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0.23.3.002

An Analysis of Methods for Teaching Bar and Line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Kim, Somin (Inha University)
Lee, Jong-hak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3, no.3, 2020 , pp. 259-27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didactic trans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s occurred and developed in the teaching of graph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according to the previous and current curricul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esson units on bar graphs and line graphs in mathematics textbooks for each curriculum, from the fif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also investigated the implication of statistics education deriving from didactic trans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 found that the timing of teaching bar and line graphs was rarely changed as the curriculum has changed. In addition, the use of technology was not actively implemented in school statistics, although the curriculum emphasized the use of technology in statistical education. Lastly, the textbooks did not address the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of data and the sample or sampling process, which are significant statistical concep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how to teach statistical graphs and what to consider for the next mathematics textbook.
Keywords
Textbook; Bar graph; Line graph; Statistical problem solv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문교부(1989b). 국민학교 3-1, 3-2, 4-1, 4-2 산수 교과서. 문교부.
2 문교부(1989c). 국민학교 3-1, 3-2, 4-1, 4-2 산수 교사용 지도서. 문교부.
3 교육부(199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4 교육부(1995b). 국민학교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부.
5 교육부(1995c). 국민학교 3-1, 3-2, 4-1, 4-2 수학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6 교육부(199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
7 교육부(2000b). 초등학교 3-가, 3-나, 4-가, 4-나 수학 교과서. 교육부.
8 교육부(2000c). 초등학교 3-가, 3-나, 4-가, 4-나 수학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9 교육인적자원부(200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9호.
10 문교부(1987a).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9호.
11 교육인적자원부(2009b). 초등학교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인적자원부.
12 교육인적자원부(2009c). 초등학교 3-1, 3-2, 4-1, 4-2 수학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13 교육과학기술부(2011a).수학과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제2011- 361호.
14 교육과학기술부(2013b). 초등학교 3-4학년군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15 교육과학기술부(2013c). 초등학교 3-4학년군 3-1, 3-2, 4-1, 4-2수학교사용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16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7 교육부(2018b). 초등학교 3-4학년군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부.
18 교육부(2018c). 초등학교 3-4학년군3-1, 3-2, 4-1, 4-2 수학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19 강윤지, 백석윤(2020). 초등 수학 교과서의 수학 용어 정의 및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의 문장 복잡성 비교 분석. 한국초둥수학교육학회지, 24(2), 231-257.
20 고은성, 탁병주(2019). 점그래프와 상자그림의 교수학적 분석: 통계적 추리 지도를 위한 교육적 효용성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9(4), 577-605.
21 김응환(2004). 학교수학에서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7(2), 51-65.
22 남승인, 류성림, 권성룡, 김남균, 신준식(2017). 2015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초등수학 교육론. 경문사.
23 안병곤(2015).현행초등수학교과서에대한 개선점과개선방향.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289-304.
24 박경미,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최지선, 강은주, 김민정, 이광상, 김재영, 이관연, 한준철, 김선희, 방정숙, 이경은, 도종훈, 이문호, 황선미, 임해미, 이화영, 조혜정, 박정숙, 이승훈, 박문환, 김성여, 임미인, 권영기, 서보억, 이은정, 김완일,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안현정, 이지윤, 강성권, 강태석, 김화경, 신동관, 오택근, 전인태(2015). 2015 개정 수학과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20005.
25 박영희(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26 배혜진, 이동환(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27 고은성(2017). 실용 통계교육을 위한 교사용 가이드북. 한국과학창의재단.
28 우정호(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9 유현주(2013). 2007 개정 초등수학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영역 교과서 분석-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1), 81-97.
30 이자미, 고은성(2019). 초등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그래프 지도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2), 247-272.
31 이경화(2016). 통계, 통계교육, 그리고 통계교육연구로의 시간여행. 수학교육학논총, 49, 41-56.
32 이종학(2011). 예비 교사의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99-327.
33 임지애, 강완(200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 65-86.
34 장혜원, 박혜민, 김주숙, 임미인, 유미경, 이화영(2017).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분석. 학교수학, 19(2), 229-248.
35 정은실(2012).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 수학교육학연구, 14(3), 377-394.
36 탁병주(2018). 통계적 소양으로서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의 의의 분석: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3), 221-240.
37 조난심, 김주훈, 김수동, 김진숙(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2종 교과용 도서 검정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원 연구보고서 99-2.
38 조영미(2001). 학교수학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탁병주, 이경화(2017).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40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framework.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41 Konold, C., & Pollatsek, A. (2002). Data analysis as the search for signals in noisy process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 259-289.   DOI
42 Peebles, D., & Ali, N. (2015). Expert interpretation of bar and line graphs: the role of graphicacy in reducing the effect of graph format. Frontiers in Psychology, 6, 1-11.   DOI
43 Tukey, J.W. (1976). Exploratory Data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and Bell Telephone Laboratories.
44 Weissgerber, T. L., Milic, N, M., Winham, S. J., & Garovic, V. D. (2015). Beyond Bar and Line Graphs: Time for a New Data Presentation Paradigm. PLOSBiology 13(4), 1-10.
45 Whitaker, D., & Jacobbe, T. (2017). Students' Understanding of Bar Graphs and Histograms: Results From the LOCUS Assessments,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25(2), 90-102.   DOI
46 Watson, J., & Fitzallen, N. (2010). The Development of Graph Understanding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New South Wale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