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벤트 모니터링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9초

Sense and Respond 기반의 의료정보 이벤트 모니터링 시스템 (Medical Information Ev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Sense and Respond)

  • 강운구;이영호;김시라;윤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38-146
    • /
    • 2009
  • 최근 대형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응급상황 내 환자를 보다 안전하게 진료하기 위해 Sense and Respond 기반의 의료정보 이벤트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벤트와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Sense and Respond 기반의 의료정보 이벤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은 이벤트 정의, 이벤트 추출, 이벤트 전달 및 모니터링으로 구성되어, 보고자하는 의료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 전달함으로써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며, 실시간 정보 Tracking을 통해 병원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균형 있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벤트 전달을 통해 사안별 조기 대응으로 환자의 Safety 확보가 가능하며 병원의 업무상 다양한 문제점을 조기에 파악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프로세스 기반 이벤트 분석을 이용한 비즈니스 활동 모니터링 (Business Activity Monitoring Using Process-based Event Analysis)

  • 손성호;정재윤;강석호;조남욱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9-2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복합 이벤트 처리를 적용하여 비즈니스 활동 분석(BAM)을 위한 이벤트 분석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프로세스 관리자가 프로세스가 종료되기 이전에 발생 가능한 위험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실시간에 진행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조기 경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위험을 가지는 이벤트를 추출하는, 프로세스 기반의 이벤트 모니터링 과정을 제시하였다. 복합 이벤트 패턴은 과거 누적된 이벤트 로그를 바탕으로 정의되며, 이벤트의 위험도는 그 패턴들에 기반하여 평가된다. 제안된 방법론은 홈쇼핑업체의 서비스 프로세스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 PDF

자바 프로그램의 이벤트 모니터링 (Monitoring Events for Java Programs)

  • 최윤정;창병모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745-747
    • /
    • 2004
  • 현재 많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J2ME 프로그램은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제한된 자원을 사용하며 입력 키 등에서 발생하는 이벤트(event)들을 처리하는 이벤트-구동 프로그램이다. 이벤트-구동 프로그램에서 이벤트의 효과적인 처리는 전체 프로그램의 안전성과 신뢰성뿐만 아니라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보통 디버깅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 중에 실시간으로 이벤트 발생 및 처리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 옵션에 따라 사용자가 관심 있는 이벤트만을 실행 중에 추적할 수 있으며 실행 후에 이벤트 관련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코드 인라인 기법을 이용하여 실행시간 부담을 크게 줄였다.

  • PDF

효율적인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이벤트 주도 동적 모니터 (An Event-Driven Dynamic Monitor for Efficient Service Monitoring)

  • 금득규;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12호
    • /
    • pp.892-908
    • /
    • 2010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에서의 서비스는 서비스 소비자에게 대부분 블랙 박스 형태로 인식되고, 동적으로 실시간에 진화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지되지 않은 이질적인 환경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SOA의 특성으로 인해 동적으로 서비스의 다양한 측면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필수 핵심 기능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현재까지의 연구나 솔루션들은 실질적으로 서비스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비즈니스 프로세스상의 영향 요인은 간과되는 측면이 있으며, BPEL엔진이나 미들웨어의 API에 의존한 외부 모니터링 데이터만의 획득으로 비즈니스 수준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부족한 면이 있다. 또한,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모니터링으로 인한 과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하다. 이벤트 주도 아키텍처(Event Driven Architecture, EDA)는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SOA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니터링 측면에서의 EDA 장점들을 도출하고, 모니터링 대상을 분류하여 각 대상에 적합한 효율적인 모니터링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그것을 더 적용성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벤트 메타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한 이벤트 처리 모델과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아키텍처와 기법을 사용하여 실행 시간에 외부 모니터링 데이터뿐만 아니라 내부 모니터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및 처리할 수 있는 이벤트 주도 동적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실효성과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벤트 기반의 협업적 웹 서비스 관리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of Event-Based Composite Web Services Management)

  • 정덕원;민덕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57-760
    • /
    • 2007
  • 최근 각 기업과 공공기관들의 서비스들은 웹 서비스 기반으로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서비스들을 혼합한 협업적 웹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에 대한 프로세스 관리, 서비스 상태 체크, 서비스 과금을 위한 과금 요소 추출등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이벤트 기반의 협업적 웹 서비스 관리 모니터링 구조와 방법을 제시한다.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기반의 협업적 웹 서비스 개발 생명주기를 단계별로 검토하여 관리 모니터링의 관점에서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찾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협업적 웹 서비스 관리를 위한 이벤트 기반의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복합 이벤트 모델의 설계 (The Design of a Complex Event Model for Effective Service Monitoring in Enterprise Systems)

  • 금득규;이남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4호
    • /
    • pp.261-274
    • /
    • 2011
  • 최근의 경쟁적 비즈니스 환경은 각 기업으로 하여금 민첩성과 유연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이를 통한 조기 의사 결정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되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 없이 많은 다양한 이벤트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의미 있는 데이터를 필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BPEL엔진이나 미들웨어의 API에 의존한 모니터링으로 서비스 결함 발견에 그치고 있거나 낮은 단계의 이벤트(low-level event)에 기반한 단순 이벤트 처리에 그치고 있어, 기업에 유용한 비즈니스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상황 검출(situation detection)을 통해 보다 가치 있고 유용한 비즈니스 정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된 복합 이벤트 모델(complex event model)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의 이벤트 처리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제안된 아키텍처에 적합한 이벤트 메타모델을 정의한다. 정의된 메타모델을 기초로 다양하고 진보된 이벤트 연산자와 복합 이벤트 패턴, 그리고 키(key) 등 이벤트 처리 언어를 구성하는 요소의 문법과 의미를 제안한다. 또한, 보다 정교한 이벤트 분석을 위한 이벤트 컨텍스트 매커니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응용사례를 통하여 본 연구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다른 이벤트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본 이벤트 모델의 장점을 제시한다.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의 통계적 분석에 기반한 모바일 프로세서의 전력 예측 (Power Prediction of Mobile Processor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Performance Monitoring Events)

  • 윤희성;이상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7호
    • /
    • pp.469-477
    • /
    • 2009
  •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로 동작해야 하는 모바일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 설계시 성능뿐만 아니라 전력소모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의 실행 중에 전력소모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면 전력과 성능을 고려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의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프로세서의 전력소모 예측을 위해 정량적으로 프로세서의 동작을 분석하고 모델링 하는 통계적인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다양한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프로세서의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과 전력소모 데이터를 수집한 후 계층적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 등을 적용하여 서로 중복되지 않으면서 전력소모에 크게 기여하는 대표적인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을 추출한다. 전력 예측 모델은 선택된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이 독립변수가 되고 전력소모가 종속변수가 되는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여 개발한다. 전력 예측 모델은 Intel XScale 아키텍처 기반의 PXA320 모바일 프로세서에 적용하여 평균 4% 이내의 에러율로 전력소모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인다.

eBPF를 활용한 컨테이너 활동 분석 시스템 (eBPF-based Container Activity Analysis System)

  • 김지수;남재현
    •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4-412
    • /
    • 2024
  • 클라우드 환경의 도입은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으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컨테이너 기술이 그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마이크로서비스와 같은 복잡한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 간 상호작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내부 프로세스를 세밀하게 분석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제기했다. 기존의 모니터링 기법은 이와 같은 복잡한 환경을 충분히 분석하는 데 한계를 보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eBPF는 리눅스 커널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기술로, 커널 영역에서 발생하는 파일 시스템 활동을 비롯한 다양한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eBPF를 기반으로 한 컨테이너 활동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며, 이 시스템이 컨테이너와 호스트 시스템의 커널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eBPF를 활용한 대표적인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인 Tetragon, Falco, Tracee를 이벤트 탐지 방식, 기본 정책 적용 여부, 이벤트 유형 식별, 시스템 콜 차단 및 경고 생성 기능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각 시스템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컨테이너 프로세스 감시 및 제한에 필요한 기능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을 컨테이너 메타데이터 수집, 내부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메타데이터 연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평가하며, 관련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eBPF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의 효용성과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벤트 기반 서비스 기술 동향 (Trend of Event-Driven Service Technology)

  • 이미영;김명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5호통권101호
    • /
    • pp.61-68
    • /
    • 2006
  • 이벤트 기반 서비스 기술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이에 대한 반응으로 서비스가 연동되는 기술로, 실시간 기업 환경 구축이나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 구축을 위한 핵심 기반 기술이다. 실시간 기업 환경에서 요구되고 있는 기업내업무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하여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제공하거나,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에서 상황에 맞게 적시에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벤트 기반의 서비스 기술이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의 개념, 발전 방향 및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량의 이벤트를 처리하여 의미있는 상황 정보를 제공하거나 서비스를 연동하는 기술인 이벤트 스트림 처리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사운드 이벤트 검출 기반 홈 모니터링 시스템 (Ho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sound event detection for the hard-of-hearing)

  • 김지연;신승수;김형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27-43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양방향 게이트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사운드 이벤트 검출 기반의 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우선적으로 효과적인 사운드 이벤트 검출을 위해 패킷손실 은닉을 이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인해 손실된 신호를 복원하고, 멀티채널 상호 상관관계 계수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채널을 선택한다. 선택된 채널의 사운드는 이벤트 검출을 위해 두 개의 오디오 채널을 사용하는 양방향 게이트 순환신경망에 적용된다. 검출된 사운드 이벤트는 텍스트로 변환되며, 이와 함께 하모닉/퍼커시브 음원 분리 방식을 통해 햅틱 신호로 변환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제공된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사운드 검출기반의 성능이 기존 방식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과 음원 분리 방식을 통해 사운드를 세밀한 햅틱 신호로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