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 수단

검색결과 3,254건 처리시간 0.03초

철도차량용 추진제어장치의 기술동향

  • 서광덕
    • 전기의세계
    • /
    • 제44권9호
    • /
    • pp.38-42
    • /
    • 1995
  • 최근 산업 발달과 더불어 증가하는 운송 물량과 일일 생활권의 확대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빠르고 편리하며 안전한 양질의 운송수단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의 증대는 자동차와 같은 개별적 운송수단의 증대를 유발하였으며, 기존의 제한된 도로에 대한 운송수단의 점유율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운송소요시간이 불규칙해져 평균수송량이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운송효율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따라서 많은 양의 물량을 한 번에 수송할 수 있으며, 정확한 운송시간을 보장하는 철도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의 확대가 절실하게 되었다. 도심 내에서는 전기 철도차량인 지하철을 설치하여 점증하는 수요를 충족시켜 왔으며, 도심간에는 기존의 궤도를 이용하는 차량의 운송횟수를 늘려 운송량을 증가시켜 왔다. 그러나 최근, 계속된 수요의 증가로 인해 기존 방식의 철도차량 운송 능력도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제한된 선로에서 운송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와 함께 새로운 철도노선 확장 및 차량의 고속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PDF

중계모듈을 이용한 주민번호대체수단의 연동방안 (A Relay Technique to interoperate between i-PIN(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services)

  • 김승현;이춘식;진승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81-1484
    • /
    • 2008
  • 대부분의 온라인 전자거래업체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고 등으로 주민등록번호가 노출되는 사례가 빈번하며, 주민등록정보를 타인이 도용하여도 효과적으로 확인 및 제어하는 수단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번호대체수단이 제안되었으나, 최근 공공 i-PIN 과 민간 i-PIN 으로 구분되는 기술들의 연동 문제로 인해 적극적인 도입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소한의 수정으로 이들 주민번호대체수단이 연동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기존의 민간 i-PIN 연동 프로토콜을 공공 i-PIN 에 적용하며 프로토콜 간의 연동 모듈을 두어 각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제안된 기술은 공공 i-PIN 에 적용되어 현재 전국적으로 구축 중이다.

강우 상태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패턴 특성연구 - 부산광역시 버스통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Adverse Weather Conditions on Public Transportation Mode Choice)

  • 박근영;이시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D호
    • /
    • pp.23-31
    • /
    • 2012
  • 부산광역시는 2007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재정지원금이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현재 부산시의 재정 상태를 감안한 경우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성공 여부는 매년 투입되어야 하는 재정지원금을 연차적으로 감소시켜 나가야 하는 부분이다. 부산시 재정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시내버스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여 버스 이용객의 수요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교통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조건을 살펴보면 눈, 안개, 비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상조건은 통행자들의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버스 이용의 감소를 가져온다. 그리하여 기상 악화시 이용률 저하는 수익금 감소로 이어지게 되어 부산시의 막대한 공공재정 부담으로 돌아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 상태에 따른 교통수단간 수송 분담률을 파악하여 기상 악화시 버스 승객이 타 교통수단으로 전환하는 패턴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타 수단으로 전환하는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중교통시설 및 환승체계 구축 등 버스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AFC-기반 통합대중교통 네트워크의 Selected Station Analysis (SSA) 연구 - 수도권 지하철 환승역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lected Station Analysis of AFC-Based Integrated Transit Network - Focused on Subway Transfer Sta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 이미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7-83
    • /
    • 2018
  • 본 연구를 아우르는 질문은 "지하철 역사내부를 이동하는 개별승객은 언제 어디서 어떤수단을 이용해서 출발해서 언제 어디로 어떤 수단을 이용해서 갔는가 ?"이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지하철 역사를 이동하는 개별승객이 이용한 정류장, 경로, 수단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수도권 통합대중교통요금체계에서는 AFC(자동요금징수체계)자료를 활용하면 개별대중교통이용승객의 통행수단, 정류장, 경로가 파악된다. 본 연구는 AFC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의 대중교통역사의 승객이동을 지하철 환승역사의 관점에서 관찰하는 SSA(선별역사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SSA는 환승역사내 개별승객이동을 세분화하고 연계통행관점에서 최초출발역/시간과 최종도착역/시간 정보를 분석한다.

G-File에 저장된 위치정보 관리 알고리즘 (G-File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lgorithm)

  • 최상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42-748
    • /
    • 2011
  • G-File은 사진촬영의 위치 좌표를 내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진 속 이미지의 위치와 방향각 데이터를 이용한 파일을 말한다[1]. G-File은 사진 파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진 파일 수신 수단과, 사진 파일을 사진 정보와 위치 정보로 분리하여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분석 수단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대응되는 좌표에 표시하는 위치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G-File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G-File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관리하게 하고, G-File 관리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특별교통수단 이용자 통행패턴 분석 - 경상남도 사례 - (Travel Patterns of Disabled Persons Using Special Transport Systems : Case of Gyeongsangnam-do)

  • 신용은;최혜미;송기욱;이희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213-221
    • /
    • 2014
  • 2005년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의 제정이후,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특별교통수단의 도입과 운영이 각 책임 지자체의 주도로 이루어져왔다. 특별교통수단을 운영함에 있어 이용자 통행특성은 서비스 수준과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기초 자료이나, 현재까지 통행 특성에 대한 지식은 자료부족으로 인해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콜센터 자료를 활용하여 특수교통수단 이용자의 통행특성 파악을 시도하였다. 콜센터는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통행특성 파악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이용건수, 이용자 장애 특성, 이용일자 및 시간, 휠체어 이용여부, 통행목적, 출발지 및 목적지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수단 이용자의 기본 특성 뿐 아니라 시 군 경계를 초월하는 광역통행을 포함한 O-D의 파악도 가능하다. 분석 결과 일반통행패턴과 다르거나 의미 있는 패턴이 파악되었다. 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는 42% 정도이며, 통행이 주로 비첨두시간에 집중됨도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상남도 뿐 아니라 타 지자체의 특별교통수단 정책수립과 운영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콜센터 정보수집내용에 일반적 특성을 추가할 경우 전체 자료를 활용하여 주기적인 패턴의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UR 모형을 이용한 강수량과 대중교통 승객 수간 관계 분석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Transit Ridership Through a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 신강원;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3-92
    • /
    • 2014
  • 기상조건은 통행자의 수단선택 행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상조건에 따른 여러 교통현상에 대한 가설 중 강수 시 대중교통수단의 승객수가 감소한다는 연구 가설을 실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24개월 동안 관측된 부산의 버스, 도시철도, 마을버스의 일일 승객 수와 일일 강수량의 관계를 외견상 무관해 보이는 회귀모형(SU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일 강수량이 10mm 이상일 때는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 대중교통수단의 승객 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수량 1mm 증가 시 시내버스, 도시철도, 마을버스 승객 수는 각각 0.169%, 0.101%, 0.172% 감소). 이처럼 부산의 대중교통수단의 승객 수는 일일 강수량이 10mm 이상인 날 감소하나 도시철도 승객 수 감소는 교차방정식 제약검정 결과 강수량 증가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철도 승객 수 추정식의 강수량 계수부호는 음수로 부산의 대중교통수단 이용객들은 10mm 이상의 강수일에는 접근, 대기, 환승에 불편이 있는 대중교통수단간 수단 전환보다는 좀 더 쾌적한 통행을 할 수 있는 택시나 승용차로 수단을 전환하거나 통행을 포기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판단된다.

고속철도 개통후 지역간 교통체계의 변화 (KTX Impact on the Inter-Regional Transportation System)

  • 이진선;김경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5-82
    • /
    • 2005
  • 2004년 4월에 개통한 고속철도는 철도수송시장 뿐만 아니라 지역간 교통수단의 변화 등 국가 전체적으로 적지않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수요와 실제치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실제 이용치에 대한 경부축 중심의 지역간 교통수단분담률과, 경부축 주요 구간(경부축 주요 4개 구간 대상: 서울권~천안권, 대전권, 대구권, 부산권)의 철도역간 수송수요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간 교통수단 및 철도차종별 수용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부축의 지역간 교통수단의 분담률 변화는 고속철도 개통전과 개통후의 지역간 이용수요를 분석하여 비교하고, 다음으로 KTX 개통 이후 철도시장내에서의 열차 차종별 분담률을 비교함으로써 차종별 열차 선호도와 이용수용의 분담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지역간 여객수송에서 철도의 역할이 크게 증대되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그 영향력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역간 여객수송에서 항공이 독점하고 있던 장거리 고급수단으로서의 이미지가 철도로 확대되고, 도로부분은 지역간 단거리 여객수송 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수송효율적인 철도수소의 증대는 전체 교통시장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한 현상이며, 점진적으로 고급수단인 KTX와 새마을호 및 무궁화호를 통합한 일반철도 이원화체계가 운영자 입장이나 이용자 입장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통행분포/수단선택 통합모형 및 민감도분석 (Integrated Trip Distribution/Mode Choice Model and Sensitivity Analysis)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1-89
    • /
    • 2011
  •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는 4단계 통행수요추정의 첫 단계인 통행발생(trip generation)에서 구해진 통행생성(trip production)과 통행 유인(trip attraction)을 연결시키는 작업이다. 즉 하나의 존에서 생성 또는 유인되는 통행량을 다른 존에 분포시키는 과정이다. 이에 반해, 통행수단선택(transport mode choice)은 통행자들이 어떤 교통수단을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이들 통행분포단계와 통행수단선택단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온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분포단계와 통행수단선택단계를 통합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듬도 제시한다. 통합모형의 통행분포모형으로는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적용되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로짓모형(logit model)을 이용한다. 본 연구의 통합모형은 각 단계별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추정단계가 하나의 모형 틀 안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좀 더 현실적이며, 통행비용의 불일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통합모형에서도 균형조건(equilibrium condition)이 존재함을 증명하며, 통합모형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기존 모형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통행시간 신뢰도를 고려한 통행수단선택모형에 관한 연구 (Modal Choice with Travel Time Reliability)

  • Nam, Doo-Hee;Park, Dong-Joo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6
    • /
    • 2004
  • 통행수단선택에 있어 여행자들은 여행수단의 통행시간 뿐만 아니라 해당 수단의 신뢰도를 함께 고려하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통행시간의 신뢰도는 삼각분포를 기반으로 하는 통행시간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와 최대지체시간(Maximum Delay)으로 정의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Multinomial Logit(MNL)과 Nested Logit 모형이 구축되어 상대적으로 우수한 MNL을 이용한 모형의 결과 통행수단의 신뢰도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통행시간의 표준편차와 최대지체시간의 변수를 사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최대지체시간이 보다 적절한 변수임을 보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통행시간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수상교통수단을 중심으로 서비스 수준의 향상에 관계되는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형의 민감도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정책결정자와 교통계획가들로 하여금 대안선택의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쓰일 수 있다. 민감도 분석을 바탕으로 수상교통을 중심으로 통행시간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수단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책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