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종지도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국토통계지도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igital National Survey Map System)

  • 이종용;안종천;조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0-70
    • /
    • 2006
  • 2004년에 실제적인 서비스가 시작된 국토통계지도는 각종 국가 통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지만 기존 국토통계지도 시스템은 안정성과 다양한 기능성이 부족하였다. 이를 개선해 2005년에 개선된 국토통계지도 시스템은 기존의 약 8배의 공간데이터를 처리하면서도 단 하나의 통합지도만을 사용하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안정성 면에서도 개선 되게 되었다. 여러 사정들로 인해 기존 파일구조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도입할 수는 없었지만 기존 시스템에서 개선된 형태의 파일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공간자료와 동적으로 연결되어 각 공간자료들을 각각의 인덱스(연도, 지표, 지역 등)만을 가지는 자료로 독립시켰으며 이를 통해 인덱스 관리, 검색 시스템 등 DBM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파일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었다. 공간자료가 각 단위 시스템에 자료를 요청하면 각 시스템 엔진들이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스템은 향후 DBMS도입을 위한 중간자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독도를 포함한 우리 지도를 보다 상세히 수정하여 보다 현실적인 국토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 PDF

초등 수학 교과서의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지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Methods for Teaching Bar and Line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소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59-276
    • /
    • 2020
  • 본 연구는 이전과 현재의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그래프 지도에서 교수학적 지도 방법이 어떤 방식으로 발생하고 전개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각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지도서를 대상으로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단원을 분석하였고, 그래프 지도에서 통계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적인 교육과정 변천에도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의 지도 시기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공학의 활용을 최근의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바에 비교해서 교과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통계에서 유의미한 개념인 자료의 변동성, 분포, 표본, 표본추출 등을 실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그래프 지도 및 통계 영역에서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제안하는 바이다.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공간감각 내용에 관한 고찰 (An Analysis on Teaching and Learning Spatial Sens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69-2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어 초등학교에서 지도하고 있는 공간감각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감각과 관련된 여러 능력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공간감각 관련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오류와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지도하고 있는 공간감각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지도하고 있는 내용은 그 수준이 지나치게 어렵게 구성된 반면에 고학년에서 다루는 내용은 그 수준이 너무나 쉽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내용들 사이에 그리고 공간감각과 전통적으로 지도해왔던 도형영역의 지도 내용 사이에 시간상 간극이 있어 이들을 서로 연관시켜 지도하는 것이 쉽지 않도록 수학과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는 이에 대한 조정이 요구된다.

  • PDF

항공 LiDAR와 수치지도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Airborne LiDAR and Digital Map)

  • 김세준;이종출;김진수;노태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4_1호
    • /
    • pp.281-292
    • /
    • 2014
  • 본 연구는 산사태 관련 인자를 달리하여 산사태 취약성을 분석한 후, 정확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산사태 위치를 추출하였고, 항공 LiDAR와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인자, 각종 주제도를 이용한 토양, 임상, 토지피복 인자를 추출하여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산사태 취약성 지도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빈도비를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지수를 산정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었다. 분석결과, 항공 LiDAR와 수치지도의 상관관계는 거의 일치하였으며, 각 방법별로 작성된 산사태 취약성 지도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각 방법별로 작성된 산사태 취약성 지도는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빈도비와 항공 LiDAR를 이용할 경우 성능이 더욱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항공 LiDAR 자료는 효과적인 산사태 발생 예측 및 피해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 객체 위치 검출을 위한 Grad-CAM 기반의 딥러닝 네트워크 (Grad-CAM based deep learning network for location detection of the main object)

  • 김선진;이종근;곽내정;류성필;안재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04-21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약한 지도학습을 통한 주 객체 위치 검출을 위한 최적의 딥러닝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약한 지도학습을 통한 주 객체의 위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컨벌루션 블록을 추가하였다. 추가적인 딥러닝 네트워크는 VGG-16을 기반으로 합성곱 층을 더해주는 5가지 추가적인 블록으로 구성되며 객체의 실제 위치 정보가 필요하지 않는 약한 지도 학습의 방법으로 학습하였다. 또한 객체의 위치 검출에는 약한 지도학습의 방법 중, CAM에서 GAP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보완한 Grad-CAM을 사용하였다. 제안한 네트워크는 CUB-200-2011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성능을 테스트하였으며 Top-1 Localization Error를 산출하였을 때 50.13%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제안한 네트워크는 기존의 방법보다 주 객체를 검출하는데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지방화 시대의 농촌지도사업과 발전방향 (A Study on the Way of Development for Rural Extension Work in Korea under the Period of Localization)

  • 이용환;강권영;김현진;이종범;송용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6권2호
    • /
    • pp.17-38
    • /
    • 1999
  • Rural extension work in Korea has been carried out as a national government project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ince 1962. But almost all of the extension workers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employ in 1997 and the 7,480 extension workers in 1997 decreased to 5,082 by the end of 1999 through restructuring of the government system. Traditionally, the extension worker has carried out educational jobs but many extension workers was to carry out th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in addition to the educational job as the rural extension system was changed.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ural extension system under the localization, extension activities, methods, extension worker's morale, and so forth. Most of extension workers are embarrassed about the changing of the extension system and their duty.

  • PDF

농촌지도 이념으로서의 평생교육론 고찰 (Towards an Ideology of Agricultural Extension as a Philosophy of Lifelong Education)

  • 이종만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1권1호
    • /
    • pp.1-19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linkage of ideological background between agricultural extensio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studies related to agricultural extension and lifelong education. Review of literature and documents was main methods of this study. The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ideology of lifelong education, and presented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ide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iv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ideology were presented; 1) lifelong education is the supreme concept of education and includes all kinds of education, 2) lifelong education is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ideology and philosophy rather than a kind of educational practice, 3) lifelong education means the security for a right of learning through the entire life-span of an individual, 4) lifelong education has the innovative function of the existing situation of education; viewpoint, contents, and methodology of learning, 5) Lifelong education runs ultimately towards a 'learning society'. Agricultural extension and lifelong education shared the similar ideological background in general, and have the similar basic philosophy. The ideology and philosophy of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into the ideology of agricultural extension to broaden the perspectives of agricultural extension in the future.

  • PDF

초음파 배열센서 시스템을 이용한 국부지도작성 알고리즘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Local Map Construction Algorithm Using an Ultrasonic Array Sensor System)

  • 이상룡;박상혁;이종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11호
    • /
    • pp.2902-2912
    • /
    • 1994
  • The ultrasonic array sensor system, consisting of one transmitter and fourreceivers instead of the traditional combination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s proposed in order to identify the location of objects. From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this new array sensor system could derive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objects accurately, while the traditional sensor system could provide only the informatioin on the distance to objects. This sensor system is used to develop a sonar-based local mapping algorithm. The local map is used to find the existence of possible gates, through which the mobile robots can pass, and to select the suitable one in order for the robots to reach the goal safely in the presence of obstacl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local map algorithm is demonstrated experimentally in a small working area with several obstacles. It is found that the quality of the resulting local map is sufficient for the avoidance of collisions between the robots and obstacles and for the selection of the suitable gate leading to the goal. It is also shown that the global map of the working area could be obtained by integrating several local maps constructed from different locations and that it matches the actual layout of the working area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