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산사건 시스템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upervisory control 기법을 이용한 비상운전지원시스템 개념설계

  • 김명기;홍승열;정명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361-366
    • /
    • 1996
  • 최신 제어이론의 한 분야로 주목을 받고있는 이산사건시스템((Discrete Event System) 제어이론을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지원시스템 설계에 도입하였다. 이산사건이론을 비상운전절차에 적용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비상운전지원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소 운전상태 및 운전원의 조치사항을 이산사건시스템으로 모델링하여 제약조건에 맞는 수퍼바이저를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상운전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계층적 관리제어

  • 박성진;조광현;임종태
    • ICROS
    • /
    • v.6 no.5
    • /
    • pp.46-5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이산사건시스템의 관리 제어이론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하위레벨(low level)과 상위레벨(high level) 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의 이산사건시스템에서 레벨들 사이의 정보 전달을 바탕으로 상위레벨에서 설정된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상위레벨 및 하위 레벨의 관리제어기 설계기법을 소개한다. 계층적 구조에서 관리 제어 목적은 계층적 일치성의 개념으로 정의되는데, 이것은 설계된 하위 레벨 관리제어기에 의해 제어된 하위 레벨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상위 레벨로의 정보사상이 주어진 상위레벨의 사양과 일치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위레벨 상에서 임의의 사양이 주어질 때 계층적 일치성을 만족하게 하는 관리 제어기가 존재하기 위한 계층적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작특성과 레벨들 사이에서의 정보전달의 특성을 소개한다. 또한 설계된 관리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체 관리제어 시스템에서 계층적 일치성 및 비막힘성의 동시 만족에 대한 관리 제어 문제를 소개한다.

  • PDF

DEVS Bisimulation: Hierarchical Verification of Discrete Event Models (DEVS Bisimulation : 이산사건 모델의 계층적 검증방법)

  • 송해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03a
    • /
    • pp.43-4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이산사건 시스템의 무시간 DEVS/DEVS 명세에 대한 계층적인 설계/검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DEVS 상위모델과 DEVS 하위 모델간의 반복적인 설계/검증 시 계층적 인 방식을 채택하여 검증 시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는 상태폭발 문제를 크게 완화시켰다는 점이다.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론을 자세히 보여주고자 한다.

  • PDF

Logical Analysis of Real-time Discrete Event Control Systems Using Communicating DEVS Formalism (C-DEVS형식론을 이용한 실시간 이산사건 제어시스템의 논리 해석 기법)

  • Song, Hae Sang;Kim, Tag G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1 no.4
    • /
    • pp.35-46
    • /
    • 2012
  • As complexity of real-time systems is being increased ad hoc approaches to analysis of such systems would have limitations in completeness and coverability for states space search. Formal means using a model-based approach would solve such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model-based formal method for logical analysis, such as safety and liveness, of real-time systems at a discrete event system level. A discrete event model for real-time systems to be analyzed is specified by DEVS(Discrete Event Systems Specification) formalism, which specifies a discrete event system in hierarchical, modular manner. Analysis of such DEVS models is performed by Communicating DEVS (C-DEVS) formalism of a timed global state transition specification and an associated analysis algorithm. The C-DEVS formalism and an associated analysis algorithm guarantees that all possible states for a given system are visited in an analysis phase. A case study of a safety analysis for a rail road crossing system illustr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of the model-based approac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Using the Discrete Event system Formalism (이산 사건 형식론을 이용한 거시적 및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 이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04a
    • /
    • pp.110-114
    • /
    • 1999
  • 본 연구는 Zeigler가 제안한 이산 사건 시스템 형식론(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을 이용한 거시적 및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방법론의 개발을 주 목적으로 한다. 도로 교통망의 모델링 방법은 미시적(microscopic)방법과 거시적(macroscopic)방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모델링 방법들은 그 목적에 따라 각기 표현되어 제각기 사용되어 왔으나, 시스템 이론적으로 이들은 독립적 모델이 아니며 오히려 이들은 서로 동질적 추상화 관계에 있어서, 통합 모델링 환경의 구축시 미시적 모델들로부터 추상화에 의한 거시적 모델의 자동생성 등 설계상의 효율뿐 아니라 모델간의 일관성을 통한 모델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표현 방법(즉, 이산시간 형식론과 이산사건 형식론)간의 통합 표현을 기반으로 양자간의 추상화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한 모델 추상화를 통해 거시적 및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제안한다. 시스템 이론적 접근을 토대로 접근한 통합 교통류 시뮬레이션 환경은 미국 Berkeley 대학 교통 연구소에서 개발한 SHIFT 등과 같은 최첨단 교통류 시뮬레이션 도구에 비하여 SES/MB를 기반을 시스템 이론적이며 소프트웨어공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1) 기존 제어 방식의 검증 및 신뢰도 분석, 2) 각종 사건, 사고의 시간별 파급효과 분석, 3) 도로건설 계획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 4) 운전자 및 관리자를 위한 예측된 교통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Normal Diving Simulation of the Underwater Vehicle Using the Standard Model Architecture for the Combined Simulation of Discrete Event System and Discrete Time System (이산사건 및 이산시간 혼합 표준모델구조를 활용한 수중운동체 정상잠항 시뮬레이션)

  • Son, Myeong-Jo;Lee, Hyun-Jin;Ham, Seung-Ho;Lee, Hyo-Kwang;Kim, Tae-Wan;Lee, Kyu-Yeul;Han, Soon-Hung;Nah, Young-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5 no.6
    • /
    • pp.656-668
    • /
    • 2008
  • When it comes to design and acquire underwater vehicles such as a submarine and a torpedo according to the process of SBA(Simulation Based Acquisition)/SBD(Simulation Based Design),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interest precisely and to perform the test over and over again using the M&S(Modeling and Simulation) of the engineering and the engagement level. In this paper, we research the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and DTSS(Discrete Time System Specification) formalism based standard model architecture for the underwater vehicle which can support both the heterogeneous level of the M&S(Engineering/Engagement) and the different system of the M&S(Discrete Event System and Discrete Time System). To validate this standard modeling architecture, we apply it to the submarine normal diving simulation.

Web-based Distributed Experimental Frame for Discrete Event Simulation System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웹 기반 분산 실험 틀)

  • Jung, Inho;Choi, Jaewoong;Choi, Changbeo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2
    • /
    • pp.9-17
    • /
    • 2017
  • The problem of social phenomenon is getting more complicated than past decades, and the simulation engineers need more computation power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e needs of the computational resources of the modeling and simulation environment are increasing. In the perspective of the simulation, it is necessary to allocate computational resources flexibly so that the simulation can be performed per the available budget range. As an alternative to the simulation environment to accommodate these requirements, cloud service has emerged as an environment in which computing resources can be used flexibly. This paper proposes a web-based simulation framework which consists of a front-end that reconstructs the simulation model using the web, and a back-end that executes the discrete event simulation. This paper also carried out a case study which shows web-based simulation framework has better overall runtime than standalone simulation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