사고 예방 등 안전대책 강화를 위해 연구하는 것이다. 등부표는 조류,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이출거리가 발생하여 선회반경이 형성되고 이러한 외력으로 인하여 유실, 위치이동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선박추돌 등 항해안전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등부표 사고는 물적 피해비용과 더불어 기능 정지 등으로 인하여 이용자의 안전운항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또는 위험감수 등의 추가적인 행정소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박추돌 의심 사고 발생시 가해 선박 확인은 현 관리운영시스템상 등부표 및 선박항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해경 및 VTS센터에 의뢰하여 식별 해야한다. 이와같이 등부표 사고가 발생하면 항해안전 위험, 행정소요 비용 발생 등 관리자 및 이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등부표가 고시된 위치에 정위치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안전반경 정보와 선박추돌사고 예방 및 사고발생시 등부표 항적과 선박항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등 등부표 위치를 기반으로하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여 관리 기술 개발 연구를 하였다.

  • PDF

Venom Production within the Poison Secreting Organ of the Spider (Agelena limbata) (들풀거미 (Agelena limbuta) 독분비기관내 독액의 생성에 관한 연구)

  • 문명진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4
    • /
    • pp.439-447
    • /
    • 1992
  • 거미류의 독선에서 분배되는 독액(venom)은 생성지는 위치에 따라 독물질과 점액물질의 두가지 종류로 구분되었다. 선 분비부의 전부와 분비 관에서 분비되는 독물질은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 과립의 형태로 합성된 후, 부분분비에 의해 내강으로 방출되었고, 선분비부의 후부에서 생성되는 점액물질은 커다란 덩어리의 형태로 집적된 후, 세포질의 일부와 함께 이출분비의 기작에 의해 방출되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선상피세포에 발달된 조면소포체와 골지복합체를 거쳐서 생성되었으며, 분비물질의 성숙 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적 변이가 관찰되었다.

  • PDF

Analysis of Vertical Fragmentation of the Regional Industries : Using Average Propagation Length in the Multi-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2005 (지역 산업의 생산 분화 과정 분석 : 2005년 지역 간 투입산출표의 평균전파길이 추정)

  • Kim, Eui-June;Yi, Yoo-Jin;Chang, Jae-Won;Choi, Eun-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
    • /
    • pp.77-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vertical fragmentation of regional industries in Korea using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and Average Propagation Length (APL). First of all, the competitiveness in regional export and substitution of regional imports were strong in the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sector in Gyeongnam, and consumer-oriented Manufacturing sector in Incheon, Gyeongnam, and Gwangju. The high values of the APL were also found in the regions with common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sectors with indirect effects. In addition, the industrial sectors with high quality of infrastructure, and endowed services tended to be locat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duction chain. FInally, sinc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in Seoul has higher APL, they could lead the growth of other related industries as key sectors, in the production fragmentation.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PERIODONTAL LIGAMENT (치주인대의 응력 분포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 Choy, Kwang-Chul;Kim, Kyung-Ho;Park, Young-Chel;Han, Jung-Y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1 s.84
    • /
    • pp.15-24
    • /
    • 2001
  • In order to achieve a desirable tooth movement,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control the M/F ratio and to know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cate the center of resistance and the axis of rotation, and to estim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periodontal ligament with experimental model. After preparing a model of an upper canine with a simulated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the force and moment were applied. The tooth movement was traced using measuring device with LVDTs(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s) that can measure three dimensional tooth movement in real ti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ocation of center of resistance by transverse force was $29\%$ of root length measured from alveolar crest to apex regardless of force magnitud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is more coronal than that of two-dimensional model($42\%$). 2. The center of resistance and the axis of rotation coincide when couple moment was applied. 3. As the magnitude of moment increases, tooth tends to extrude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of the moment. 4.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of force and axis of rotation (a x b = $49.6\;mm^2$) was obtained. A tooth movement can be predicted through this formula. 5. The centers of rotation by transverse force were plotted linea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