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음방법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1초

이음방식 및 틈의 위치에 따른 메탈터치 이음부의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Metal Touch Connection subject to Connection Types)

  • 홍갑표;김석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통권72호
    • /
    • pp.661-669
    • /
    • 2004
  • 철골구조에 있어서 기둥 이음부의 설계는 단순히 적당한 틈에 용접이나 볼트에 의한 이음으로 해석 및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보편적인 현실이다. 이때 이음부에서 메탈터치에 의하여 상부의 응력을 하부로 전달하는 정도를 규정하는 기준은 각 나라마다 다르다. 미국은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모두 전달 가능하다는 규정아래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는 25%까지 전달 가능하다는 규준에 의해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어 그 차이가 너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탈터치에 의한 이음의 응력체계를 규명하여 이음의 합리성을 증진시키고, 이음의 경제성 및 시공성을 위해 틈의 위치 및 이음방법을 매개변수로 하여 메탈터치 실험을 실시하여 미국 및 일본 규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메탈터치 이음부의 거동을 실험적인 방법과 해석적인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여 메탈터치 이음부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원심성형 철근콘크리트 말뚝 이음부의 보강 효과 (Effect of Joint Reinforcement on Reinforced Concrete Pile by Centrifugal Casting)

  • 주상훈;황훈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01-509
    • /
    • 2019
  • 최근 건축과 토목 구조물 기초에 적용되는 말뚝의 시공법은 환경 훼손, 소음 공해, 그리고 주위 민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타공법에서 매입공법 위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의 변화로 인해 기존의 항타공법으로 사용되었던 말뚝 대신, 재료 및 구조적인 시스템 측면에서 보다 최적화되고 경제적인 매입용 말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입용 말뚝인 원심성형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보강된 이음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원심성형 철근콘크리트 말뚝에 대해 연장된 원형띠판과 스터드로 구성된 이음 보강방법이 기존 이음방법의 구조성능을 개선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음방법의 구조성능을 말뚝의 휨과 전단 강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 제안된 이음방법은 설계에서 요구되는 휨과 전단 강도에 대해 충분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실험에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하중-처짐 거동이 이음부가 없는 일체형 구조에 근접하므로 설계에서 예상하는 거동과 성능이 안정적으로 현장 구조물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플라스틱 온실의 강관 이음부 휨성능 분석 (Evaluation of Steel-Pipe Connections in Plastic Greenhouse Using Bending Test)

  • 최만권;류희룡;조명환;유인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1-39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온실 강관의 이음 방법에 대해 휨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휨성능이 우수한 이음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체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보다 휨성능이 작았다. 그러나 모든 실험체의 최대 휨모멘트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소성모멘트의 1.07~1.3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방법에 따른 결과는 연결핀 보다 인발 실험체가 상대적으로 큰 휨성능을 보였다. 현장 이음 방법의 파괴 모드는 연결핀과 강관 끝부분의 응력집중에 의한 국부좌굴이 지배적이었다. 현장시공 시 강관을 절단 후 연결할 경우, 이음 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휨성능을 발휘하지만 부득이 강관을 절단할 경우는 연결핀보다는 인발 강관에 직결나사로 고정한 이음 방법(SPJ-F)으로 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세그먼트 라이닝 이음부의 모멘트-회전 관계와 지압강도 계산 (An approach for moment-rotation relationship and bearing strength of segment lining's joint)

  • 이영준;정지승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93-106
    • /
    • 2021
  • 일반적으로 세그먼트 라이닝 터널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링을 구성하고 터널의 진행방향으로 링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터널을 말한다. 세그먼트 라이닝의 구조적 특성은 세그먼트 이음부의 거동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이음부를 적절하게 모델링해야 한다. 지반 하중을 받을 때 세그먼트 이음부는 회전에 저항하는 힌지로 작동하며, 모멘트-회전 관계는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 세그먼트 이음부가 라이닝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설계에 통용되는 일본 기준 및 Janssen 모델을 적용하여 세그먼트 이음부의 모멘트-회전 관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지압강도를 기초로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강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가상의 설계조건에서 기존 모델 및 제시된 방법을 적용해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을 추정하고 세그먼트 라이닝과 이음부에서 발생하는 단면력을 계산하였다.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이 증가할수록 이음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므로 세그먼트 이음부의 지압강도를 확인해야 한다. 이 논문은 세그먼트 이음부의 지압강도를 검토하기 위해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강성을 결정하고 지압강도를 계산하는 일관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변단면 전조 가공 철근이음 연결방법의 성능 평가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Rolling Thread Steel Rebar Connection with Taper type Coupler)

  • 정진환;김인태;김태진;이명진;안진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0-51
    • /
    • 2015
  •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인장응력에 대한 저항과 콘크리트내의 하중전달을 위한 철근이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철근의 이음방법으로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겹침이음과 함께 채움금속이음을 갖는 슬리브이음과 전조 평행나사 이음과 같은 기계적 철근연결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기계적 철근 이음의 시공성과 구조적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조 변단면 철근이음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철근의 구조성능과 파괴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철근연결 종류 및 체결 특성을 고려한 인장강도 실험과 휨하중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안된 전조 변단면 이음을 적용한 철근의 인장강도 및 휨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조변단면 이음을 적용한 철근이 이음이 없는 철근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이음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Up-Set Coupler 이음철근의 인장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ension Properties on New Developed Up-Set Coupler)

  • 심종성;박철우;강태성;김태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09-115
    • /
    • 2008
  • 구조물이 초고층화,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철근의 이음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겹이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굵은 직경을 사용한 구조부재의 경우 겹이음 사용 시 피복두께 확보의 어려움으로 부착파괴 및 접합부의 복잡한 배근으로 인한 콘크리트 타설의 시공성 저하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압접이음은 철근의 단부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접합하는 방식으로 압접 후 철근의 취약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공현장에서의 철저한 품질관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개념의 Up-set Coupler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이음방법 중 철근 선조립공법이나 고강도, 대직경의 철근을 사용하는 PSC구조물의 접합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이음방법인 Screw Coupler와 Up-set Coupler, 그리고 이음이 없는 철근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장특성과 사용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Plate Girder 볼트 이음부 강도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for the Strength of the High Tension Bolted Joints in Plate Girder)

  • 함준수;황원섭;양성돈;정지승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69-478
    • /
    • 2012
  • 본 논문은 강교량 이음부에서 고장력볼트의 유효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장력볼트가 적용된 이음부에 관한 구조거동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비선형 유한요소프로그램인 ABAQUS의 Connector요소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볼트의 거동을 표현하는 수치해석방법을 제안하고, 선행 연구의 실험을 토대로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해석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고장력볼트 이음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솔리드 요소를 사용한 인장 시험체를 선택하여 다양한 설계변수(모재 및 이음판의 강종, 이음판의 두께, 볼트 재료특성, 설계볼트축력)에 관한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플레이트 거더 볼트 이음부에서 고장력볼트 적용부위에 따른 강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변수(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상 하부플랜지, 웹)에 따른 구조물의 모멘트-변위 관계를 도출하여 각 설계변수가 극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레이더법과 적외선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 공극의 비파괴검사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Construction Joints of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Radar and the Infrared Thermography Method)

  • 박석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25-432
    • /
    • 2003
  •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는 콘크리트 시공시 발생되는 기술적 문제들 중의 하나이다. 이 시공 이음부는 콘크리트의 구조적 측면뿐만 아니라 누수 등의 중대한 결함을 초래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이음부를 비파괴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레이더법과 적외선법을 이용하였다. 대상부재로서는 콘크리트 기둥을 선정하여 본 방법들의 적용에 따른 여러 가지 형태의 시공 이음부의 검출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레이더법의 경우는 해석모델에 의한 모의해석을 실시하여 실제 측정치와 비교하여 해석할 경우, 시공 이음부에 대한 검출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외선법의 경우는 빛의 작용을 받지 못하는 실내조건 하에서도 측정 표면부를 사전 가열하여 측정하면 결함의 형상까지도 뚜렷이 식별하여 검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두 방법을 병행할 경우, 육안으로는 검사가 곤란한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에 대해 빠른 시간내에 넓은 대상의 구조물에 대해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함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