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용자 로그 분석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8초

트랜잭션 로그 분석을 통한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검색행태 추이 분석 (Trends of Web-based OPAC Search Behavior via Transaction Log Analysis)

  • 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33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웹기반 온라인목록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검색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7년 동안의 트랜잭션 로그를 분석하였다.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검색형태는 검색전략과 검색실패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검색전략에서는 검색유형, 접근점, 연산자, 검색문의 길이, 단어 사용횟수, 웹기반 온라인목록 이용횟수, 시간대별 및 요일별 이용횟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검색실패는 검색실패율과 접근점별 검색실패율, 연산자별 검색실패율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웹기반 온라인목록 시스템과 서비스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정보사이트의 이용자 참여형 평가 (User Participation Evaluation of A Scholarly Information Site)

  • 박민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5-9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분야 학술정보사이트의 이용자 참여형 평가 방법론을 개발 및 적용시킴으로써 평가사이트를 개선시키는 데 있다. 실험은 통제된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아이트랙킹, 검색로그,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이트랙킹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사이트상에서 불필요한 항목을 제거하였고 콘텐츠와 이미지들을 재배열하였다. 검색로그 데이터는 시스템의 효율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설문지 데이터 분석 결과 또한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개선하였음을 보여준다.

검색 포털의 클릭 집중 문서 분석 평가 (Analysis and Evaluation of Most Clicked Documents of Korean Search Portal)

  • 박소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25-3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인 네이버 통합 검색의 클릭 집중 문서의 특징을 조사, 분석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클릭 집중 문서들을 대상으로 클릭 집중 비율, 컬렉션별 분포, 작성 연도별 분포를 조사하고, 문서의 적합도, 최신성, 신뢰도 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용자들이 입력한 통합 검색 질의들로 구성된 질의 로그와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에서 이용자들이 조회한 문서를 기록한 클릭 로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클릭 집중 문서가 가장 많이 발생한 컬렉션은 블로그였으며, 질의별로 클릭의 절반가량이 한 문서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릭 집중 문서의 적합도와 최신성은 상당히 높지만, 신뢰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 및 인터페이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웹 사용성 개선에 관한 연구 - 국가과학기술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 (Usability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 박민수;현미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정보사이트의 이용자 사용성 평가를 통해 시스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시스템 운영 및 개발 과정에 반영시킴으로써 현 사이트에 대한 사용성 개선에 있다. 총 16명의 이용자에 대한 사용성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검색로그, 인터뷰, 씽크 어라우드 등 다수의 데이터 수집 테크닉들을 적용하였으며 연구자와 이용자 1:1 방식으로 이루어진 사용성 실험은 정해진 테스트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다. 수집한 데이터는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검색로그 데이터는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오류 등의 항목을 사용성평가 측정 기준에 따라 정량적으로 수치화한 후, 기술적 통계 분석을 하였다. 씽크 어라우드와 사후 인터뷰로부터 수집한 구두 데이터는 텍스트화한 후 정성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시스템 개선 전과 후에 대한 사용성 수준을 비교해 보면 효과성이 15점 증가, 효율성이 35초 단축, 만족도가 5점 상승, 오류횟수가 1.1회 감소하는 등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이 전반적으로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적응형 웹 사이트를 위한 웹 로그 마이닝 (Web Log Mining for Adaptive Web Sites)

  • 고경자;김인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325-32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이용자의 패턴을 분석하여 정보 제공이 보다 용이한 구조로 자동 개선시켜 나가는 적응형 웹 사이트의 구현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웹 사이트의 구조를 가능한 파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웹 사이트론 변경하고자 이용자의 접근 패턴상 연관성은 높으나 접근 경로가 긴 문서들을 추출하여 색인 페이지를 추가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용량의 웹 서버 로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이퍼 링크 구조에 따라 필터링된 최후 전진 문서만을 가지고 데이터 시퀀스를 구성한다. 이러한 데이터 시퀀스에 새로운 순차 접근 패턴 탐색 알고리즘인 TPA를 적용함으로써 웹 문서간 충분한 지지도를 갖는 연관성 있는 문서들의 시퀀스를 구한다. 이와같은 빈발 시퀀스들에 대한 색인 페이지를 추가로 생성시켜주는 서비스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효과적인 정보 접근을 지원할 수 있는 웹 사이트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 PDF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User Services in CNU Digital Library Website)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정보기술을 적용한 XML 기반 충남대학교 전자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로그파일 분석, 온라인 설문조사 그리고 발견평가의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입장에서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cdot$평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보안성이 취약한 사용자 계정 관리를 위한 웹 로그 분석기 (The Web Log Analyser for Managing User Account having Weak Security)

  • 박기홍;이진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403-406
    • /
    • 2012
  • 인터넷이 확산과 더불어 보안의 문제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보안과 서비스에 대한 관리자의 책임 또한 더욱더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로그를 분석하여 웹호스팅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되지 않아 보안성이 약한 사용자 계정을 관리자로 하여금 시스템 보안의 틈새를 찾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WLA(Web Log Analyzer)를 구현하여 웹서버가 수행될 때 기록되는 각각의 로그를 분석한다. 그 결과 웹호스팅을 사용한 계정 이름의 수를 포함한 UUL(Used User List)를 구축하고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는 호스팅 서비스 이용자를 찾아내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 PDF

WWW 이용자 추적을 통한 개별적 특성.취향 분석 시스템 (An Analysis System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 Taste through Pursuit of WWW User)

  • 이충석;정연홍;박규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523-527
    • /
    • 2000
  • 최근 기업에서의 인터넷 응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CALS/EC)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수단으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 CALS/EC는 비즈니스 관련 정보를 전자적으로 교환함으로써 기존의 비즈니스 방식을 개선, 전환, 재정의하고, 비용절감, 품질향상, 서비스의 품질과 속도개선을 통해 고객만족과 기업이윤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기업의 전술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기반 CALS/EC의 활성화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의 기업 상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 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자상거래를 포함, 인터넷 이용자의 특성.취향을 분석하기 위한 이용자 특성.취향 분석 시스템의 구성원리와 그 구성요소 중 하나의 모듈인 특성화된 이용자 로그정보로부터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이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유연성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현하였다.

  • PDF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 이용자 정보요구와 이용 행태 분석 (User-oriented Evaluation of NDSL Information Service)

  • 유사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5-40
    • /
    • 2002
  • 본 연구과제는 지속적인 시스템 평가가 정보시스템 관리와 유지에 핵심적인 부분이며 매우 중요한 일부분이라는 관점으로 이용자 중심의 정보시스템 평가, 즉 이용자 정보요구에 대응한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NDSL)의 정보제공 기능을 정보서비스(효율성)와 정보자체(효과성)의 두 측면의 평가로 구분지어 분석했다. 전국의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이용자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정확한 이용실태를 트랜잭션 로그화일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후, 이용자의 실제 NDSL 이용 행태와 정보요구, 그리고 이용자 만족도와 문제점등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의 최종 목적은 조사된 자료로부터 전자도서관의 이용자 정보 서비스기능에 실증적인 문제점 파악과 그에 대해 최적 시스템 기능수행에 활용될 수 있는 개선 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유입경로와 이용자 검색어 분석 (Analysis of Users' Inflow Route and Search Terms of the Korea National Archives' Web Site)

  • 진주영;이해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3-203
    • /
    • 2018
  • 이용자 정보이용환경이 웹으로 변화하면서, 기록관리기관들도 종전보다 더 많은 서비스를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최근 유입경로와 10년 반 동안 매달 상위 100개의 검색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기록정보서비스방안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유입경로는 크게 포털 사이트별 접속, 국가별 접속, 유사기관 별 접속 및 모바일 접속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용자들의 검색어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이 10년 반 동안 가장 많이 검색한 검색어는 '토지조사부'였으며, 꾸준한 관심을 갖고 검색한 검색어 또한 '토지조사부'였다. 그 외에 정부 기관에서 생산한 문서 또는 관보에 대한 관심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검색어와 꾸준히 등장한 검색어를 파악한 결과, 검색어들을 크게 토지, 일제강점기, 6.25 전쟁과 남북관계, 기록관리 및 이용으로 묶어볼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포털 사이트 및 모바일 등을 활용한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의 연계성 강화와 검색 서비스의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이렇게 웹로그나 이용자 검색어 등을 분석하면 기록관리기관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