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제마(李濟馬)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초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철학(四象哲學)에 대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Lee Je-ma's Sasang Philosophy)

  • 이의주;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3
    • /
    • 1999
  • 연구목적(硏究目的) 이제마(李濟馬)의 철학(哲學)과 의학(醫學)은 사상(四象)을 기초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철학(哲學)을 이해함에 있어 태극(太極)(심(心)), 양의(兩義)(심신(心身)), 사상(四象)(사심신물(事心身物))을 반드시 함께 논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이제마(李濟馬)는 우주발생론적 입장에서 태극(太極) 양의(兩義) 사상(四象)을 어떻게 정의하고, 이제마(李濟馬) 철학(哲學)과 형상관(形象觀)의 궁극적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논하여 본다. 연구방법(硏究方法) 및 연구내용(硏究內容)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저서(著書)로 확인되거나 추정되는 "격치고(格致藁)", "제중신편(濟衆新編)",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무유고(東武遺藁)",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등에서 발췌하였다. 연구결과(硏究結果) 1. 이제마(李濟馬)는 만물의 근원을 심(心)이라 하여 태극(太極)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태극(太趣)은 통체-태극(統體-太極)(지예의인(智禮義仁)과 일물-태극(一物-太極)(결각행지(決覺行止))의 두가지 의미를 갖는다. 2. 이제마(李濟馬)는 심신(心身)을 양의(兩儀)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심신(心身)은 지행(知行)이다. 3. 이제마(李濟馬)는 사심신물(事心身物)을 사상(四象)이라고 정의하였다. 사상(四象)은 서로 다른 네가지 단위를 합한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가 있는 두가지 페러다임을 결합하여 드러난 존재(存在) (=현상(現狀))을 설명하는 도구이다. 그 안에는 태극(太極)과 양의(兩儀)를 모두 함축하고 있다. 4. 이제마(李濟馬) 철학(哲學) 및 형상관(形象觀)의 궁극적 목적은 지행(知行)으로 지인정기(知人正己)에 있다. 학문(學問)(${\Rightarrow}$독서(讀書))을 통한 격물(格物)은 성심(誠心)의 방법이고, 사변(思辯)(${\Rightarrow}$찰용(察容)) 을 통한 신독(愼獨)은 경신(敬身)의 방법이다. 5.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철학(四象哲學)은 현상(現象)을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사상(四象)으로 요약하여 이것의 모순(我)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행(知行)(심신(心身))을 외재된 형식 즉 양의(兩儀)로 제시하고, 심(心)을 내재된 원리 즉 태극(太極)으로 정의하였다.

  • PDF

심경부주(心經附註)의 사상(思想)과 이제마(李濟馬) 사상(思想)과의 비교 (The comparison study of the thought of the 『Sim-Kyoung-Bu-Ju』 and Lee Je-ma)

  • 김인태;이의주;고병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37
    • /
    • 1997
  • 심경부주(心經附註)의 고찰(考察)과 심경부주(心經附註)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상(思想)과 이제마(李濟馬)의 사상(思想)과의 비교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사람의 마음에는 두 가지의 마음이 존재한다. 이는 심경(心經)에서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으로, 이제마(李濟馬)는 군자지심(君子之心)과 소인지심(小人之心)으로 표현하였다. 2. 심경부주(心經附註)에서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은 성인(聖人)과 중인(衆人)을 구별시키는 중요한 요점이 되는데 성인(聖人)의 경우는 이 두 마음을 잘 분별하여 도심(道心)으로 인심(人心)이 인욕(人欲)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는 사람이라 하였다. 이제마(李濟馬)의 경우에서는 군자지심(君子之心)은 역지(易知)이고 소인지심(小人之心)은 난지(難知)라 하고 군자지심(君子之心)이 많은 사람은 군자(君子)이고 소인지심(小人之心)이 많은 사람은 소인(小人)이 된다고 하였다. 3. 이러한 군자(君子)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 심경(心經)과 이제마(李濟馬)는 여러 가지 수행 방법을 제시하는데 공통적으로 계신공구(戒愼恐懼)를 말하고 심경(心經)에서는 이러한 계신공구(戒愼恐懼)를 위해서는 경(敬)이 가장 우선이 된다고 하고, 이제마(李濟馬)는 여인상접지성(與人相接之性)과 자기독득지성(自己獨得之性)을 들어서 절불절(節不節), 중불중(中不中)과 지인(知人), 지천(知天)을 말하고 있다. 4. 계신공구(戒愼恐懼)를 통하여 성의(誠意)를 이루고 이것으로 정심(正心)을 하는 것을 심경(心經)은 말하는데 이제마(李濟馬)는 지인(知人)을 통한 치심정기(治心正己)를 말하고 있다. 5. 맹자(孟子)의 사단(四端)은 성(性)을 이루는 중요한 마음의 단초가 되니 확충(擴充)을 해나가야 하는 것이 된다. 이제마(李濟馬)는 격치고(格致藁)에서 이러한 사단(四端)의 사심신물(事心身物)로 분화된 모습을 말하고 이를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는 천인성명(天人性命)으로 표현을 하면서 각각의 심욕(心欲)과 각각의 선(善)한 부분을 말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