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중 링크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49초

단방향 이중연결 CC-NUMA 시스템의 동적 부하 대응 경로 설정 기법 (Load Balancing of Unidirectional Dual-link CC-NUMA System Using Dynamic Routing Method)

  • 서효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2A권6호
    • /
    • pp.557-562
    • /
    • 2005
  • 높은 클럭으로 동작하는 고속의 프로세서를 다수 이용한 다중프로세서 시스템 성능은 프로세서 자체의 성능보다 상호연결망의 트랜잭션 처리 능력 및 지연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호연결망의 성능은 대역폭 및 지연시간 측면으로 시스템 성능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단방향 이중 연결을 이용한 CC-NUMA 구조는 이중 연결을 이용한 대역폭 증가효과와 고속 단방향 링크를 이용한 적은 지연시간으로 인하석 고성능 시스템에서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이중 연결구조로 인하여 시스템의 상호연결망의 최단 경로는 단일하게 형성되지 않으며, 여러 개의 최단 경로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동일한 홉 수를 나타내는 경로일지라 하더라도 각 연결 링크의 부하 및 경쟁에 따른 지연 시간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며, 만일 노드간의 트랜잭션 전달 경로가 정적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실제 프로그램의 수행에서 균일하지 못한 연결 링크 부하에 따른 지연 시간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곧 고속의 상호연결망 전체의 대역폭을 균일하게 사용하지 못함으로 나타나는 부가적 지연 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된 단방향 이중 연결을 이용한 CC-NUMA 시스템에서, 노드간 트랜잭션 전달 경로가 정 적으로 구성될 경 우 발생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평가하고, 정적 경로와 동일한 홉 수의 경로를 나타내며 링크 부하에 따라서 동적으로 전달되도록 부하에 따르는 동적 경로 설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기존 경로설정 방법에 대하여 동일한 홉 수를 나타내며, 링크 부하에 따라서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실시간 경로 분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링크 경쟁을 완화함으로써 보다 균일한 링크 사용을 나타냈고, 링크 획득 실패로 인한 지 연시간을 감소시켰다. 프로그램 구동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검증 결과, 논문에서 제시한 동적경로 설정 방법은 기존 정적 경로 설정 방법에 비해 링크점유시간 편차가 $1{\~}10\%$ 낮게 나타났고, 링크의 획득 실패 횟수가 ${\~}3\%$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 $1{\~}6\%$의 수행 시간 감소를 나타냈다.

SONET 망에서의 이중 장애 복구 알고리즘의 설계 (Design of Self-Healing Algorithm for Double Link Failure in SONET)

  • 한경흠;고재상;조충호
    • 산업공학
    • /
    • 제9권3호
    • /
    • pp.52-63
    • /
    • 1996
  • DCS(Digital Cross-connect System)를 이용한 다이나믹 자체 치유 알로리즘들은 주로 대상을 하나의 링크 장애에 대해서 완전 복구될 수 있는 예비 용량을 갖는 망을 대상으로 복구 시간을 줄이는 방향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이러한 고장난 망의 복구를 위한 자체 치유 복구 알고리즘의 효율성은 이중 장애나 노드 장애에 적용 되었을 때의 복구율을 가지고 평가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링크(single link) 장애뿐만 아니라 이중 링크(double link) 장애에 대해서도 망의 복구 허용시간 내에서 복구율을 높이는 새로운 망복루 알로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망의 복구 허용 시간 내에, 전체적인 예비 용량을 고려하여 선택된 복구 경로의 각 링크의 부하를 균등하게 하는 복구 방법을 적용한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 결가를 기본의 복구 방법과 비교 분석한다.

  • PDF

건너뜀 이중링크를 갖는 고확장성 CC-NUMA 시스템 (A Highly Scalable CC-NUMA System with Skipped Dual Links)

  • 서효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9호
    • /
    • pp.487-494
    • /
    • 2004
  •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점유가 발생하는 버스를 채용한 이래로, 상호연결망의 병목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점대점 연결을 이용한 링 구조까지 발전되어 왔다. 상호연결망의 병목 현상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이 프로세서 수에 따른 선형적 성능 개선을 나타내지 못하게 하는 주요 제한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병목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상호연결망 구성 방법이 다수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은 현재 활발히 채용되고 있는 두 개의 점대점 연결을 이용한 링 구조에서 일정 규칙에 기반한 건너뜀 연결을 갖도록 개선하고 트랜잭션의 전송 경로를 정적 알고리즘으로 구현하여, 이중 링크를 가지는 CC-NUMA 시스템의 부하를 균일하게 분배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성능과 확장성을 개선시켰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단일 링크를 이용한 링 구조의 경우, 프로그램의 부하가 커질수록 프로세서의 추가에 따른 특정 링크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였고,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건너뜀 연결 구조의 경우, 동일한 대역폭을 가진 반대 방향 이중 링 구조에 비하여 높은 성능과 균등한 부하 분배에 의한 개선된 확장성을 얻을 수 있었고, 반대 방향 이중 링의 경우에 발견되는 부하 편차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이중링크 형식 수평인입 집 크레인의 정적·동적 해석 (Static and Dynamic Analysis for a Double Link Type Level Luffing Jib Crane)

  • 문덕홍;허철원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715-725
    • /
    • 2000
  • 본 논문은 링크구성 설계를 통하여 결정된 하나의 이중링크 형식 수평인입 집 크레인에 대하여 작업위치에 따라 각 링크의 변위, 속도, 가속도 해석을 하고, 인입 가감속에 의한 관성력, 바람에 의한 풍하중, 크레인 자중 및 정격 권상하중 등이 크레인에 작용할 때 인입장치에 요구되는 정적 힘을 계산하였다. 모든 해석과정은 전산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었고, 프로그램의 신뢰성은 관련 범용 소프트웨어들의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발한 전산 프로그램은 이중링크 형식 수평인입 집 크레인의 설계 실무에 있어서 이동하중에 대한 인입궤적의 진폭 및 작업위치에 따라 인입장치에 요구되는 힘의 해석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어 설계의 생산성 및 신뢰성 제고뿐만 아니라 기본설계 기술력의 확보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

MPLS 망에서 이중화 경로를 이용한 복구 방법 (A Restoration Method Using Duplication Paths in MPLS Networks)

  • 김응하;조영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9권11호
    • /
    • pp.1-11
    • /
    • 2002
  • 경로 복구는 MPLS 망에서 작업 경로의 링크나 노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트래픽을 복구 경로를 통하여 전달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망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로 복구 방법은 MPLS 망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링크 장애시에 작업 경로의 이중화를 통하여 경로를 복구하는 방법과 이중화된 모든 링크나 노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OAM셀을 이용한 장애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높은 우선 순위의 트래픽를 위한 경로 복구 방법으로는 경로 이중화가 매우 효율적이다. 그리고 이중화 경로를 이용한 복구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래픽에 대해서 제안한 경로 복구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복구 성능이 우수함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시한다.

Gigabit Ethernet PON(Passive Optical Network) 링크 이중화 (Gigabit Ethernet PON(Passive Optical Network) Link Protection)

  • 이민효;민성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427-429
    • /
    • 2004
  • 최근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HD(High Density)방송의 시작과 함께 고조되고 있다. W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D 방송 채널을 수용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방송대역은 20Mbps로 현재 가입자 망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궁극적인 해결 방안으로 FTTH(Fiber To The Hone) 광 가입자망이 논의되고 있다. 광 가입자 망의 유력한 방법중의 하나가 Gigabit Ethernet PON으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802.3 EFH(Ethernet First Mile) AH Group을 중심으로 표준화 진행 중에 있다. IEEE 802.3 EFM AH Group에서는 가입자 망 장애에 대한 Protection 링크 이중화가 고려되고 있지 않아 본 논문에서 Gigabit Ethernet PON에서 링크 이중화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이중 링크 형식 수평 인입 집 크레인의 링크 구성 설계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link composition design of a double link type level luffing jib crane (II))

  • 허철원;최명수;문덕홍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7-63
    • /
    • 2011
  •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link composition of a crane in the basic design of the crane. There are many parameters in the design for the link composition of a double link type level luffing jib crane. We analyze the variation of link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se parameters which are the angle of fixed link, the angle between the fixed link and backstay when the position of the crane is the maximum working radius, the ratio of fly jib length between two moving hinges to the total length of fly jib, the length of backstay, and the slewing radiu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application of the previous analysis program of the link composition design for a double link type level luffing jib crane.

폭우선생성트리 갱신문제를 위한 분산알고리즘 (A Distributed Algorithms for Breadth-first spanning Tree Updating Problem)

  • 최형식;박정호;양해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577-581
    • /
    • 2000
  • 폭우선생성트리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네트워크상의 프로세서에 분산되어 있는 상황에서, 그들 정보를 교환하면서 그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분산알고리즘(Distributed Algorithm)이라고 한다. 폭우선생성트리가 이미 구성되어 있는 비동기식 네트워크상에서 네트워크 형상이 변할 경우, 이로인해 구성되어 있던 폭우선생성트리를 갱신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우 폭우선생성트리를 효율적으로 갱신하는 메시지 복잡도와 이상시간복잡도 모두 O($p{\surd}q$ + q + a + n')인 분산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여기서, a는 추가 링크의 수, n'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변한후의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노드수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p는 삭제 또는 추가 링크를 가진 이중연결성분에 속하는 전체 노드 수를 나타내며, q는 삭제 또는 추가 링크를 가진 이중연결성분에 속하는 전체 링크수를 나타낸다.

  • PDF

밀리미터파 전 이중 시스템에서의 혼성 스케줄링 (Hybrid Scheduling in Millimeter Wave Full-Duplex Systems)

  • 반비엔마이;김주엽;최상원;신원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2-57
    • /
    • 2016
  • 다중 경로 약한 산란 (poor scattering) 전 이중 (full-duplex) 시스템에서 혼성 스케줄링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중 안테나를 갖는 하나의 전 이중 기지국과 수 많은 단일 안테나 반 이중 (half-duplex) 단말로 구성된다. 혼성 스케줄링은 송신기에서의 부분적 채널 정보만을 활용한다. 특별히,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모두 기회적 송신 기술을 사용하는 기존 스케줄링 방법과는 달리, 제안하는 기술은 하향링크에서의 랜덤 송신 빔형성 및 상향링크에서의 간섭 제거 빔형성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주요 결과로써,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술이 기존 스케줄링 방법보다 특정 신호 대 잡음비 영역 이상에서 훨씬 더 우수한 합 용량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이중 인버터를 이용한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약자속 제어 (Flux Weakening Control Strategy for SMPMSM Driven by Dual Inverter)

  • 김영남;이용재;하정익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4
    • /
    • 2012
  • 이중 인버터를 이용한 개방 권선 전동기 구동 시스템에서 한 인버터의 DC 링크만 전원에 연결하고 추가된 인버터의 DC 링크는 전원에 연결하지 않는 경우,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인버터의 전압은 승압이 가능하게 된다. 때문에 일반적인 단일 인버터를 이용하여 전동기를 구동하는 경우보다 높은 전압을 전동기에 인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약자속 영역에서 전동기가 더 많은 토크와 파워를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이중 인버터의 경우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분리하여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과는 다른 약자속 방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이중 인버터 구동 시스템에서 유효전력 분 전압의 크기를 최대화하는 약자속 제어방법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