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앙

Search Result 63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이앙시기 및 재식밀도별 다복찰과 동진찰 생육 특성

  • 유영석;김효진;강영호;최유나;조대호;김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3-103
    • /
    • 2022
  • 다복찰은 전라북도농업 기술원에서 2012~2020년에 신명흑찰과 익산488호를 교배하여 육성한 찰벼이며, 중대립, 단간, 내도복, 다수성의 특징을 보인다. 동진찰은 1998년도에 육성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찰벼이다(재배면적 25,161ha/2021년 기준). 드문모심기 재배 기술은 2017년부터 도입되었으며, 밀파 육묘하여 재식밀도 및 재식주수를 감소함으로써 소요되는 재료비 등 경비 및 투입되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경제성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다복찰 보급 확대 및 가장 인기 높은 동진찰의 드문모심기 재배기술 확립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2024년까지 3년간 실시할 계획이다. 시험은 기술원 논 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시험품종은 다복찰, 동진찰, 시험요인은 이앙시기(3처리) 및 재식밀도(4처리)를 두었다. 이앙시기별로 이앙 17일 전에 온탕소독(62℃, 10분), 종자소독(32℃, 1일), 침종(32℃, 1일), 간이출하(30℃, 3일) 과정을 거쳐 부직포 육묘(12일 정도)를 실시하였다. 5월20일(이앙520)부터 5월30일(이앙530), 6월9일(이앙609)까지 10일 간격으로 드문모심기 전용 이앙기로 이앙하였으며, 주당 본수는 5.7개 정도였다. 이앙 시기별로 시험포장을 구분하였고 포장내에 2품종, 각각 3.3m2당 80주, 60주, 50주, 37주 등 재식밀도 처리구를 두었으며, 처리구마다 3반복 조사구(10주/반복, 5본/주) 설치하였다. 10a당 9-4.5-5.7kg(N-P2O5-K2O)를 밑거름(50%)-분얼거름(20)-이삭거름(30) 등 3회 거쳐 시비하였다. 중간물떼기는 이앙32일째부터 10일간 실시하였으며, 예상 출수 30일 전에 충분하게 담수하였다. 이앙20일째부터 10일 간격으로 경수, 초장, 엽색도 등 생육 조사, 그리고 출수기, 후기 생육 및 병해충을 조사하였다. 향후 수확기에 수량, 수량구성요소, 미질 및 품위를 분석할 계획이다. 시험토양은 pH 6.0~6.3, EC는0.68~0.85dS/m, 유기물함량은 52~57g/kg 수준으로 높았다. 동진찰 발아율(94.0~98.1%)이 다복찰(89.9~94.9%)보다 우수하였다(3~6%P ↑). 다복찰 묘 충실도(102~106mg/주)가 동진찰(79~101mg/주)보다 다소 좋았으며, 이앙530 묘소질이 가장 좋았다. 동진찰 초장은 다복찰에 비해 다소 길었으나 이앙시기 및 재식밀도별 초장의 변화 유형은 비슷하였다. 이앙520구의 80주에서 초장이 가장 작았고 이앙609구에서는 80주에서 다소 길었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동진찰 및 다복찰 경수는 37주에서 이앙 후 40일째, 50주, 60주, 80주에서는 30일째 가장 컸다. 출수기는 다복찰에 비해 동진찰이 3~7일 정도 빨랐으며, 특히 이앙520 동진찰에서는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출수기가 빠른 경향을 보였으며, 이앙530 이후에는 재식밀도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동진찰에 비해 다복찰 간장이 3~6cm 작았으며, 2품종 모두 이앙609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수장도 간장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수수는 2품종 모두 이앙이 늦을수록 증가하였으며, 37주에서 가장 높았으며, 80주에 비해 다복찰, 동진찰 각각 73.8%, 77.4% 높았다. 다복찰의 경우 3.3m2당 수수는 이앙시기별과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80주에서 가장 많았고 이앙520에서 재식밀도간 차이는 감소하였지만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수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진찰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앙520과 이앙609 사이에 수수 차이는 적었다. 병 발생은 잎집무늬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세균성 벼알마름병은 출수기와 맞물린 이앙530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였으며, 이앙520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삭누룩병 발생이 심하였는데 재식밀도간 차이보다는 이앙시기별 차이가 더 크게 발생하였으며 품종 간의 병 발생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수수 측면에서 조기 이앙할 경우에는 50~60주, 늦은 이앙 시에는 80주가 유리할 것으로 보이며, 추후주당 립수, 등숙률, 천립중 등을 조사하고 경영비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이앙시기 및 재식밀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Planting Trajectory of Rice Planting Machine for Close Planting Seeding (밀식파종을 위한 이앙기의 식부 궤적 분석)

  • Jo, Jae Min;Choi, Dug Soon;Kim, Byung Do;Kim, Hyeo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4-74
    • /
    • 2017
  • 밀식파종 묘 이앙 시스템은 벼농사 생력화를 위한 재배법으로 비용 및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시간과 잉여 공간의 유효 활용을 통해 영농 규모의 확대로 인한 농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밀식 파종한 육묘를 관행과 동일한 1개 소당 3~4주 이앙 가능한 식부부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밀식 파종한 육묘를 기존 이앙기로 이앙작업을 할 경우, 1개 소당 이앙되는 양이 많아져, 벼 생육을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앙 작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이앙기식부부의 로터케이스, 이앙암을 분석하여 밀식파종 묘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부부의 로터케이스, 이앙암을 3D 스캐너를 활용하여 스캐닝 작업을 한 뒤 역설계를 통하여 도면화 작업을 실시하여 식부부 궤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다물체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인 Recurdyn(V8R4, Functionbay)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식부부에 위치하는 이앙집게의 형상 및 로터케이스의 기어 배열에 따라 식부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밀식파종 묘에 적합한 궤적 분석 및 현장 필드 실험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paddy rice water demand depending on transplant period and ponding depth (이앙기 및 담수심 변화에 따른 논벼 수요량 분석)

  • Cho, Gun Ho;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8-4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논벼 이앙일수와 담수심의 변화가 논벼 수요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한국농어촌공사 관할지구인 금사, 중흥, 창평, 구성 지구를 대상으로 하여 2013년부터 2019년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이앙일수는 기존의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에서 제시한 일수 20일과 전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소속 농업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이앙기간을 적용하였다. 또한 담수심은 최소 0mm, 최대 100mm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이앙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앙용수량이 증가하고, 궁극적으로 필지용수량과 논벼 수요량을 증가시켰다. 기존 설계기준인 20일의 이앙일수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이앙일수를 최대 51일 적용할 경우 필지용수량은 평균적으로 16.6 %, 논벼 수요량은 평균적으로 12.9 % 증가를 보였다. 이앙시기를 다르게 한 논벼 수요량과 현장의 농업용수 공급량을 비교 할 경우, 51일의 이앙기간을 적용한 논벼 수요량이 공급량과 가장 적은 차이를 나타내어, 이앙기간 51일이 실제 현장 여건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담수심과 논벼 수요량과의 관계에서는 최소 담수심 증가는 수요량의 증가를 야기하였으며, 최대 담수심 증가는 수요량의 감소를 야기하였다. 통상적으로 필지에서 최소 담수심일 때 수요량이 발생하고, 최대 담수심일 때 유출량이 발생하는데, 논벼 생육기간동안 일별 담수심의 변화가 최소 담수심에 도달하여 수요량이 발생하는 일수가 최대 담수심에 도달하여 유출량이 발생하는 일수 보다 많기 때문에 발생된 결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논벼 생육기간 수요량이 크게 산정된 연도 일수록, 최소 담수심 변화가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앙일수의 경우 농업현장을 기준으로 볼 때 기존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논벼 수요량은 실제로 소모되는 필요수량보다 작게 산정되는 것으로 파악되어 이앙일수를 현장여건에 부합되게 더 연장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담수심의 경우 기존의 설계기준보다 최소 담수심은 낮게, 최대 담수심은 높게 적용하는 것이 유효우량 산정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논벼 수요량 산정 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이앙시기, 담수심 조정 외에도 수로손실 및 침투인자 등에 대한 현장여건 반영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Yield and Chemical Component of Grain a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s in the Colored Rice Varieties (이앙시기에 따른 유색미 품종의 수량 및 성분 변화)

  • 이순계;김현호;이재철;신철우;김창영;변종영;이종철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2 no.2
    • /
    • pp.145-151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influence of transplanting dates on yield and chemical component of colored rice varieties at Taejon area in middle part in Korea. The late transplanting led to late heading in which the latest transplanting on June 18 headed on August 9 in Heugiinjubyeo and on August 24 in Heugnambyeo, respectively, which in the safe latest heading date at Taejon area. The highest yield was attained by middle of June transplanting in Heugjinjubyeo, while that for the Heugnambyeo was transplanting from end of May to beginning of June. The relative optical density(ROD) of the pigment measured at 530 nm was higher in Heugjinjubyeo than that of Heugnambyeo. The late transplanting increased the ROD in Heugnambyeo, while later than May 28 decreased the ROD in Heugjinjubyeo. There was a varietal difference in cation contents such as K, Ca, Mg and Fe. The Contents of the former three was not influenced by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while the Fe content was increased by early transplanting.

  • PDF

Variation of Panicle Differentiation Stage by Leaf Growth According to Rice Cultivars and Transplanting Time (품종과 이앙시기별 엽 생장속도에 의한 벼의 유수분화시기 변화)

  • Ku, Bon-Il;Kang, Shin-Ku;Sang, Wan-Gyu;Choi, Min-Kyu;Lee, Kyu-Jone;Park, Hong-Kyu;Kim, Young-Doo;Kim, Bo-Kyong;Lee, Jeom-H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8 no.4
    • /
    • pp.353-361
    • /
    • 2013
  • The time of panicle initiation change by transplanting date, and this change is affected by heading ecotype and seedling age. So we assessed the variations of panicle initiation,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heading date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s, rice cultivars and seedling ages. And we compared the growth durations and meterological factors between chief growth stages. The difference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date to spikelet differentiation by seedling age were 1~3 days in all transplanting of Unkwang, but it increased to 4 days in Hwayeong transplanting on May 1 and June 30, and Nampyeong transplanting on June 30. The growth durations from panicle initiation to heading of Unkwang and Hwayeong increased until transplanting time by May 31,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growth durations of Nampyeong increased in transplanting on May 16 and May 31. In each transplanting, mean temperature of 30 days after heading was highest in early transplanting, but sunshine hours in the period were highest in transplanting on June 30 in Unkwang, in transplanting on June 15 in Hwayeong, and higher in transplanting on May 31 and June 15 in Nampyeong. The growth duration between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heading showed variation according to rice cultivars and transplanting date, Those were 22~26 days in Unkwang, 21~27 days in Hwayeong and 21~28 days in Nampyeong.

Effects of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and Agroclimatic Zones on Quality of Brown Rice and Yield of a Pigmented Rice Variety 'Josaengheugchal' (이앙시기와 농업기후지대의 차이가 조생흑찰의 현미 품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Lee, Yun-Sang;Lee, Joung-Kwan;Lee, Sang-Young;Yun, Tae;Woo, Sun-H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3 no.spc
    • /
    • pp.9-14
    • /
    • 200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various transplanting dates and agroclimatic zones on quality of brown rice and yield of a pigmented rice variety ‘Josaengheugchal’. The black density of brown rice in Jecheon (central inland region) showed a slight difference among the transplanting dates, but in Cheongwon (western sobaek inland region) that had increased at the transplanting dates of June 10th to 20th. cyanidin 3-glucoside (C3G) content at the same transplanting date in Jecheon was higher than Cheongwon, and the overall C3G content was increased at the later transplanting dates.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estimated by brown rice yields and C3G content was May 11th (491 kg/10a) in Jecheon and June 16th (468 kg/10a) in Cheongwon.

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Considering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Gyehwado (간척지 고품질 품종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구명)

  • Kim, Young-Doo;Baek, Man-Gee;Lee, Jun-Hee;Ko, Jong-Cheol;Choi, Min-Kyu;Park, Hong-Kyu;Choi, Won-Young;Kim, Bo-Kyeong;Kim, Chung-Ko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4 no.4
    • /
    • pp.339-345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roper transplanting time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from 2006 to 2007. The rice cultivars tested were Unkwangbyeo(Early maturing one), Gopumbyeo(Medium maturing one) and Samgwangbyeo, Sindongjinbyeo, Cheonghobyeo, Hopyeongbyeo(Mid-late maturing on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No. of spikelet per the unit area was lower at transplanting on May 20 and wasn't different in those of the other transplanting time. The ripened grain rate was high transplanted May 20 in Unkwangbyeo, but high transplanted from June 1 to June 20 in Mid-late maturing Cultivar. The yield of head rice was high transplanted June 10 and June 20 in Unkwangbyeo, Sindongjinbyeo, Hopyeongbyeo, but June 1 and June 20 in Samgwangbyeo, Cheonghobyeo. The protein content was high transplanted early in Unkwangbyeo, Samgwangbyeo, and late in Gopumbyeo, Sindongjinbyeo, Cheonghobyeo, but wasn't differ among transplanting time in Hopyeongbyeo. Considering the rice growth, the rice good quality, the yield of milled and head rice, the proper transplanting time was June 10 in Unkwangbyeo, Sindongjinbyeo, whereas was June 10 in Samgwangbyeo, Cheonghobyeo, Hopyeongbyeo.

Utilization of Growing Degree Days as an Index of Growth Duration of Rice Varieties (Growing Degree Days를 이용한 수도품종의 생육기간 측정방법과 이용)

  • 이석순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8 no.2
    • /
    • pp.173-183
    • /
    • 1983
  • To evaluate growing degree days(GDD) as an index of growth duration of rice plants, 30 days old seedlings of 16 japonica and 14 indica/japonica varieties were transplanted six times from May 10 at the 10-day intervals at Gyeongsan in 1982. The number of days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decreased as transplanting dates delayed in all japonica varietie and 4 indica/japonica varieties but that of 10 indica/japonica varieties decreased up to June 9 or June 19 transplantings and then it levelled off or increased with further delay of transplanting. However, GDD requirement was similar among transplanting dates at appropriate base temperatures; GDD could be better than calendar day system to classify maturity of varieties especially grown in a wide range of climatic conditions. Required GDD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of all indica/japonica and early japonica varieties showened a smaller coefficient of variation (CV) compared to longer season japonica varieties. Among GDD methods, an accumulation of daily Max + Min temp./2 -$l0^{\circ}C$ showed the smallest CV for the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but for ripening period GDD calculated with adjusted maximum temperature when it was higher than $30^{\circ}C$ showed the best results. Heading date did not affect required GDD for maturity of japonica varieties, but in indica/japonica varieties GDD decreased as heading date delayed; at late transplantings ripening period of indica/japonica varieties was less extended compared to japonica varietes due to a decrease in grain weight.

  • PDF

Economic Analysis of Rice Transplanting Method using Pot Raised Seedling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친환경 쌀 생산을 위한 포트육묘 이앙의 경제성 분석)

  • Shin, Yong-Kyu;Choi, In-Young;Kwon, Young-Rip;Moon, Young-Hun;Choi, Dong-Chil;Lee, Wang-Hy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7 no.4
    • /
    • pp.456-462
    • /
    • 2012
  • In the new changing scenario, the goal of agriculture is shifting from traditional to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we analyzed economic efficiency of two methods of rice cultivation i.e. new cultural method and conventional method, at farmers' fields. In the new cultural method, cost of materials and machines (rice-transplanting and sowing machine) was found 245%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Depreciation of cost and working hours were also higher in the new cultural method by 1.9 and 1.1 time, respectively. However, cost of seeds and seedbed soil were 44.0% and 49.2% lower and total material cost was 4.4% low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the new cultural method, overall working cost of nursery raising and transplanting per 10a was 229.8%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However, in spite of high input cost, yield of rice in new cultural method was higher by 6.7%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ur results showed that new cultural method wa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except the input cost. If government provide 80% subsidy for machine cost then its input cost will be reduced by 45.4%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Estimation of the Water Requirement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영농방식변화에 따른 논용수수요량의 산정 -직파재배, 이앙방법 중심-)

  • Kim Jin Taek;Joo Uk Jong;Park Ki Wook;Lee J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45-1449
    • /
    • 2005
  • 벼재배에 있어서 기계이앙은 1970년 이후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90년대에 이르러서는 노동력과 농업용수 절감을 위하여 직파재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영농방식 변화가 농업용수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영농상황과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간의 차이를 조사 분석하고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을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 및 실제 현장에서의 영농상황을 조사하고 수원공으로부터 관개구역으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량을 측정하였으며 3개지구를 대상으로 필요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이앙재배에 있어서 기계화의 보급과 비닐하우스 등의 설치에 의하여 이앙기간과 이앙시기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과거에 비하여 이앙시기는 앞당겨지고 이앙기간은 짧아졌는데 이러한 변화는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과거와 비교하여 농업용수 수요량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변화는 대부분 4월, 5월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하여 용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데 본답기 이전에 용수수요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직파재배의 면적은 1997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다 잡초성 벼의 번성, 연작의 피해 등으로 인하여 재배면적이 줄어든 상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