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용 장소

Search Result 2,16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OI Database with Spatial Relations Using SNS (SNS를 이용한 POI 공간관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 Kim, Min Gyu;Park, Soo H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21-38
    • /
    • 2014
  • Since users who search maps conduct their searching using the name they already know or is commonly called rather than formal name of a specific place, they tend to fail to find their destination. In addition, in typical web map service in terms of spatial searching of map. Location information of unintended place can be provided because when spatial searching is conducted with the vocabulary 'nearby' and 'in the vicinity', location exceeding 2 km from the current location is searched altogether as well. In this research, spatial range that human can perceive is calculated by extracting POI date with the usage of twitter data of SNS, constructing spatial relations with existing POI, which is already constructed. As a result, various place names acquired could be utilized as different names of existing POI data and it is expected that new POI data would contribute to select places for constructing POI data by utilizing to recognize places having lots of POI variation. Besides, we also expect efficient spatial searching be conducted using diverse spatial vocabulary which can be used in spatial searching and spatial range that human can perceive.

A Study on the Types of Experiences Related to Sense of Place in Cities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 Im, Seung-Bin;Jeong, Yoon-Hee;Hue, Youn-Sun;Kwon, Yoon-Koo;Byeon, Jea-Sang;Choi, Hy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46-56
    • /
    • 2011
  • This study an alyzes the spatial experience of a notable sense of place in five cities-Seoul, Gyeongju, Chuncheon, Anseong and Gwacheon. A survey targeting 300 citizens was carried out to survey meaningful, memorable places and measured spatial experiences in those places. The types of spatial experiences were divided among place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thereof. To do this, first, those places that have a notable sense of place have relevance in na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such as parks, cultural assets, etc. Second, the main experiences in making sense of place included 'relaxation and walking' and 'a view and appreciation'. These were divided into two types, Spatial Contact and Human Contact. Third, cities such as Seoul, Anseong, Gwacheon offer a variety of experience in places having a notable sense of place. Fourth, in cities noted for natural landscape, history and culture, those spaces with a notable sense of place a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They exhibit a variety of behaviors, complexly and simultaneously. These results-based spatial experiences of citizens and spatial character have important meaning for city identity and city marketing. Through defining those places that have a notable sense of place and understanding the spatial features in these places, this study can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forming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city.

The Implementation of an Assisitive Comunication System for the Mute and Language Disorder (언어장애인을 위한 통신보조기기의 구현)

  • 황인정;민홍기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6
    • /
    • pp.621-627
    • /
    • 1999
  • 본 논문은 언어장애인을 위한 통신보조기기의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통신보조기기에 적용되는 어휘는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환경에는 연령, 교육정도, 가족관계, 자주 이용하는 장소, 장애의 종류와 정도 등 사용자의 정신적, 육체적 능력을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손의 사용이 가능하고, 어휘와 의미심볼의 관게를 이해할 수 있으면서, 음성표현이 부자유스러운 어린이를 사용자로 한정하였다. 사용자에 의해 발훼된 어휘는 중심어휘와 특정환경을 나타내는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로 나눌 수 있다. 중심어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를 말하며,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로 나눌 수 있다. 중심어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를 말하며,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는 특정 장소에서 빈번히 사용하는 어휘를 말한다. 발췌된 어휘는 휴대용 통신보조기기로서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어휘를 명사, 동사, 조사로 나누어 좀더 많은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적 시스템과 정적시스템의 장점을 고려하여 장소 도메인 별 어휘로 나누면서 의미함축의 원리를 도입하였다. 또한 어휘의 인식이 쉽도록 의미심볼과 어휘를 대응하여 표현하였고, 시스템의 기능 혹은 어휘분류에 따른 화면의 배경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쉽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된 문장은 화면표시관에 보여진 후 음성으로 표현하였다.

  • PDF

동굴과 인류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0
    • /
    • pp.11-21
    • /
    • 1992
  • 옛부터 우리조상들은 동굴을 살림터로 이용했었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묘지나 피신장소로 이용하거나 그밖에도 물자의 저장고나 신앙의 장소, 성스러운 성소, 이 밖에도 작전기지 등등으로 밀접하게 관계되어 왔음은 이미 누구나 알고있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이와같은 동굴과 인생 또는 동굴예술 즉, 동굴벽화 등에 관한 연구조사가 시행되지 않고 있음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중략)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and Visiting Places using Random Forest Technique (랜덤 포레스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요인과 방문하는 장소 사이의 관계 분석)

  • Kim, Young-Myoung;Song, Ha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535-538
    • /
    • 2019
  • 기존에는 Big Five Factor (BFF)를 이용하여 사람의 성격과 방문하는 장소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뿐 아니라 sns 사용, 취미, 성별, 나이, 종교 등 다양한 요인을 추가하여 방문하는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성격 데이터는 BFF 설문지로, 그 외 요인들은 본 연구팀이 직접 만든 설문지로 수집하였다. 방문하는 장소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SWARM을 이용하여 수집한 뒤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총 17명의 참가자들이 약 3달간 모은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앙상블 기법인 랜덤 포레스트를 사용하였다.

Resource Substitutability for Hiking Activity and Related Factors - Focusing on Mudeungsan Provincial Park and Eudeungsan - (하이킹 휴양활동을 위한 자원 대체성과 관련요인 - 무등산 도립공원과 어둥산을 대상으로 -)

  • Kim, Sang-Mi;Kim, Sang-Oh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6
    • /
    • pp.765-77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vailability of a urban forest (Eudeungsan) as a substitute place of Mudeungsan Provincial Park (MPP) in overuse problem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to place substitutability. During June-August of 2012, 232 samples who have ever visited both of the two places (i.e., MPP and Euduengsan) in Gwang-ju city were selected by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valid responses from 225 samples (97.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24.2% of respondents had "considerably" or "very much" intention to use the substitute place, and 65.5% of respondents showed "a little" or "somewhat" 10.3% of respondents didn't have any intention to visit Eudeungsan as a substitute place of MPP. Generally, socio-demographic and visiting characteristics were not related with intention to visit Eudeungsan as a substitute place of MPP. It was only found that respondents who largely visit 'alone' to Eudeungsan tended to have higher intention to visit the substitute place than those who visit 'in group.' Three factors of reasons to visit Eudeungsan (i.e.,Challenge/self-development: ${\beta}=0.35$; Accessibility/familiarity: ${\beta}=0.27$; Adventure: ${\beta}=-0.19$) influenced intention to visit the substitute place. Relationship between reasons to visit and intention to visit the substitute place was found. No direc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erceived similarity of the places and intention to visit substitute place, and similarity of recreation experiences showed perfect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Temporal Interval Refinement for Point-of-Interest Recommendation (장소 추천을 위한 방문 간격 보정)

  • Kim, Minseok;Lee, Jae-Gil
    • Database Research
    • /
    • v.34 no.3
    • /
    • pp.86-98
    • /
    • 2018
  • Point-of-Interest(POI) recommendation systems suggest the most interesting POIs to users consider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martphones, internet-of-things, and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it has become feasible to accumulate huge amounts of user POI visits. Therefore, instant recommendation of interesting POIs at a given time is being widely recognized as important.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POI recommendation systems, several studies extracting users' POI sequential preference from POI check-in data, which is intended for implicit feedback, have been suggested. However, when constructing a model utilizing sequential preference, the model encounters possibility of data distortion because of a low number of observed check-ins which is attributed to intensified data sparsity. This paper suggests refinement of temporal intervals based on data confidence. When building a POI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emporal intervals to model the POI sequential preference of users, our methodology reduces potential data distortion in the dataset and thus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We verify our model's effectiveness through the evaluation with the Foursquare and Gowalla dataset.

Location of Large Scale Discount Store and Differences of Accessibility to Daily Shopping Places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일상적 쇼핑장소로의 접근성 차이)

  • 정은혜;노시학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85-598
    • /
    • 2000
  • 본 연구를 통하여 대형할인점 이용자, 재래시장 이용자, 그리고 수퍼마켓 이용자들의 각 쇼핑장소를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공간적 분포 및 쇼핑패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 세종류의 쇼핑장소 이용자들간의 각 쇼핑장소들 중심으로 한 거주지역 분포의 공간적 패턴 및 쇼핑통행 패턴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형할인점을 이용자를 제외한 재래시장 이용자와 슈퍼마켓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이용하기를 원하는 대형할인점의 이용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통행거리, 운전면허 미소지, 자가용 승용차 미보유 등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을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약 요인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이 주민들의 일상적인 쇼핑장소의 역할을 할 때와는 달리 대형할인점의 등장은 이곳으로의 주민들의 접근능력의 차이에 따라 주민들간 일상적 소비장소의 차별화가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최근 대형할인점의 입지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재래시장 및 수퍼마켓의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신체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이에 따라 대형할인점으로의 접근에 제한을 받는 주민들의 일상적 소비공간은 더욱 위축되고 고립될 가능성이 있다.

  • PDF

A Study on User behavior-based multi-attribute attitude models and based on cross-correlation (사용자 행동 기반 다속성 태도 모델 기반의 유사도 측정 연구)

  • Ahn, Byung-IK;Jung, Ku-Imm;Choi, Hae-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554-557
    • /
    • 2016
  • 2015년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이 83%에 다다르고 인터넷 정보 검색은 PC보다 모바일이 추월한지 오래다. 범람하는 정보 안에서 편하고 빠른 것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은 이제 개인화된 맞춤형 추천 정보의 제공을 원한다. 맞춤형 추천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추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대중화된 개인 추천 서비스는 책과 영화가 있는데 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음식점 방문에 대해서도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식점 방문에 대한 비슷한 태도를 보인 사용자를 추출한 후 방문했던 장소를 비교하여 추천하는 사용자 행동 기반 다속성 태도 모델 기반의 장소 추천 모델을 연구한다. 다속성 태도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피쉬바인(Fishbein) 방정식을 활용하고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유사한 장소를 추출했다. 그리고 그룹렌즈의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추천 대상 장소를 선정하고 유클라디안 거리법으로 사용자의 거리기반 장소를 추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스템의 우수성도 입증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visual sig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pedestrians' walking behaviors in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in Daegeon City (대전시 지하상가에 있어서 사인류의 분포특성과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

  • Yoo, Hyun-Bae;Choi, Ji-Soo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8 no.3
    • /
    • pp.263-267
    • /
    • 2007
  • From our analysis of pedestrian walking behavior at the Daegeon underground shopping center, we think that the following changes might be necessary to improve sign placement and use. Firs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ocation of information signs and their rate of use should be reduced. Second, differences in information given by the signs that arise from problems with sign height and placement should be reduced. Third, signs should be distributed in such a way that they provide co-ordinated information about points and places. Fourth, the arrangement and placement of the sign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view point of pedestrian walking behavior. Because there is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stalled signs and the rate of use of these signs, to increase the rate of information use it may be necessary to adjust the content and placement of the signs. Furthermore, analysis of subject walking paths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information to be offered about connections between spa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