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송 속도

Search Result 50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s of Cutting Speed and Feed Rate on Axial Shape in Side Walls Generated by Flat End-milling Process (평엔드밀링 공정에서 절삭속도 및 이송속도가 측벽의 축방향 형상에 미치는 영향)

  • Kim, Ka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5
    • /
    • pp.391-399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s of the cutting speed and feed rate on the axial shape of flat end-milled down cut side walls.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cutting speed, tool diameter, and feed per tooth as variables, and the thrust force and axial shape were measured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a smaller feed per tooth,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feed rate by the cutting speed, results in a higher axial shape accuracy. In addition, the axial shape can be simplified to a form in which two straight lines having different slopes meet at a singular point.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shape accuracy could easily be estimated during the operation and improved by adjusting the feed per tooth.

U$_3$Si 분말제조에서 chip 가공조건이 분말의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 이돈배;박희대;장세정;조해동;이종탁;김창규;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609-615
    • /
    • 1995
  • Chip machining에 의한 U$_3$Si 분말제조시 절삭가공조건이 분말 입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U$_3$Si ingot를 선반에서 초경공구를 사용하여 절삭속도 및 이송속도를 변화시키면서 chip을 가공하였고, 가공된 chip의 형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칩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모든 절삭조건에서 톱니모양의 칩(saw toothed chip)이 형성되었으며, 일정한 절삭속도에서 공구의 이송속도를 변화시켰을 때 이송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칩 두께의 증가와 함께 chip segment의 폭도 증가하여 chip segment 의 크기가 뚜렷이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chip segment의 크기는 절삭속도 보다는 공구의 이송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분말의 입도 분포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Washing Machine for Styrofoam Boards of Leaf Vegetables (엽채류 정식판세척기 개발)

  • 장유섭;김동억;이동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30-235
    • /
    • 2002
  • 엽채류 양액재배용 정식판으로 사용되는 발포스틸로폼을 작기가 끝난 후에 세척할 수 있는 브러시와 물분사방식의 평면 세척기를 제작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정식판을 세척기내로 이송하는 속도에 따라 세칙정도를 측정한 결과, 이송단수 1단 0.15m/s에서 진행저하율이 낮았으며 2단이상에서 진행저하율이 35~40%로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대의 명도값은 각각 79~80으로 세척전보다 42~44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횡브러시 회전속도별 정식판의 이송속도와 진행저하율은 1010rpm에서 17%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때의 세척정도는 세척전후 명도차가 44.1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다. 물공급량별 정식판의 이송속도와 진행저하율은 물공급량 80$\ell$/min일 때 11.6%로 가장 적었으며, 세척전후의 명도차도 44.4로 크게 나타났다. 라. 정식판의 세척전후 명도는 대체로 세척전 명도값이 34~40이던 것이 세척후 명도값이 59~81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정식판 이송속도 0.17m/s, 횡브러시 회전속도 1010rpm, 물분무량 80$\ell$/mim으로 성능 시험한 결과, 300평용을 세척하는데 2.8시간으로 인력보다 20배 능률적으로 나타나 세척기의 사용이 노동력 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기부상 웨이퍼 낱장이송 시스템의 부상 및 이송특성

  • 문인호;조상준;김동권;김종진;황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4.05a
    • /
    • pp.72-84
    • /
    • 2004
  • 반도체 집적도가 높아지고 웨이퍼가 대구경화 됨에 따라 새로운 이송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송장비의 새로운 개념인 공기부상 방식의 낱장이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부상 노즐의 크기에 따른 부상 높이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동일한 부상용 유량을 사용할 경우 0.5 mm 보다 0.8 mm 노즐이 부상 높이가 더 높고 에너지 절약적인 측면에서 유리함을 밝혔다. 또한 웨이퍼 이송용 추진 노즐의 배치에 따른 웨이퍼 이송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동일 유량에서 추진속도가 훨씬 증가된 형상인 Type B(노즐 집중형)를 결정할 수 있었으며, 제조장비와 이송장비를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에서의 웨이퍼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16초 이내에 매우 안정된 공기부상 방식의 웨이퍼 낱장이송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었다.

  • PDF

Design of Fuzzy Logic Controllers for High-Speed and High-Accuracy CNC machines (고정밀 고속가공을 위한 CNC머신의 퍼지 제어기 설계)

  • Cho, Jung-Hwan;Lee, Seung-Soo;Jeon, Gi-J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c
    • /
    • pp.50-53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CNC 머시닝 센터의 두 서보축을 대상으로 가공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최고의 이송속도로 가공 속도를 증가시키는 퍼지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오차 모델링 방식이 아닌 비선형 궤적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최근의 윤곽오차 모델을 사용한다. 퍼지 소속함수의 입력 변수가 허용 오차에 따라 스케링되고 이송속도와 윤곽오차와의 관계를 퍼지제어룰에 기초하여 허용 오차안에서 매 시간마다 보다 빠른 이송속도를 찾는다. 모의 실험 결과들이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고정된 이송속도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한 윤곽오차를 보이면서도 빠른 가공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Transportation of KSLV-I FM unit 2 VEB Assembly (KSLV-I 발사2호기 VEB 조합체 이송)

  • Choi, Sang-Hyeon;Park, Jong-Chan;Won, You-Jin;Lee, Soo-Jin;Chung, Eui-Seu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1
    • /
    • pp.20-29
    • /
    • 2011
  • There are a lo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and pneumatic parts sensitive to vibration and shock in the VEB assembly which KARI directly transports among the KSLV-I upper stage transportation items. So, the special attention in the transportation is required. The transportation container with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environment was made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The transportation tests using the engineering model were performed 4 time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to conform the transportation conditions(transportation velocity, route, etc.). In this document, the previous transportation history of the VEB assembly, the overview and the result of the KSLV-I FM unit 2 VEB assembly transportation are described.

울진 3,4호기 핵연료취급계통의 효율성 분석

  • 장병일;신태명;김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614-619
    • /
    • 1996
  • 핵연료취급계통 설계를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기준 중 효율성 관점에서 울진 3,4호기의 핵연료취급계통을 분석하여 노심을 재장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기기설계와 그 운영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핵연료재장전기와 사용후연료취급기는 이송기기의 핵연료삽입구에서 인양기의 속도개선이 요구되고, 이송기기는 핵연료재장전기 및 사용후연료취급기와의 연동장치 변경, 이송속도 및 직립기 회전속도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New Treatment of Source Terms in Upwind Scheme (상류이송기법의 생성항 처리를 위한 새로운 기법의 개발)

  • Kim, Won;Han, Kun Yeun;Woo, Hyo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371-375
    • /
    • 2004
  • 상류이송기법은 불연속 흐름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댐붕괴류, 천이류 등의 해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류이송기법은 생성항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불균일한 단면을 가진 자연하천에는 거의 적용되지 못하고 단순화된 하도에만 주로 적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항의 차분화를 위해서 정규화된 Jacobian을 사용하는 상류이송형 생성항 처리기법을 새로이 개발하였다. 두 종류의 상류이송기법에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생성항 처리기법이 기존 생성항 처리기법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인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단순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다른 상류이송기법애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Protecting Wall for Transferring Pipe of Waste Using Cast Basalt Tube (용융주조 현무암 튜브를 이용한 생활폐기물 이송관로의 보호벽에 관한 연구)

  • Wang, Jee-Seok;Kim, Jong-Do;Yoon, Hee-Jo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6
    • /
    • pp.816-824
    • /
    • 2010
  • The forces applying to an object in the transferring pipe of waste are analyzed and the equation of motion is established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the equation of motion becomes the 1st order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 Using its general solution, the velocity of the object in the transferring pipe of waste can be expressed in the explicit form. Noting that the velocity of object is impact velocity to the elbow or curved part of the transferring pipe of waste, the kinetic energy of the object can be calculated and the necessary impact strength of inner wall is obtained. The velocity of object is also calculated and presented in the graphic forms with the condition of air velocity 30m/sec. The impact test of cast basalt tube is carried out by the free fall of a weight and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strength of the cast basalt tube is sufficient to apply to protecting inner wall of the transferring pipe of w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