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송속도 제어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고정밀 고속가공을 위한 CNC머신의 퍼지 제어기 설계 (Design of Fuzzy Logic Controllers for High-Speed and High-Accuracy CNC machines)

  • 조정환;이승수;전기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0-53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CNC 머시닝 센터의 두 서보축을 대상으로 가공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최고의 이송속도로 가공 속도를 증가시키는 퍼지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오차 모델링 방식이 아닌 비선형 궤적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최근의 윤곽오차 모델을 사용한다. 퍼지 소속함수의 입력 변수가 허용 오차에 따라 스케링되고 이송속도와 윤곽오차와의 관계를 퍼지제어룰에 기초하여 허용 오차안에서 매 시간마다 보다 빠른 이송속도를 찾는다. 모의 실험 결과들이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고정된 이송속도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한 윤곽오차를 보이면서도 빠른 가공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고정밀 고속가공을 위한 신경망 이송속도 적응제어 (Adaptive Feedrate Neuro-Control for High Precision and High Speed Machining)

  • 이승수;하수영;전기준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9호
    • /
    • pp.35-42
    • /
    • 1998
  • CNC 가공에 있어서 가공정밀도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고정밀 고속가공을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신경망을 이용한 이송속도 신경망 적응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이 제어기는 신경망을 이용한 모사기와 이 신경망의 인버젼 알고리듬을 통한 반복학습 제어기로 구성된다. 신경망 모사기는 CNC 시스템의 비선형성과 불확실성으로 인한 이송속도와 윤곽오차 사이의 비선형 특성을 모사하고, 신경망 인버젼 방법과 목적 함수의 정의를 통해 반복학습 제어기법으로 허용 오차 내에서 최적의 이송속도를 실시간으로 구해 냄으로써 가공 성능을 향상시킨다.제안한 방법은 원, 코너, 인볼루트 윤곽 가공의 모의 실험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평가되었다.

  • PDF

주축전류신호를 이용한 절삭력의 추정과 이송속도 적응제어 (Cutting Force Estimation and Feedrate Adaptive Control Using Spindle Motor Current)

  • 김기대;이성일;권원태;주종남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0-156
    • /
    • 1996
  • Static variations of cutting forces are estimated using spindle motor current. Static sensitivity of spindle motor current is higher than feed motor current.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utting force and RMS value of the spindle motor current is obtained. Using cutting force estimation, tool overload in milling process can be well detected, and cutting force is regulated at a constant level by feedrate adaptive control.

  • PDF

유연 볼 엔드밀에 의한 가공오차의 Off-line 제어 (Off-line Control of Machining Error in a Flexible Ball End Milling System)

  • 심충건;양민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68-48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연 볼 엔드밀의 절삭력 모델을 바탕으로 자유 곡면의 정삭 가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대 또는 과소 절삭을 방지하면서 그 가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볼 엔드밀의 이송 속도 결정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유 곡면의 가공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구의 처짐에 따른 가공오차에 대하여 볼 엔드밀 공구의 처 짐벡터와 공작물의 공구 접촉점에서의 법선벡터로 표현되는 가공오차(machining error ) 예측 모델식을 유도하였다. 본 가공오차 예측 모델식은 다시 절삭날당 가지는 이 송량의 함수로 전개되어 그 곡면의 주어진 가공 공차(machining tolerance)를 만족시 키는 이송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밀링 공정에서 퍼지제어와 전류신호를 이용한 자동이송 연구 (Research on the auto feedrate control of milling processes by the fuzzy control of motor currents)

  • 김도현;전도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08-713
    • /
    • 2000
  • A research on the AFC(Auto Feedrate Control) by a fuzzy controller using a tool dynamometer and motor currents was conducted. For simulations, cutting dynamics of end-milling process was modeled by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ool and work-piece. The fuzzy logic controller was employed to track the desired cutting force and showed good performance in simulations and several experiments. The spindle motor currents was modeled to estimate cutting force and successfully used for the AFC.

  • PDF

소프트웨어 펄스보간기의 성능비교에 관한 연구

  • 안중환;임현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1-215
    • /
    • 1992
  • 보간기(Interpolator)는 NC 공작기계에서 공구의 궤적 및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보간기는 보간계산 과 펄스의 발생을 전자회로로서 행하는 하드웨어 보간기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보간기로 나눌 수 있는데 하드웨어 보간기는 고속보간이 가능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CNC 화 뒤로는 그 의존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더 광범위한 기준펄스 보간기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DDA, SPD(Smooth Pulse Distribution), SFG(Saita Function Generator) 방식의 직선, 원호, 타원보간 성능을 알고리즘의 처리속도, 경로오차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절삭력 추종을 위한 이송속도 최적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edrate Optimization System for Cutting Force Regulation)

  • 김성진;정영훈;조동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4-222
    • /
    • 2003
  • Studies on the optimization of machining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approaches: off-line feedrate scheduling and adaptive control. Each approach possesses its respective strong and weak points compared to each other. That is, each system can be complementary to the other. In this regard, a combined system, which is a feedrate control system fur cutting force optimization, was proposed in this paper to make the best of each approac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ould overcome the weak points of the off-line feedrate scheduling system and the adaptive control system. In addition, from the figu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ff-line feedrate scheduling technique can improve the machining quality and can fulfill its function in the machine tool which has a adaptive controller.

고정밀 고속 윤곽가공을 위한 3축 연동제어기 (3-Axis Coupling Controller for High-Precision/High-Speed Contour Machining)

  • 지성철;구태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1호
    • /
    • pp.40-47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 three-axis coupling controller designed to improve the contouring accuracy in machining of 3D nonlinear contours. The proposed coupling controller is based on an innovative 3D contour error model and a PID control law. The novel contour error model provides almost exact calculation of contour errors in real-time for arbitrary contours and can be integrated with any type of existing interpolator. In the proposed method, three axes of motion are coordinated by the proposed coupling controller along with a proportional controller for each axis. The proposed contour error model and coupling controller are evaluat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3-axis coupling controller with the new contour error model substantially can improve the contouring accuracy by order of magnitude compared with the existing uncoupled controllers in high-speed machining of nonlinear contours.

KSLV-I 발사2호기 VEB 조합체 이송 (Transportation of KSLV-I FM unit 2 VEB Assembly)

  • 최상현;박종찬;원유진;이수진;정의승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1호
    • /
    • pp.20-29
    • /
    • 2011
  • KSLV-I 상단부 이송 항목 중 KARI가 직접 이송하는 VEB 조합체는 진동 및 충격에 민감한 전기 전자 부품과 유공압 부품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이송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VEB 조합체 이송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환경제어장치가 구비된 이송 컨테이너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이송 컨테이너의 성능 검증 및 이송 조건(이송 속도, 이송 경로 등) 타당성 확인을 위해 엔지니어링모델을 이용한 4회의 이송 시험을 수행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VEB 조합체 이송 이력과 발사2호기 VEB 조합체 이송 개요 및 결과 등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