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미지 연상기법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권력으로 재생산된 몸과 패션디자인 표현 연구 -이미지 연상기법에 의한 시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shion Design of Reproduced the Body by Power -Focusing on Visualization by Image Associative Action-)

  • 김민지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2호
    • /
    • pp.61-73
    • /
    • 2018
  • Power is the driving force of society, and the generation of power is inevitable. as long as society is rganiz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Michael Foucault's discourse modern power operates as a mechanism of 'panopticon', a system that monitors the 'body' of man through discipline. Moreover. fashion as acts as a symbol of beauty that continues to co-exist with power for the purpose of exposing status and authority, and for displaying the trends within a 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study fashion design according to the changing power structure that exists in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ypes of creative fashion design process by visualizing the Foucault's power discourse through the image associative action. The four types of creative fashion design that have been drawn by visualizing Foucault's power discourse are as follow: disciplinary power, imprisonment power and knowledge power. The first type of fashion design method is to emphasize the shoulder by using shoulder pads, strings, tabs, and incisions in the clothing. The second method is to expose the body by using see-through material and manipulating its composition to expose the body. Third method is to borrowing elements of underwear. Fourth method is to utilize patterns that represent power, such as weapons, bones, blood, muscles, skulls, and various human imagesin the clothing.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utilize creative fashion design to visualize concepts of the humanities, such as philosophical discourse.

패스트푸드(fast-food)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한 이미지 연구 - KFC,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B.B.Q, 파파이스, 피자헛 - (On the Images of Fast-food brands' identity: B.B.Q, Burger King, KFC, Lotteria, McDonald, Pizza Hut, Popeye's)

  • 박규원;윤홍열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69-180
    • /
    • 2003
  • 외식 산업에 있어 다국적 브랜드가 국내 외식사업을 잠식하고 있고 그러한 브랜드가 국내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높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패스트푸드도 브랜드화된 하나의 제품이라 보고 그 가치를 느끼게 하는 비쥬얼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연상을 연구를 통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최근에 외식산업의 발달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서 자산가치가 새로히 평가받고 있는 이때에 무엇보다도 여러가지 마케팅 포지셔닝이 다양한 패스트푸드업을 통해서 브랜드 연상(Brand Association)과 그 의미를 확인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식의 제조와 판매가 분리된 조직적인 경영기법인 프랜차이징 시스템(Franchising System)으로 운영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경영전략은 소비자에게 자사 브랜드의 인지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매우 중요한 포지셔닝(Positioning)으로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미 발생된 브랜드 마크에 의한 색체와 도형 등 비쥬얼이미지(Visual Image)에 의한 연상(Association)이 어떻게 나타내고 있는가 연구함으로 국내 패스트푸드업의 프랜차이즈(Fran chise)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기업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제품 이미지 집중 체계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 as a Design Strategy to Build Corporate Brand Image)

  • 김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375-384
    • /
    • 2003
  • 본 연구는 성공적인 기업 브랜드 이미지의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서 브랜드 인지도에 의한 제품가치의 향상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그 실행 방법으로서 크게 브랜드 이미지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제품 이미지 프로그래밍, 그리고 제품 이미지의 정합성 평가와 관리의 세 단계로 구성되는 제품 이미지 집중 체계 (PICS :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를 제안하여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관리를 위한 지침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브랜드 이미지 분석은 이미지 연상기법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의 성향을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제시된 시각적 자료와의 관여방식을 분석하여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인지 방향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다음으로 제품 이미지 프로그래밍은 이와 같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철학(Design Philosophy)과 디자인 원칙(Design Principles)을 정립하고, 비쥬얼 포지션 프로그래밍(Visual Position Programming)을 통하여 제품이미지의 지향방향을 가시화 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제품이미지 정합성 평가는 디자인 철학과 디자인 원칙의 적용 여부 등을 평가하여 브랜드에 정합한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평가의 기준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품 이미지 집중 체계 (PICS :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관리를 위한 실제적인 방법으로서 디자인 작업에 있어서 이미지의 주관성으로 인한 계획과 적용 그리고 관리의 문제를 보다 객관적으로 해결하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표현중심어에 따른 이미지 스펙트럼의 세분화와 이미지의 비교 분석, 또 여기에 나타난 시각적 질서를 규명하는 제품 이미지 해석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기법 연구 (A Study on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the Smart Phone in the Smart work Environment)

  • 변연상;박대식;곽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97-800
    • /
    • 2011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스마트기기 이용의 확산으로 인해 생활환경 및 업무 환경이 크게 변화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어 스마트폰을 사용해 업무처리가 가능한 스마트워크 환경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은 초기단계이며 기업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기법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보안카드와 이미지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감성어휘을 통한 디지털이미지 크리에이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Image Creating Through Emotional Dimension)

  • 박상진;곽훈성;서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89-97
    • /
    • 2006
  • 디지털 방식이 가져온 변화는 기존사회 가치체계 자체의 변화를 추구하며 남과는 다르게 차별화 시키고자하는 사고방식이 그전보다 훨씬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변화된 환경에 맞는 다양하고 독창적인 이미지 연출이 필요하며, 이미지 제작을 위한 표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고는 디지털 이미지 크리에이팅에 관한 것으로 먼저 개발 대상을 선정하고, 감성차원을 통해 개발 대상에서 연상되는 감성어휘를 추출한다. 이후 대상간의 연계성을 시네틱스의 상징적 유추를 통해 시각화시키는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본 논고에서 활용된 시네틱스 기법은 그 특성상 대상의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그 해결책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과 접근방법을 찾을 수 있기에 문제 정의와 문제 해결에서 창조성을 자극시키는 도구로써 사용되었다 궁극적인 연구 목적은 단순한 이미지의 왜곡이나 변형이 아니라 본질적인 의미가 담긴 디지털 이미지 제작의 방법 모색과 프로세스 접근에 대한 태도의 전환을 통해 독창적이고 다양한 디지털 이미지 연출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PDF

유아 상상력을 위한 연상 인터렉티브 놀이 콘텐츠 (Associative Interactive play Contents for Infant Imagination)

  • 장은정;임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71-376
    • /
    • 2019
  • 창조적 사고는 언어로 표현되기 전부터 나타나며, 논리학이나 언어학법칙이 작동하기 전에 감정과 직관, 이미지와 몸의 느낌을 통해 그 존재를 드러낸다. 본 연구에서는 레고 놀이를 이미지 표현 방식으로,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중심으로 컴퓨터 비전을 응용한 실험적인 유아 참여형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유아의 경우 손의 소 근육 발달과 상상력을 실재로 구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창조의 과정이다. 사물인식으로 대표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의 지각변동 속에서 'OpenCV 라이브러리'의 분석 알고리즘과 그것을 'Node'로써 구현한 'VVVV'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진행하고, 웹캠을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하고, 인식하고, 해당 분석에 맞는 결과를 도출해 내어 사용자가 참여함으로 완성되는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를 통해서 아이들이 만든 레고가 어떤 작품인지 알 수 있고, 아이들은 스스로 무언가를 만들며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나아가, 더 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하고 개성적인 사람의 사고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미지 추상화 기법을 이용한 반려견 이름 추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og Name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Image Abstraction)

  • 이재헌;정예린;문미경;박승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13-320
    • /
    • 2023
  • 반려견의 등록 누계 현황은 2016년도 107만건에서 2020년 232만건을 기록하고 있다. 매년 동물 등록이 10% 이상씩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반려견을 등록 할 때 이름을 정해야 한다. 반려견 외모의 특징에 맞는 이름을 지어주고 싶지만, 이름을 정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려견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닮은 사물이나 음식을 기반으로 반려견의 이름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의 개발 내용을 기술한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사물과 음식의 이미지를 학습한 모델을 통해 반려견의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추출하고, 유사도를 기반으로 강아지의 이름을 추천해준다. 또한 결과값으로 나온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관된 연상단어를 추가로 추천해줌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편의를 높이고 흥미와 재미를 높일 수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반려견의 이름을 짓는 고민거리를 해결하고 편하게 반려견에게 어울리는 이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추천 이름을 통해 폭넓은 선택지를 줌으로써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한 자연 연상 통계 기반 저작물 식별 알고리즘 (A Natural Scene Statistics Based Publication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 송혜원;김도영;이상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5호
    • /
    • pp.959-966
    • /
    • 2017
  • 현재 도서, 만화 등의 디지털 저작물의 시장의 규모는 나날이 커져가고 있지만, 불법으로 디지털 이미지 형태로 유통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시급한 상황이지만, 국내외에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은 미비하다. 디지털 이미지 형태로 유통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저작물들을 분류하고, 저작물의 종류에 맞게 저작물 식별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저작권 위반 행위를 적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작물 중 디지털 이미지의 형태로 불법 유통되는 도서, 만화, 웹툰, 일반 사진 등 4가지 저작물을 분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자연 영상에서 왜곡된 정도를 판단하는 기법인 NSS를 활용하여 각 디지털 저작물의 히스토그램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히스토그램을 입력으로 받는 SVM을 학습하여 디지털 저작물을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저작물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 형태로 불법 유통되는 저작물들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저작권 보호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만화기반 사진 스토리텔링에 관한 고찰 : 어린이 사진교육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hoto-storytelling based on Comics for the Children Photo Education)

  • 박은하;윤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25-132
    • /
    • 2014
  • 본 연구는 만화의 스토리텔링 요소를 활용함으로서 사진 스토리텔링을 연구한다.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라 이미지 생산과 소비가 늘어나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창작이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읽고 쓰는 능력과 문화예술로서 어린이 사진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 요소가 풍부한 만화 형식을 사진교육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만화사진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만화의 기법 중 홈통과 완결성 연상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스토리텔링으로서 사진과 만화를 비교 분석한다. 두 번째는 만화적 요소가 적용된 사진교육 프로그램 사례 및 장점을 분석한다. 이 글을 통해 만화사진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제시하여 사진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Advertising Effects of Celebrity Models using Big data Analysis)

  • 김유나;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99-106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유명인과 브랜드의 이미지 유사도가 광고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결정변수가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고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SNS상의 키워드 네트워크 구조에 기반하여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도를 정량화하고, 학습 데이터를 통해 이미지 유사도를 독립변수로, 광고효과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형을 반복 실시하여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예측모형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해 예측 데이터에서 얻은 광고효과 예측값과 비교 기준으로서의 서베이값을 비교한 결과, 타당도를 판단하는 기준치인 75%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본 광고효과 예측 모델링의 타당성은 확보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성 구조를 소셜 네트워크 구조로 설명하고 그 효과를 기계학습을 통한 예측 모델링으로 검증하여 빅데이터 기반 모델링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적 대안과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