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미지 추출

Search Result 1,78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Ontology-based Semantic Information Extraction Using An Advanced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향상된 콘텐츠 기반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온톨로지 기반 의미적 정보 추출)

  • Shin, Dong-Wook;Jeon, Ho-Chul;Jeong, Chan-Back;Kim, Tae-Hwan;Choi, Jo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348-353
    • /
    • 2008
  • 이미지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특징(feature)을 추출한 후 이미지 특징에 대한 유사도 평가를 통한 이미지 검색 및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검색된 이미지들과 유사하다고 판단된 이미지와 그러한 이미지들의 의미적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질의 이미지에서 색상, 질감, 모양 등의 특징을 추출하여 유사도 평가를 통해 검색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방식을 통해 이미지를 검색하고, 온톨로지를 이용해 이미지의 의미적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와 관련된 의미적 정보를 제공한다.

  • PDF

Most Appropriate Image Selection method for Color Extraction in Immersive modeling (실감 모델링을 위한 색 추출 기법에서 적합한 이미지 선정 방법 연구)

  • Park, Joung-Wook;Lee, Kwan-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4-49
    • /
    • 2007
  • 반짝이는 특성의 물체에 대해 이미지를 기반으로 색을 추출하는 경우 반짝이는 특성을 포함하면서 내재되어 있는 색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색 곡선(color line)을 이용한다. 이 경우 추출하려는 색이 왜곡되지 않은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선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실감모델링을 위해 색 곡선을 기반으로 색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을 위해 색을 추출하기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선정하는 기준을 색포화율(color saturation ratio)을 통해 제안한다. 색포화율이란 색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색이 포화된 픽셀들을 최대 색거리를 가진 픽셀들로 간주하여 계산된 색거리의 총합에 대해 최소한 하나 이상의 색이 포화된 픽셀들의 색거리 총합의 비율를 의미한다. 이상적으로 이 비율이 최소가 되면 하이라이트를 제외한 어떤 픽셀도 포화되지 않기 때문에 반짝이는 특성을 가진 물체의 색을 추출하기 위해 촬영된 이미지는 하이라이트를 제외한 모든 색이 왜곡되지 않은 가장 적합한 이미지가 생성된다. 또한, 이렇게 선정된 이미지에서 추출된 색의 효율성을 보이기 위해 색 공간과 이미지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응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Sub-image based CAPTCHA System Efficiency Improvement Based on Area of Circle (원의 넓이에 근거한 서브 이미지 기반 CAPTCHA 시스템 효율 개선)

  • Chung, Woo-Keun;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101-105
    • /
    • 2010
  • 현재 인터넷 보급의 우수한 발달로 인해 우리는 정보의 바다 또는 인터넷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인터넷 시대에 살고 있는 만큼 많은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하고 원하고자 하는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얻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하여 웹서핑 또는 정보를 검색하다보면 스팸이나 자동화 도구를 이용하여 광고성 또는 해당 정보와는 상관없는 글들이 무수히 등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APTCHA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존재하는 CATPCHA 시스템은 텍스트 기반의 시스템이고, 현재 쉽게 통과될 수 있는 많은 기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새로운 이미지 기반의 CAPTCHA 시스템을 전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제안했다[4]. 제안된 시스템은 일반적인 이미지에서 사각형 형태의 서브 이미지를 추출, 추출된 서브 이미지를 무작위 회전을 가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교정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였다. 우리는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서브 이미지를 추출 시 정사각형의 형태가 아닌 N다각형의 형태를 통하여 서브 이미지를 추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N다각형 형태의 서브 이미지 추출시 전 연구와는 다른 방법으로 서브 이미지를 추출하고,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인식률이 높은 다각형을 찾고, 전 연구와는 다른 방법의 서브 이미지 추출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서브 이미지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공되는 다각형은 정삼각형에서부터 정16각형이다.

  • PDF

The Brand Image Retrieval system Based on The Color/shape (컬러/형태 기반 브랜드 이미지 검색 시스템)

  • 신성윤;임정훈;강오형;이양원;표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99-302
    • /
    • 2001
  •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란 이미지가 갖는 다양한 특징을 바탕으로 똑같거나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의 컬러와 형태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미지를 영역별로 분할하여 영역별 컬러 분포 히스토그램을 추출하여 컬러 정보로 이용하고 경계면 추출, 무게 중심 추출, angular 샘플링 등의 전처리 과정과 무게 중심으로부터 경계면까지 거리의 합, 표준 편차, 장/단축 비율을 계산하여 형태정보로 이용한다. 이렇게 추출된 컬러와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성 측정을 통한 검색을 수행한다.

  • PDF

Shape Based Image Retrieval using Fourier Series (퓨리에 시리즈를 사용한 외형기반 이미지 검색)

  • Tak, Yoon-Sik;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366-371
    • /
    • 2006
  • 퓨리에 시리즈를 사용하면 이미지의 외곽선 특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미지의 퓨리에 계수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요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곡선을 추출한다. 이러한 곡선은 오브젝트의 특정 중심점에서 외곽선을 따라 일회전하면서 그 거리를 좌표상에 표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기존의 퓨리에 계수를 추출하는 방법들은 추출된 계수를 이용하여 해당 곡선을 복원했을 때 원래의 곡선에 존재하던 상세한 특성을 표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결국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곡선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할 때 정확도를 상당히 떨어뜨리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Binary Range Reduction (BRR)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BRR 알고리즘은 원래의 곡선과 퓨리에 계수를 통해서 복원된 곡선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전체의 곡선을 통해서 하나의 퓨리에 계수 세트를 추출하지 않고, 복원된 곡선이 원래의 곡선과 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 나지 않도록 퓨리에 계수를 추출하는 구간을 나누어가며 퓨리에 계수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다수의 퓨리에 계수 세트를 통해서 복원된 곡선을 사용하여 이미지들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실험을 통하여 BR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곡선에서 추출한 퓨리에 계수로 복원한 곡선이 원래 곡선의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보였고, 퓨리에 계수와 BRR알고리즘을 이미지 검색에 적용하였을 때, 높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 Region Based Similar Image Retrieval using Histogram Comparison (히스토그램 비교법을 이용한 영역기반 유사 이미지 검색)

  • 임동혁;김창룡;정진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30-132
    • /
    • 2000
  • 주요 멀티미디어 자료인 이미지는 데이터 특성을 표현하기가 어렵고, 특성추출에서 얻은 데이터가 너무 고차원적이라 이를 저차원의 처리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손실이 있다. 이미지의 특성값을 전체 이미지의 평균값으로 변경하여 저차원 데이터를 얻는 기존의 이미지 전체 특성추출기법이나 고정된 블록의 평균값으로 변경하여 저차원 데이터를 얻는 이미지 블록 특성추출기법은 유사 이미지의 검색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를 가변적인 영역으로 나누어 특성값을 얻고,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유사 이미지를 찾는 영역기반 유사 이미지 검색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eature Extraction using the Wavelet Transform in Satellite Remote Sensing Image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원격탐사 이미지 데이터의 특징 추출에 관한 연구)

  • 전영준;김진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237-24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원격탐사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과정중의 하나인 이미지의 분류를 위해서 적용되는 다중분광 영상에서 특징 추출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즉,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위성탐사 이미지 데이터의 특성을 분석하여 실제 이미지 분류에 기여도가 높은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효과적인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텍스쳐 특징을 이용하였다.

  • PDF

Recovery of Erased Character Strokes in the Extraction of Text Using Color Information (칼라정보에 기반한 텍스트 영역 추출에서의 지워진 획 복구)

  • Kim Seon-Hyung;Kim Ji-Soo;Kim So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657-660
    • /
    • 2006
  • 자연영상이나 스팸메일 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텍스트 영역에 이진화를 수행하고 나면 가로 방향이나 세로획 방향으로 놓여 있는 "1" 그리고 "ㅡ" 에 해당하는 한글의 종성부분이 이미지 내의 잡영을 지울 때 종종 지워지는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지워진 획 부분을 되살리기 위한 방법으로 텍스트 Hint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텍스트 Hinting 알고리즘은 이진화된 이미지의 텍스트 픽셀 위치와 동일한 좌표에 해당하는 원본 이미지의 RGB 값을 추출하여 추출된 텍스트 후보 영역의 색상을 알아낸다. 추출된 텍스트 색상 레이어 이미지와 이진화된 이미지에 OR연산을 수행하게 되면 지워진 획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을 스팸 이미지에 적용한 결과 텍스트 추출결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Region Extraction Methodology Using Edge Values of Image (이미지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 추출 방법)

  • 이승재;김창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49-45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이미지의 영역구분에 대한 새로운 방법인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추출 방법을 소개한다. 빠르고 정확한 이미지 검색엔진을 구현하기 위하여 질의의 결과가 될 이미지들은 전처리기에 의하여 모든 영역을 추출한 뒤 각각의 영역에 따른 특성(feature)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정확한 질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는 정확히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그 특성도 추출할 수 있는 전처리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정확도만을 중시하여 너무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그 또한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추출 방법은 이미지의 각 점에 대한 경계값(edge value)을 이용하여 그 경계값이 작은 점으로부터 시작하여 경계값이 큰 점들을 병합해 가면서 인접한 영역간의 크기, 색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영역을 구분해 낸다. 이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텍스쳐(texture)를 제외한 일반적인 영역뿐 아니라 텍스쳐 포함하는 영역도 추출할 수 있는 점과 빠른 처리 속도에 있다.

  • PDF

A Shape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Topographical Image Databases (지형/지물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형태 특징 추출 방법)

  • Kwon Yong-Il;Park Ho-Hyun;Lee Seok-Lyong;Chung Chin-W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4
    • /
    • pp.384-395
    • /
    • 2006
  • Topographical images such as aerial and satellite images are usually similar with respect to colors and textures but not in shapes. Thus shape features of the images and the methods of extracting them become critical for effective image retrieval from topographical image datab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hape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topographical image retrieval. The method extracts a set of attributes which can model the presence of holes and disconnected regions in images and is tolerant to pre-processing, more specifically segmentation, errors. Various experiments suggest that retrieval using attributes extrac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better than using existing shape feature extrac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