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앙

검색결과 637건 처리시간 0.027초

벼 분자육종을 위한 CTAB DNA 추출 시스템 개량 (Modified CTAB DNA Methods for efficient DNA extraction from Rice (Oryza sativa L.))

  • 이종희;곽도연;여운상;김춘송;전명기;강종래;박동수;신문식;오병근;황흥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86-290
    • /
    • 2008
  • 본 연구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신속 DNA추출법을 개발하고자, 2% CTAB 추출법을 시스템적으로 개량한 Modified CTAB법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DNA 추출용 샘플마쇄는 Voltex mixer, 3개 텅스텐 구슬 및 96 deep well block을 이용하였으며, 5분 이내에 96개 샘플을 분쇄할 수 있었다. 2. Modified CTAB DNA 추출법은 1.5 ml E-tube 대신에 1.2 ml 8연식 tube를 사용하였으며 DNA 추출, PCR작업 및 전기영동까지 일련의 작업이 8채널 멀티피펫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적으로 개선하였다. 3. Modified CTAB법은 어린잎 뿐 만 아니라 이앙 후 30일째 채취한 잎에서도 DNA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육종포장에 재식된 재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액비시용에 따른 논 포장에서의 수질환경 영향 (Environmental impact on water quality from paddy fields treated liquid manure)

  • 장태일;손재권;최진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6-276
    • /
    • 2015
  • 농경지에서의 액비 수요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적정 액비시비량에 대한 기준과 사후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환경문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논에서의 질소 및 인의 동태를 모니터링하고, 관개수, 배출수 및 침투수 중 영양물질 및 중금속 잔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화학비료 표준시비구, A)와 양돈분뇨액비 표준시비처리구(B)로 구성하였으며, 기상관측 측정을 위하여 자동기상관측기, 유입량은 수도미터계량기로 관측하였으며, 시험포장으로부터 유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식수위계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침투에 의한 영양물질의 유출부하량 평가를 위하여 침투계 1조 및 중금속 포집이 가능한 ceramic porus cup 4조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2014년 6월 9일 써래질 후, 6월 19일 $15{\times}30cm$, 1주 당 3본씩 "동진벼"를 기계이앙 실시하였고, 대조구 A는 농촌진흥청의 추천시비량, 처리구 B는 지상분무방식(액비시비 후 경운을 하는 방식 및 관개수 공급 후 액비를 시비하는 희석식)을 적용하였다. 기비 시비일은 6월 6일, 분얼비 시비일은 6월 26일, 수비 시비일은 7월 30일이었다. 강우량 대비 유출량 비인 유출률은 0.03에서 0.91까지 나타났으며, 담수의 수질조사는 평시 조사로 주 1회 실시하고 있으며, 분석결과는 SS의 경우 처리구 B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물질(T-N, T-P 등)의 경우는 대조구 A에서 꾸준히 높은 농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 농도는 시비 시기에 따라 첨두값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TH_3-N$의 경우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처리구 B에서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유출수의 화학성분 분석결과는 완효성인 화학비료의 특징으로 전체적으로 대조구 A에서 수질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BOD의 경우는 처리구 B에서 높게 나타났다. 침투수의 T-N은 대조구 A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TH_3-N$의 휘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NO_3-N$은 처리구 B에서 더 높게 나타나 토양중으로 침출되는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액비시용에 따른 농경지 위해성 평가와 관리방안 개발을 위한 1차년도의 연구 성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향후 새만금 유역내 축산밀집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축산분뇨 관리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논토양(土壤)의 탈질작용(脫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3 보(報) : 볏짚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시기(施用時期)가 탈질(脫窒)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enitrification in the Submerged Paddy soil -III. Pretreatment of rice straw and silica fertilizer in submerged and upland soil Condition)

  • 이상규;김승환;박준규;안상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5-249
    • /
    • 1986
  • 담수상태(湛水狀態)와 밭상태(狀態)의 토양조건(土壤條件)에 볏짚과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시용시기별(施用時期別)로 처리(處理)한 후(後) 토양(土壤)에 이몰(理沒)하였다가 질내(窒內)에 채취(採取)하여 담수항온(湛水恒溫)하면서 탈질량(脫窒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볏짚과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병용시 탈질량(脫窒量)은 항시담수구(恒時湛水區)보다 밭상태(狀態)로 유지(維持)하다 담수처리(湛水處理)한 구(區)에서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다. 2. 볏짚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시기별(施用時期別) 탈질량(脫窒量)은 이앙(移秧) 2주전(週前) 시용구(施用區)가 조춘(早春) 및 가을 시용구(施用區)보다 현저(顯著)한 증가량(增加量)을 보였다. 3. 질소(窒素) 1 mole 탈질(脫窒)시키는데 소요(消要)되는 탄소량(炭素量)은 항시담수구(恒時湛水區)가 밭상태(狀態)의 토양(土壤)보다 많았으며 볏짚과 규산질비료시용(珪酸質肥料施用)은 탄소(炭素)의 소모량(消耗量)은 감소(減少)시켰다. 4. 항온기간중(恒溫期間中) 무기태질소생성량(無機態窒素生成量) 및 초산화성율(硝酸化成率)은 항시담수구(恒時湛水區)보다 밭상태(狀態)의 토양(土壤)에서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보였다.

  • PDF

벼 생산 단계에서 탄소발생량과 감축요소 평가 (Evaluation of Mitigation Technologies and Footprint of Carbon in Unhulled Rice Production)

  • 이덕배;정순철;소규호;정재우;정현철;김건엽;심교문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9-142
    • /
    • 2012
  • 본 연구는 벼 생산에 필요한 농자재의 제조와 벼 재배과정 그리고 농자재의 폐기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성적을 산정하고, 주요한 온실가스인 메탄의 발생 저감을 위한 재배기술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벼 생산 단계에서 탄소 발생량은 투입된 농자재의 물량을 기준으로 농자재와 에너지의 제조단계에서 탄소발생량, 농작물 생육 단계에서는 시비질소 유래 아산화질소 발생량과 에너지 소비에 탄소 발생량, 농법에 따른 메탄발생량 그리고 농자재의 폐기에 따른 탄소발생량의 합으로 산정할 수 있다. 벼 1 kg 생산 단계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1.40 kg이었으며, 발생된 온실가스 배출비율은 벼 생육 단계에서 메탄 유래 탄소발생량이 71.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시용된 질소에 의한 아산화질소 유래 탄소발생량이 11.8%였으며, 복합비료 제조단계에서 발생된 탄소발생량이 7.6%에 달하였다. 벼 재배기술 별 메탄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중만생종 대비 조생종 품종재배로 44.4%, 늘 물대기 대비 중간 물떼기로 43.8%, 암거배수처리로 38.7%, 이앙재배 대비 직파재배로 32.0%, 경운 대비 무경운 재배로 20.9%의 감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과정 지구온난화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실적의 측정-보고-검증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이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나 저탄소농산물 인증제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Random Forest를 이용한 남한지역 쌀 수량 예측 연구 (Rice yield prediction in South Korea by using random forest)

  • 김준환;이주석;상완규;신평;조현숙;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5-8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random forest 를 활용하여 기상요소만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체의 벼 평균수량을 예측하는데 있다. Random forest 는 예측에 사용되는 각 predictor variable 을 분리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분리된 시계열 상의 추세가 비정상적인 증가형태를 보였다. 이는 결국 예측능력의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고 본 연구에서는 이동 평균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예측을 하였다. 1991 년부터 2005 년까지의 기상자료와 수량자료를 학습에 사용하였고 2006 년부터 2015 년까지의 자료들을 검증용으로 사용하였다. 학습자료에 대해서는 상당히 정확한 예측 능력을 보여주었으나 검증 자료에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그 이유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 자료와 검증자료에 대해서 각각 변수 중요도를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두 자료 간에 월별 기상 자료에 대한 중요도가 변동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하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학습자료와 검증 자료에서의 전국적으로 표준이앙기가 이동하여 벼의 생육기간 자체가 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지역별 파종기 또는 이앙기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며 단순히 기상 자료만을 활용한 예측은 어려운 것으로 생긱된다.

캄보디아 남부 천수답지역의 벼 집약관리재배 시스템(SRI)에 대한 현장 연구 (On-Farm Study of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 of Rainfed Lowland in Southern Cambodia)

  • 이윤호;서명철;조정일;조현숙;김준환;신평;백재경;상완규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5-291
    • /
    • 2018
  • 1. 본 연구는 저지대 천수답지역인 캄보디아 남부 따게오주에서2012~2013년에 2년간 벼 집약재배관리 시스템(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에 대한 현장 연구 결과이다. 2. 천수답 지역에서 2년간 SRI는 FP 보다 화학비료 사용 없이 쌀 수량이 증가 되었다. 캄보디아 천수답 농가의 SRI은 어린모로 조기 이앙과 넓은 재식 밀도로 인해 이삭수 확보와 함께 지형에 따른 물 보유 능력과 오랜 기간 유기물 사용으로 수량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3. 쌀 수량에 미치는 영향으로 총 질소 흡수량과 단위면적당 총 영화수는 ($r^2=0.95$)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천수답 지역에서 물 관리 방법은 어렵지만 유기물을 장기간 사용한 지역 농가의 쌀 생산은 증가 되었다. 4. 최근 국내에서 일부 지역에서 소식재배가 확대되고 있는데 SRI원리를 소식재배와 연계한다면 보다 좋은 재배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entinel-1 및 UAV 영상을 활용한 김제시 벼 재배 조기 추정 (Early Estimation of Rice Cultivation in Gimje-si Using Sentinel-1 and UAV Imagery)

  • 이경도;김숙경;안호용;소규호;나상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03-514
    • /
    • 2021
  • 쌀 수급 조절 정책의 합리적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벼 재배면적의 조기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벼 주산지인 김제시를 대상으로 Sentinel-1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이앙이 마무리되는 7월 초순 벼 재배면적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해 최적의 훈련자료 수집을 위한 무인기(UAV) 영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5월부터 7월 초까지 수집한 Sentinel-1 위성영상은 ESA에서 제공하는 SNAP(SeNtinel application platform, Version 8.0)프로그램으로 전처리하고 팜맵을 활용하여 농경지만을 추출하였다. 벼 재배지 중심 지역과 벼·콩 혼재지 무인기 영상 촬영 영역을 혼합하여 훈련자료로 선정하여 김제시 전체 벼 재배지를 추정한 결과, 정확도와 카파 계수는 각각 89.9%, 0.774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김제시 전역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조사를 수행하여 분류한 결과와 비교 시 전체 정확도 1% 내외, 카파 계수 0.02~0.04 범위에서 차이를 보여 벼 재배지 조기 추정을 위한 무인기 영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등숙기 온도에 따른 쌀가루 가공용 벼의 등숙특성 변이 구명 (Effects of Temperature on Grain Filling Properties of Rice Flour Varieties during the Ripening Stage)

  • 양서영;황운하;정재혁;이현석;이충근;최명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7
    • /
    • 2021
  • 쌀가루용 품종의 등숙기 온도에 따른 등숙특성 변이를 구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고온(28℃)에서는 바로미2의 천립중이 21% 감소하면서 새누리(6% 감소)와 설갱(12% 감소)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으며, 전분함량의 감소 또한 바로미2에서 10% 이상으로 새누리와 설갱의 1~3% 감소와 대비되었다. 2. 저온(18℃)에서는 새누리나 설갱에 비해 바로미2의 등숙 속도가 매우 감소하였으며 특히 등숙 초반에 종실중의 증가가 매우 느렸다. 그러나 최종 천립중 및 전분함량은 22℃보다도 약간 증가하며 다른 품종과도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 3. 앞서 언급한 것처럼 쌀가루 가공용 품종 중 분질미(바로미2)는 등숙기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추후 분질미 재배시 등숙기에 고온을 피할 수 있도록 이앙시기를 늦추는 편이 좋으며, 다만 과도하게 늦출 경우 저온조건에서 등숙기간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여 등숙이 충분히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동일위도상 표고의 차이에 따른 수도품종의 수량형질변이 (Varietal Differences in Agronomic Characters under Different Altitudinal Locations with Equal Latitude in Paddy Rice)

  • Park, S.Z.;Lee, E.W.;Lee, B.W.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4-172
    • /
    • 1983
  • 수도 생육기간중 이상저온이 내습하였던 1980년에 동일위도상의 표고가 다른 두 개 지역, 수원($127^{\circ}$, $37^{\circ}$20' 표고 37m)과 제천 ($128.2^{\circ}$, $N37^{\circ}$10', 표고 280-300m)에다 Japonica 품종인 대골도, 진흥, 신002와 통일형품종 조생통일, 수원 287호(태백벼), wx 817-1-65-2-3(서울대 농대육성) 등을 4월 21일 파종 6월 1일 이앙하고 출수기, 간장, 수장 및 수량 관련형질들을 조사 비교 검토하였다. 1. 간장, 수장 및 1,000립중은 Japonica품종의 경우는 제천에서 통일형 품종의 경우는 수원에서 약간 작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2. 수량구성요소중 주당 수수는 제천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는데 그 정도는 품종에 따라서 달랐으며, 임실율은 수원이 제천보다, Japonica 품종이 통일형 품종보다 높았는데 지역간 차이는 통일형 품종에서 현저하였다. 3. 지역에 따른 품종들의 품종군에 따라 달라 Japonica 품종들(대골도 제외)은 제천에서 월등히 높았으나 통일형 품종들은 제천에서 모두 감수되었다.

  • PDF

벼 도복 발생요인과 피해경감 대책 (Lodging Mechanisms and Reducing Damage of Rice Plant)

  • 이문희;오윤진;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83-393
    • /
    • 1991
  • 벼 도복은 수입개방 대응기술 개발의 목표인 생산비절감 및 미질향상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기상재서라고 본다. 특히 생산비절감을 위한 직파재배법 연구에서는 도복에 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직파재배가 보급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도복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도복의 양상, 원인, 기작 등을 분석하여 보고, 또 이제까지 연구되였던 결과를 검토하여 도복없는 성역 안전성이 높은 양질미 생산기술체계확립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벼 도복은 집중포우 및 태풍의 기상조건 요인과 도복에 약한 일반 벼 품종의 재배면적의 증가와 다비재배로 점차 증가되어오는 추세이다. 2 벼는 간장과 엽장이 길고 엽의 각도가 벌어지며 엽초의 신선도가 떨어지고 절간의 수가 많고 하위절간장이 길며, 뿌리의 량이 적고 근부현상에 의하여 뿌리의 활력이 떨어지면서 천식성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벼는 도복에 약하다. 3. 벼의 도복은 좌절형, 만곡형, 개장형(분도복), 전복형 (뿌리도복)등으로 구분되나 우리나라에서는 좌절형이 많고 앞으로 직파재배 면적이 증가된다면 전복형 도복이 문제될 것이다. 4. 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하여 부리의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도복에 약하므로 직파재배에서 도복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재배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5. 출수후 도복되는 시기가 빠를수록 도복의 피해는 심하게 나타나며, 주로 등숙비율과 입중이 감소되고, 청미와 사미의 비율이 증가되어 양질미 생산에 큰 장해요인이 된다. 6. 벼 도복방제를 위해서는 내도복성품종 재배, 시비량 및 방법의 개선, 물관리 철저, 건묘육성, 재식밀도, 병충해 방제등의 종합기술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7. 생장조정제를 이용한 도복경감요구는 약제의 개발, 처리시기, 처리약량, 도복성의 조기진단 등에 대하여 세밀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벼도복방제 기술확립에 관한 연구는 벼재배의 성력화와 양질미생산측면에서 중요한 기술요인으로 빠른 시일에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