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중구조모형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Type of Parking Lot in Apartment Complex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아파트 단지의 주차장 유형별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Kim, Ki-Hyuk;Han, Min-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3D
    • /
    • pp.197-203
    • /
    • 2012
  •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parking lot and user satisfaction. The types of parking lot in Apartment complex considered in the research i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 ground, underground, and combined.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for apartment complex residents to collect research data which has been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result tells that the factors of accessibility, safety for pedestrians and cars, environment which are security and cleanness, and convenience are found to be influential for user satisfaction to the type of parking lot and accessibility is seen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them. The crucial characteristics for user satisfaction by each type of parking lot have also been suggested such as convenience for ground parking lot, accessibility for combined type, and safety for underground type.

Response Analysis of the Slit type Breakwater under Coastal Waves and Flows (연안 파랑과 흐름하에서 슬릿방파제의 반응 해석)

  • Park, Sang-Gil;Lee, Joong-Woo;Kim, Kang-Min;Kang, Sug-Jin;Kim, Suk-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53-54
    • /
    • 2010
  • 국내에서 소규모 어항의 재개발에 관광객 유치를 위한 친환경적인 기술의 적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항내수질 개선이라는 목적 하에서 외곽시설인 방파제의 선택은 항내 정온과 제체 안정성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방파제인 슬릿방파제의 수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파랑변형 및 유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 적용성 확인을 위하여 선정된 구조라항은 우리나라 남해의 소규모 어항으로, SSE, S, SSW파향에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슬릿방파제를 적용한 결과 제체안정성과 항내 정온도가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슬릿방파제의 특징으로 장주기파의 통과율이 뛰어나다는 점과 소파효과라는 1차적인 목적과 항만 및 연안수역에서 해수교환의 향상이라는 2차적인 목적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ssociation Energies and Dipole Moments of Alkali Halides (할로겐화 알칼리 화합물의 해리에너지 및 이중극자 모멘트 계산)

  • Rhee, Chang Hwa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1 no.9
    • /
    • pp.449-459
    • /
    • 1997
  • The bonded state polarizabilities of ions in the alkali halides are estimated by using the Seitz and Ruffa (SR) energy level analysis relation. The effective number of electrons $(N_{eff})$ in the Slater-Kirkwood formula are used for all members of an isoelectronic sequence. The effective dispersion coefficients $(C_6^{eff})$ are calculated by the use of the empirical formula (J. Chem. Phys. 1991, 95, 1852) estimating $(N_{eff})$ values to reproduce the experimental $(C_6^{eff})$ for atom-atom (or molecule) interactions. In the framework of the T-Rittner model the model potential is constructed and used to calculate the values of dissociation energy and dipole moment.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 one.

  • PDF

Theoretical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Benzo(a)pyrene and Cytochrome P-450 (Benzo(a)pyrene 과 Cytochrome P-450의 대한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연구)

  • 도성탁
    • Biomedical Science Letters
    • /
    • v.1 no.1
    • /
    • pp.89-94
    • /
    • 1995
  • Considering the planar structure and nonpolar properity of benzo(a)pyrene(B(a)p) and the planar heme part of cytochrome P-450, stacking interaction is probable. MO calculation on B(a)P and heme part of cytochrome P-450 were carried out to dertermine probable stacking interaction models. In this case, orbital interaction is most important. Accordingly, the stacking positions have high eigen vector in frontier orbital and boning type between two molecules. In this way, five probate models were selected and examined by MN2 and MO method. The most probable .stacking interaction model which is the 4, 5, 6 positions of B(a)P overlap carbon atom and pyrrole ring of ring of heme group was determined.

  • PDF

IMPROVEMENT OF FRESHENING PROCESS BY MEANS OF UNDERDRAINAGE CONDUIT (저층배수를 이용한 담수호화 촉진에 관한 연구)

  • 서영제;김진규
    • Water for future
    • /
    • v.25 no.1
    • /
    • pp.111-119
    • /
    • 1992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actual comparison analysis for the freshening process in the two selected experimental reservoirs. At the deep freshening reservoir, the salinity and depth of the freshwater layer were estimated by simulation technique using the quantitative equation for the two-layered flow structures. First of all, it is shown that the effects of underdrainage conduit in the lower layer were reported more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upper layer salinity comparing with the case of no underdrainage conduit. Further the results of computation were later compared with the real observed values and the relating parameters of the salt-balance equation are conformed even though approximately. Finally it was represented that the salinity of upper layer is easily diluted not only by the tidal gate but also by the underdrainge conduit in the lower layer of the freshening reservoir.

  • PDF

Creep Characteristics of Granite in Gagok Mine (가곡광산 화강암의 크리프 특성)

  • Yoon, Yong-Kyun;Kim, Byung-Chul;Jo, Young-D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0 no.5
    • /
    • pp.390-398
    • /
    • 2010
  • The time-dependent behaviour of rock i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utilized as basic input data for underground mine design or in predicting a long-term stability of underground rock mass structures. In this study, creep tests under uniaxial compression were carried out for the granite specimens sampled in Gagok Mine. Burgers model, Griggs and Singh creep laws were used to simulate the measured creep strain. Through comparing the measured creep behaviour with the approximated creep behaviors from Burgers model, Griggs and Singh creep laws, it is shown that Griggs creep law results in the best approximation of granite in Gagok Min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 Kim, Jae-Na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11
    • /
    • pp.241-24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children's psychosocial adaptation, bicultural experience, parental support and parenting attitudes, and school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using data from the second stage of th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6 children from foreign families and mid-immigrant families, multicultural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sychosocial adaptation, bicultural experience, and school activities directly or indirectly significantly affect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to speak and understand Korea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chool activitie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so it was understood that the support of friends and teachers should be treated as very important part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These results mean that the most ideal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kills must be necessarily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children.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Observation Data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of the 2005 Year (2005년 설마천 시험유역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물수지 분석)

  • Kim, Dong-Phil;Jung, Sung-Won;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88-692
    • /
    • 2006
  • 산지 소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실정이다. 1차적으로는 수문자료의 부재가 제일 크며, 자료가 있다 하더라도 홍수기 중심 및 단기간 자료의 축적에 불과하다. 이중 설마천 시험유역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11년간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비교적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축적하고 있다. 최근 6년간은 신뢰할 만한 양질의 수문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현재는 신뢰도의 완성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역의 물순환 구조는 자연계의 유입과 유출이 지배적이며, 이들의 수문성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문성분들의 관측 및 해석이 필요하며, 각 수문성분들의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인 합의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보함이 매우 중요하다. 신뢰도와 정확성에 근거한 관측자료를 이용한 물수지 분석결과는 수문성분들의 총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모형(model)의 중요 입력자료이며, 모형의 분석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모형의 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산지 소하천 유역의 물순환 관계를 규명하는 기반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수지 분석의 대상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신뢰할 만한 관측자료에는 강우량, 유출량, 지하수이용량이며,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기상관측 및 대형증발계를 통한 실제 증발량 관측은 이루어지나 유역을 대표하는 증발산량의 관측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설마천 시험유역은 소규모이며, 대체로 동질성 있는 유역이라고 가정하여 1개 기상관측소에서 운영하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물수지에 적용하였다. 또한, 그 동안 관측하지 못했던 지하수위 관측을 실시함으로써 정확한 물순환 해석을 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 하였으며, 가용한 장 단기간의 관측자료와 물수지 분석 연산식의 추정치를 바탕으로 관측자료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산지 소하천 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각 수문요소의 물이동간의 정량적인 값을 알 수가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운영되고 물순환 해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된다면 정량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patiotemporal adjustment of precipitation using radar data and AWS data (레이더와 지상관측소 강우자료를 이용한 시공간 강우 조정 모형)

  • Shin, Tae Sung;Lee, Gyuwon;Kim, Yongku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1
    • /
    • pp.39-47
    • /
    • 2017
  • Precipita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hydrological and water control study. In general, AWS data provides more accurate but low dense information for precipitation while radar data gives less accurate but high dense inform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djusted precipitation field based on hierarchical spatial model combining radar data and AWS data. Here, we consider a Bayesian hierarchical model with spatial structure for hourly accumulated precipitation. In addition, we also consider a redistribution of hourly precipitation to 2.5 minute precipitation. Through real data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oposed approach provides more reasonable precipitation field.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Observation Data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2006년 설마천 시험유역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물수지 분석)

  • Kim, Dong-Phil;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93-1497
    • /
    • 2007
  • 산지 소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실정이다. 1차적으로는 수문자료의 부재가 제일 크며, 자료가 있다 하더라도 홍수기 중심 및 단기간 자료의 축적에 불과하다. 이중 설마천 시험유역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12년간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비교적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축적하고 있다. 최근 7년간은 신뢰할 만한 양질의 수문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현재는 신뢰도의 완성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역의 물순환 구조는 자연계의 유입과 유출이 지배적이며, 이들의 수문성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문성분들의 관측 및 해석이 필요하며, 각 수문성분들의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인 합의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보함이 매우 중요하다. 신뢰도와 정확성에 근거한 관측자료를 이용한 물수지 분석결과는 수문성분들의 총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모형(model)의 중요 입력자료이며, 모형의 분석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모형의 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산지 소하천 유역의 물순환 관계를 규명하는 기반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수지 분석의 대상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신뢰할 만한 관측자료에는 강우량, 유출량, 지하수이용량이며,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기상관측 및 대형증발계를 통한 실제 증발량 관측은 이루어지나 유역을 대표하는 증발산량의 관측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설마천 시험유역은 소규모이며, 대체로 동질성 있는 유역이라고 가정하여 1개 기상관측소에서 운영하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물수지에 적용하였다. 또한, 그 동안 관측하지 못했던 지하수위 관측을 실시함으로써 정확한 물순환 해석을 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 하였으며, 가용한 장 단기간의 관측자료와 물수지 분석 연산식의 추정치를 바탕으로 관측자료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산지 소하천 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각 수문요소의 물이동간의 정량적인 값을 알 수가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운영되고 물순환 해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된다면 정량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