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용자 유형

Search Result 74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Empirical Needs of User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in Libraries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장애유형별 실증적 요구도 조사 연구)

  • Cha, Sung-Jong;Bae, Ky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0 no.1
    • /
    • pp.145-180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users with disabilities demand first when using library services by analyzing the actual usages and demands of handicapped user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situation of library disabled users was analyzed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ies. Secon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disability types were investigated for the main components of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 Third, major components of library services were analyzed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for the disabled and ways of activating library services by types were suggested. Fourth, we analyz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t purposes of use by the disabled within Borich's Model for the main items of library services. We also proposed a plan to meet the purpose of library use by each type. Fifth,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y type of users in Borich's Model for the major items of library services and thus suggested solutions to improve library services by types of disabilities.

A Study on the Collection Use of an Academic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Statistics of the A-Academic Library Users (대학도서관의 자료 이용에 관한 연구 - A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대출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 Kim, Sun-A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115-131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 patterns of library collections using circulation statistics of academic library user's. For this purpose, the 264,804 circulation-related data of A-academic library which were occurred between March 2012 and February 2013 were collected and used. Five patterns of common user group (undergraduate, graduate students, professors, staffs, the others users) are identified for this study. Gross circulation statistics was analyzed and compared for different users groups and for different subjects.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uthor understood degree of collection use by subject, degree of collection use by user groups, latest materials preference in collection use by subject, latest materials preference in collection use by user groups.

The Analysis of the User Types on the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ies during the Month of Reading (공공도서관의 '독서의 달' 프로그램의 이용자 유형의 분석)

  • Kim, Su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5 no.1
    • /
    • pp.43-59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in user types of the reading programs which are provided by sixty-two public libraries during September, "the Month of Reading,"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Seoul. Pusan, Daegu, Incheon, Daejeon, Gwangju and Ulsan. For the analysi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622 programs of "the Month of Read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and find meanings from it. The findings show, there are a little differences in the priority order of the main user types among the seven metropolitan cities, however, the children and all ages of the public libraries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are identified as the main user types of the libraries.

A Study of Features by Avatar type according to Internet communication services (인터넷 매체 서비스 이용자의 아바타 사용에 따른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Kyung-A;Jeong, Bong-Keu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70-277
    • /
    • 2007
  •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Online Community)로 관계(Relationship)를 맺고,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이 하나의 디지털문화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가상공간에서 자신을 대변할 수 있는 또 다른 나, 즉 아바타(Avatar)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른 사용자 감성의 반영으로 아바타 디자인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아바타의 근원은 분신(分身) 화신(化身)을 뜻하는 산스크리스트어 '아바따라(avataara)'에서 유래되었으며, 인터넷시대가 열리면서 3차원이나 가상현실게임 또는 웹에서의 채팅 등을 즐길 때 사용자를 대신하는 그래픽 아이콘으로 표상되면서 인터넷 상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분신으로 정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매체 서비스 이용자의 아바타 사용에 따른 유형별 특성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아바타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요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인터넷 공동체 집단을 미니홈피/블로그, 채팅, 게임으로 구분하였으며, 아바타 이용자들이 이와 같은 커뮤니티를 이용할 때 어떤 목적에 따라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이 아바타를 선택할 때 어떤 유형별 특성이 나타나는가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아바타 이용자들이 자신이 표현하려는 아바타 이미지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상세계에서 표출하는 아바타 사용 목적에 맞는 유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아바타 이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감성을 반영하는 디자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연구방법은 아바타의 개념과 유형분류, 그리고 미니홈피/블로그, 게임, 채팅의 이론적 논의 및 근거제시를 위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아바타 이용목적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Qualitative)로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내용분석과 표현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verification)하기 위해 양적연구(Quantitative)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아바타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384명의 학생들이며, 성별 연령별에 따른 분류를 통해 각 조사대상자별 특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미니홈피/블로그, 채팅, 게임의 서비스 공간에서 보여 지는 각각의 특성에 맞게 아바타 이용자들은 자신이 표현하려는 아바타의 유형에서 선호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아바타사용자의 인터넷 매체 이용목적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사이트(site)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선호를 고려한 아바타 디자인 전략과 그 모델(Design model)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zing Users' Perception and Attitude Associated with Usage of Signage (사이니지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Kim, Hang Sub;Kim, Hyung Joon;Lee, Bong Gyou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4
    • /
    • pp.291-302
    • /
    • 2013
  • Signage can be defined as the media device that provides specific information to many unspecified users in public places. Recently applied context-aware technology, signage provides personal on-demand information services in a way that can continue to evol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ypes which users identify signage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consideration of the perspective of the experts in the fields. The research is carried out by applying Q methodology with in-depth interview. First, interviews a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xperts and practitioners on signage. Thereafter us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ignage are classified by each types using Q methodology. The first type is named as 'signage as smart media', the second type is named as 'signage as passive media', and the third type is named as 'signage as interactive media' is na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guidelines for conducting further academic researches and R&D.

Comparison of Care Cost Among Large Institution, Small Group-home and Independent Living Home for Disabled People (장애인거주시설 유형별 이용자 보호비용(care-cost) 비교)

  • Kang, Hee-seol;Kim, Yong-deu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7
    • /
    • pp.345-36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are unit cost among large institutions, small group homes and independent living homes for disabled people. For this purpose, our study adopted cost-analysis method widely being used in the field of accounting. By the analysis on per-person and per-year unit care cost comparison, care cost of large institutions is estimated 15,000 - 20,000 thousands won, small group homes 10,000 - 11,000 thousands won and independent living homes 4,025 thousands won. By this study, discourse of 'larger size means economic efficiency' which is widely supported by politicians and bureaucrats has no grounds in the practice of Korean residential care services. This study is suggesting two folds. Firstly, small and community based homes should be preferred in the future provision policy of residential care homes for disabled people. Secondly, government grants for small community based homes should be increased to the level of amount provided on large institutions.

A proposal of visualization method of MBTI personality types using celebrity images (유명인 이미지를 활용한 MBTI 성격 유형 시각화 방식 제안)

  • Shin, Ho-Sun;Lee, Ka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8
    • /
    • pp.491-498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visualization method that expresses users' MBTI personality type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method calle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representative celebrities' facial images. This system has significance for visualizing traits from texts to images effectively. The entire system is composed of making backgrounds to represent traits of each MBTI category using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showing facial images of celebrities with corresponding MBTI personality types. First, 'Big Five Personality Traits' classifies 16 MBTI types into four categories and each of category traits lays the foundation to make background using visual elements such as colors and lines. Second, celebrities' facial images are substituted for the corresponding literal explanation of each MBTI type. By adjusting the color saturation, users can distinguish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intuitively. As a result, this system enables users to take information for their own / opposite / similar MBTI types simultaneous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lor selecting behavior and self-esteem in Mabinogi, the on-line game (마비노기에서의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Jang, You-Won;Doh, Young-Yi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51-655
    • /
    • 2007
  • 카툰 렌더링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RPG 게임인 마비노기에서는 게임이용자들이 염색 시스템을 통하여 의복아이템에 자신들이 원하는 색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 색에 관련된 주목할 만한 현상은유행색이 존재하고 색에 따라 같은 아이템의 가격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유행색이 존재하는 것은 현실과 비슷하지만 같은 아이템이 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현실에서는 보기 드물다. 이는 현실과 비슷하면서도 심리적인 속성이 다른 사이버공간만의 특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마비노기에서 게임이용자들이 색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작용하는 심리기제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비노기에서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예비 조사를 통해 게임이용자 20명과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색 사용 경험을 추출하고, 추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18문항의 색 선택 행동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온라인 설문으로 129명의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색 선택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색 선택 행동은 4개의 요인-색채 둔감성, 유행추종, 개성표현, 캐릭터이미지와의 적합성-으로 구분되었다. 색선택 행동 4개의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색 선택 행동 유형은 각각 색 분화형, 유행추종형, 색 둔감형으로 구분되었다.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 하위 범주 중 부정적인 자기평가, 타인의 의견에 대한 걱정, 의존성의 세 가지 하위 범주에서 색 선택 행동 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자의식 차원에서는 색 선택 행동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행추종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색 둔감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 존중감 수준이 높았다. 색 분화형은 유행추종형과 색 둔감형의 중간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볼 수 있었다. 유행추종형은 자기의 외부에서, 색 둔감형은 자기의 내부에서 색과 관련된 자신에 대한 가치감의 소재와 근원을 찾는 특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RPG 게임에서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고 색 선택 유형별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려는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추후에는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 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색이미지와 개별적인 색이미지 및 색이미지의 심리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색채감성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임을 제작할 때 캐릭터 디자인과 아이템 디자인에 어떠한 색을 사용해야 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between Fan and Celebrities on Twitter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특성 탐색)

  • Hwang, Yoo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8
    • /
    • pp.72-82
    • /
    • 2013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ypes of Twit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s of Twitter users toward celebrities. Three perspectives of para-social interactions, information hub, and fandom were proposed as communication types on Twitter. Celebrities were classified by entertainer, politician, specialist, and blogger. Communication patterns according to each category of celebrities were analyzed. The patterns of emotional responses, which represents the use of emoticons and emotional expression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 of para-social interactions was frequently accepted for the interactions with politicians and specialists, while fandom style was salient for the entertainers. For the power bloggers, the users tend to adopt the type of information hub interaction. The use of emotions and emotional expressions were most frequent in case of fandom style communication and the messages to the entertainers.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