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송 회전 속도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Washing Machine for Styrofoam Boards of Leaf Vegetables (엽채류 정식판세척기 개발)

  • 장유섭;김동억;이동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30-235
    • /
    • 2002
  • 엽채류 양액재배용 정식판으로 사용되는 발포스틸로폼을 작기가 끝난 후에 세척할 수 있는 브러시와 물분사방식의 평면 세척기를 제작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정식판을 세척기내로 이송하는 속도에 따라 세칙정도를 측정한 결과, 이송단수 1단 0.15m/s에서 진행저하율이 낮았으며 2단이상에서 진행저하율이 35~40%로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대의 명도값은 각각 79~80으로 세척전보다 42~44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횡브러시 회전속도별 정식판의 이송속도와 진행저하율은 1010rpm에서 17%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때의 세척정도는 세척전후 명도차가 44.1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다. 물공급량별 정식판의 이송속도와 진행저하율은 물공급량 80$\ell$/min일 때 11.6%로 가장 적었으며, 세척전후의 명도차도 44.4로 크게 나타났다. 라. 정식판의 세척전후 명도는 대체로 세척전 명도값이 34~40이던 것이 세척후 명도값이 59~81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정식판 이송속도 0.17m/s, 횡브러시 회전속도 1010rpm, 물분무량 80$\ell$/mim으로 성능 시험한 결과, 300평용을 세척하는데 2.8시간으로 인력보다 20배 능률적으로 나타나 세척기의 사용이 노동력 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bottom shear stress in an annular flume (환형수조의 내부 흐름특성 및 바닥전단응력 산정에 대한 연구)

  • Yang, Su-Hyun;Im, Ik-Tae;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6-176
    • /
    • 2011
  • 환형수조는 점착성 퇴적물의 이송특성 연구를 위해 가장 선호되는 실험 장치로 알려져 있다. 과거 많은 연구자들은 퇴적물의 이송특성, 특히 침식/퇴적 특성 조사를 위해 주로 수로를 이용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최초의 실험적 연구들은 주로 직선수조에서 수행되었다. 그러나 입자간의 응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착성 퇴적물의 경우에, 직선수조 끝단에서의 자유낙하 및 재순환 펌프의 날개에 의해 응집된 토사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그 타당성이 의문시 되어 왔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환형수조가 고안되었다. 환형수조는 수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상부링의 마찰력에 의해 흐름이 생성되기 때문에 시간의 제약 없이 흐름조건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환형수조는 원주유속의 속도차이 및 원심력으로 인한 2차 순환류를 형성시켜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에서의 바닥전단응력을 불균일하게 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2차 순환류와 바닥전단응력의 불균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환형수조의 몸체를 상부링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직접 회전시키는 방법이 채택되어져 왔다. 한편, 환형수조의 상부링과 몸체를 서로 역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는 양방향 회전(counter-rotation)의 적용을 위해서는 2차 순환류가 최소가 되며 바닥전단응력이 균일해지는 최적 회전속도비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 사항이다. 이를 위하여, 상부링과 몸체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수조내부의 흐름특성 및 평균바닥전단응력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전북대에 설치된 환형수조의 상부링과 몸체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수조내부에서의 흐름특성 및 바닥전단응력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또한, 이를 기초로, 환형수조의 최적 회전속도비 산출을 위한 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추후 환형수조를 이용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퇴적 등과 같은 이송특성 연구시, 퇴적물에 작용하는 흐름조건의 정밀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울진 3,4호기 핵연료취급계통의 효율성 분석

  • 장병일;신태명;김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614-619
    • /
    • 1996
  • 핵연료취급계통 설계를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기준 중 효율성 관점에서 울진 3,4호기의 핵연료취급계통을 분석하여 노심을 재장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기기설계와 그 운영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핵연료재장전기와 사용후연료취급기는 이송기기의 핵연료삽입구에서 인양기의 속도개선이 요구되고, 이송기기는 핵연료재장전기 및 사용후연료취급기와의 연동장치 변경, 이송속도 및 직립기 회전속도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The Welding Surfac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in Friction Stir Welding for 5456-H116 Alloy (마찰교반용접에 의한 5456-H116 합금의 용접 형상과 기계적 특성)

  • Kim, Seong-Jong;Han, Min-Su;Jang, Seok-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3
    • /
    • pp.273-278
    • /
    • 2012
  • The use of Al alloys instead of fiber-reinforced plastic(FRP) in ship construction has increased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Al-alloy ships, including high speed, increased load capacity, and ease of recycling.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s of probe diameter on the optimum friction stir welding conditions of 5456-H116 alloy for leisure ship, measured by a tensile test. In friction stir welding using a probe diameter of 5 mm under various travel and rotation speed conditions, the best performance was achieved with a travel speed of 61 mm/min. Using a probe diameter of 6 mm, rotation speeds of 170-210 rpm, and a travel speed of 15 mm/min produced a rough surface and voids because of insufficient heat input produced by the low rotation speed. At 500-800 rpm, chips were observed, although there were no voids, and the weld surface was excellent. However, at 1100-2500 rpm, many chips were produced due to excessive heat input. Heat effects were very evident on the bottom. For a travel speed of 15 mm/min, heat input caused by friction increased as the rotation speed increas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were degraded by accelerated softening due to increasing heat input.

Development of An Onion Peeler (II) - Root Cutting Equipment - (양파박피기 개발 (II) - 양파뿌리 부 절단장치 -)

  • 민영봉;김성태;김정호;최선웅;유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73-578
    • /
    • 2002
  • 양파박피기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공정상 필요한 뿌리절단장치에 관하여 시험 분석하였다. 뿌리를 절단, 제거하는 데 적합한 칼날의 종류, 회전속도와 이송속도, 및 소요동력 등 제 특성을 구명하여 적절한 회전칼날을 제작 사용함으로써 능률 높은 양파박피기를 개발하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날형, 축날형, 원추형, 및 원통형 등 직경 30 mm의 칼날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던 바, 양파의 뿌리절단에는 구부린 칼날로 파내기를 하고 수직칼날로 금긋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양날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양파의 뿌리부가 100% 절단이 되고 소요동력이 낮으면서 절단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최적의 작동조건은 칼날의 무부하 회전수 630 rpm, 이송속도 0.08 m/s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때의 최대토크는 5.25 kg·cm이었으며 최대소요동력은 33W로 나타났다.

  • PDF

Simulation of Soil Open Auger for Covering Operation of Seed (종자복토작업(種子覆土作業)을 위(爲)한 Open Auger의 Simulation)

  • Jo, Jong Seung;Lee, Sang W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12 no.1
    • /
    • pp.108-117
    • /
    • 1985
  • The process of conveying of soil with the open auger to cover the seed completly with less power was reviewed by theoretical analysis. The power efficiency, the reasonable range of RPM of the open auger and the velocity of soil conveying to the direction of the shaft are examined to establish the extent of characteristics of the open auger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alysis and application of similitude are as follows: 1.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power efficiency by the following equation; ${\eta}_p={\frac{P_n}{P_g}}=({\frac{{\omega}_s}{{\omega}_a}}){\cdot}tan{\gamma}{\frac{mg}{(F_mcos{\alpha}+F_scos{\gamma})}}$ 2. The reasonable range of the revolutions per minute of the open auger was presented as follow to cover completely with less power ; $$\frac{4d(L_a-L_i){\cdot}V_w}{{\pi}(D_o^2-D_s^2){\cdot}r{\cdot}{\frac{{\omega}_s}{{\omega}_a}}{\cdot}tan{\gamma}}{{\leq_-}}{\omega}_a{{\leq_-}}({\frac{{\omega}_a}{{\omega}_s}}){\sqrt{\frac{g}{r}}}$$ 3. The velocity of soil conveying to the direction of the auger shaft may be calculated by the equation; $V_h=({\frac{{\omega}_s}{{\omega}_s}})V_a{\cdot}tan{\gamma}$ 4. The factor of RPM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on the power efficiency.

  • PDF

Design by improvement of main parts of garlic planter (7조식 직립마늘파종기 배종율 개선 설계 및 제작)

  • Lee, Choong Ho;Ha, Jong Woo;Jang, Ji Un;Lee, In Beom;Kim, Hyun G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6-86
    • /
    • 2017
  • 마늘파종기는 파종기구동부와 파종후 파종홀의 복토역할을 하는 파종기롤러, 지면과의 마찰을 통해 바퀴의 회전토크가 발생하며 발생된 토크는 파종기 내부 동력으로 전달되어 전체 파종시스템(배종, 호퍼캠, 파종부)을 동작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파종바퀴, 마늘종구를 한알씩 집어올려 중간이송컵으로 이송하는 자세교정컵이 포함된 배종부와 자세교정컵에서 낙하된 마늘종구를 땅속으로 파종하는 파종장치로 구성된다. 배종율 95%, 2립 배종률 5%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경우 세계적으로도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컨셉모델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여 시제품개발 전 기구해석과 구조해석 등을 위한 기본설계를 수행하였다. 배종율 95% 이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현장경험의 의한 설계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및 분석 개발이 필요한데, 프레임은 고정밀 마늘종구 배종부 장착을 위한 기본 구조물로써 작동시 동력을 얻기 위한 바퀴와 연계가 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호퍼는 배종 수행을 위해 마늘을 저장해 두는 통으로써 배종부와 연결된다. 배종부의 배종판이 회전함에 따라서 배종판의 홈이 호퍼 내로 들어갔다 나오면서 마늘을 집게되며, 동력 전달부는 배종판을 회전시켜주고, 회전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파종부는 배종부에서 중간컵을 통해 하나씩 공급해준 마늘을 땅에 심는 부분으로서. 프레임의 바퀴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고 설계하였다. 배종판에서 중간컵으로 이송된 마늘을 파종부의 파종컵에 받아 회전하면서 땅속에 파종컵이 묻히면 파종컵이 열리면서 땅속에 마늘을 심는 원리이다. 조간조정은 7조식의 경우 초기설치시 고정되도록 설계되었으며 농촌진흥청 기계화 표준재배안에 따라 의성마늘 기준 $14{\times}14cm$(조간${\times}$주간)를 기준으로 개발하였다. 조간조정은 기계가 설치되면 조정하기 어려우므로 14cm로 설계하였으며, 주간조정은 원형배종장치의 구동기어부의 속도비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기어장치를 설계하였다. 주간조정은 13에서 18cm의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간격조절이 가능함. 마늘은 그 크기가 다르고, 형상도 다르기 때문에 종자에 따른 개별적인 파종기술들이 개발되어야하기 때문에 개발 기간이 오래 걸리고, 수익에 비하여 개발비가 과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인데 축적된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한 파종기 분석 기술을 확보할 경우 다른 파종기의 연구 개발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생육측정 실험과 동역학 해석 툴 RecurDyn을 통해 파종기의 기구학적 분석을 통한 설계반영 인자를 도출할 계획이다.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Prototype of 25 kW Small Combine for Harvesting Miscellaneous Cereal Crops (잡곡 수확용 25 kW급 소형 콤바인 시작기 설계 제작)

  • Lee, Beom Seob;Ji, Keum Bae;Kim, Sung Chan;Yoo, Soo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8-78
    • /
    • 2017
  • 현재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잡곡류 수확기는 보행형 예취기, 탈곡기 위주의 저능률 기계화 수준으로 고능률의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잡곡류가 소규모 경작지의 영세농가 위주로 재배되어 저가격의 소형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규모 밭의 두류 및 잡곡 수확작업에 적응성이 뛰어나며, 농기계 임대사업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여성과 고령자도 쉽게 운전할 수 있어 수확작업의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저가격의 25kW급 자주식 소형 콤바인을 개발하고자 시작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시작기의 주요부로 엔진은 25kW/2600rpm 3기통 디젤엔진을 탑재하였으며, 동력전달부는 주변속 3단, 부변속 2단의 선택맞물림 기어식의 변속장치를 이용하였다. 주행부는 궤도형으로 조향클러치와 습식 원판식 제동장치를 채용하였다. 전처리부는 선단거리 1700 mm의 디바이더와 상하좌우 수동 조절되는 회전속도 약 42 rpm의 정오각형 릴로 구성하였으며, 전처리부의 최대 승강높이는 740 mm이었다. 작물이송부는 돌기부착 오거와 체인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탈곡부는 단동형 축류식의 직경 440 mm, 길이 1180 mm의 급동과 높이 65 mm, 지름 10 mm의 46개 강봉형 급치, 격자형 수망으로 구성하였으며, 회전속도는 약 325 rpm으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선별 정선부는 요동 송풍선별식으로 곡립판, 볏짚체, 곡립체, 송풍팬으로 구성하였고 송풍팬의 회전속도는 약 850 rpm, 요동진동수는 약 5.8 Hz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곡물이송부와 재처리부는 수평이송 외경 103 mm, 수직이송 외경 110 mm의 피치가 모두 82 mm인 스크류컨베이어를 이용하였으며, 곡물탱크는 용량이 250 로 2개의 배출구로 곡물을 포대에 담도록 하였다. 그 외 시작기는 운전조작부, 유압장치부, 전기장치부 등을 갖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전체적인 기체의 크기는 길이${\times}$${\times}$높이 $3935{\times}1900{\times}2440mm$이었으며, 기체 중량은 약 1753 kg이었다. 콩 대상 기초 성능시험 결과 시작기의 작업속도는 약 0.5 m/s, 작업능률은 약 11 a/h로 나타났다.

  • PDF

Monitoring Machining Conditions by Analyzing Cutting-Force Vibration (절삭력 진동 분석에 의한 가공조건 모니터링)

  • Piao, Chunguang;Kim, Ju Wan;Kim, Jin Oh;Shin, Yo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9
    • /
    • pp.839-849
    • /
    • 2015
  • This paper deals with an experimental technique for monitoring machining conditions by analyzing cutting-force vibration measured at a milling machine. This technique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cutting-force vibrations with the feed rate and cutting depth as reported earlier. The measurement system consists of dynamic force transducers and a signal amplifier. The analysis system includes an oscilloscope and a computer with a LabVIEW program.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various feed rates and cutting depths, while the rotating speed was kept constant. The magnitude of the cutting force vibration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utting edges multiplied by the frequency of rotation was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machining conditions. When one condition of machining is known, another condition can b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utting-force vibration.

Roughness Measurement of Hole Processing Surface for Mold Steel Using White Light Interferometer (백색광간섭계를 이용한 금형용 강재 구멍가공면의 조도 측정)

  • Lee, Seung-Chul;Kim, Ky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3 no.1
    • /
    • pp.73-79
    • /
    • 2013
  • In this study, NIMAX material has been process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measuring instrument and white light interferometer. they were tested to roundness and surface roughness and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a cutting characteristic, it indicated that F4 showed a lower result than 2F showed due to the high hardness of the material and showed a good result when spindle rotation speed and tool feed were low. As for the measurement of roundness through 3-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it indicated that 4F showed a good result like the condition of cutting component and that roundness showed a good result when spindle rotation speed of 1,700 rpm and tool feed speed of 85 mm/min were applied. As for the surface roughness of processing surface, Surface roughness showed better 4F than 2F and conditions of spindle rotation speed 1,700 rpm, tool feed rate 55 mm/min showed good results in the Ra $0.4025{\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