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미지파일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34초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SVG Trans-Gateway 시스템의 설계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VG Trans-Gateway for Mobile Device)

  • 이수현;유남현;이형옥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483-486
    • /
    • 2004
  • 기존의 SVG 파일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맞추어 제작하더라도, 디바이스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되지 않아,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보여지지 않는다. 그래서 각 SVG 파일을 해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맞춰서 다시 제작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VG Trans-Gateway를 제안한다. 이 SVC Trans-Gateway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준으로 데스크탑 PC에서 제작된 SVG 파일을 요청하는 해당 디바이스의 정보를 분석하여, 각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변환해주는 게이트웨이 이다. 그래서 이 시스템은 각 디바이스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동일한 SVG 파일을 변환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 PDF

무선 인터넷 기반의 이미지 변환 엔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mage Converter Engine based on Wireless Internet)

  • 최병철;박영삼;정영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194-1199
    • /
    • 2002
  • 기존 유선상의 HTML 컨텐트를 무선 환경에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WML, HDML 또는 mHTML로 변환해야 하는 큰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마크업 언어 자동 변환 엔진이다. 그러나 이 엔진은 텍스트 중심적이었기 때문에 이미지를 처리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처리에 포커스를 맞추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선상의 이미지 파일포맷을 무선 인터넷 환경에 맞는 파일 포맷으로 실시간 변형시키는 알고리즘과 변형된 이미지를 무선 단말기의 환경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제시한다.

simpleRTJ 임베디드 자바가상기계의 ROMizer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ROMizer of simpleRTJ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 양희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4호
    • /
    • pp.397-404
    • /
    • 2003
  • 전용 목적의 임베디드 자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이루는 모든 클래스 파일들이 호스트 컴퓨터 상의 ROMiaer에 의해 하나의 ROM 이미지로 변형되고, ROM에 적재된 이미지를 임베디드 시스템의 자바가상기계가 실행하는 모델을 따른다. 제한된 크기의 메모리 자원과 낮은 성능의 프로세서를 갖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이 ROM 이미지를 어떤 형식으로 정의하는가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형식에 따라 원래의 클래스 파일보다 휠씬 적은 크기의 메모리 만으로도 전체 클래스 정보를 담을 수 있게 되며, 또한 클래스 내부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simpleRTJ라고하는 임베디드 자바가상기계에서 구현된 ROMizer와, 특히 그것이 생성하는 RON 이미지의 형식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ROMizer는 원래 클래스 파일에 비해 절반 이상의 메모리 절감 효과를 얻게 하며, 최대 6배 이상의 속도로 클래스 내부 정보를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ROM 기반의 임베디드 자바 시스템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ROMizer 의 개발에 적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학문자인식 기반 보안문서 이미지 파일 관리 시스템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based Security Document Image File Management System)

  • 정필성;조양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7-14
    • /
    • 2019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사무실에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방식의 회사업무처리에서 벗어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스마트워크 환경을 경험하고 있다. 오피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 문서를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주고받던 것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고 모바일 메신저로 전송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제조현장에서는 보안문서인 작업지시서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고 공유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조현장에서 근로자의 스마트 기기에 남겨지는 보안문서 이미지 파일을 찾아내고 삭제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광학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글씨를 인식한 후 키워드화 시켜 일치하는 비율을 통해 보안문서 이미지 파일을 검색해내고 삭제 처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중소기업에서도 효율성 높은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안인식이 낮은 제조현장의 작업자들도 편리하게 보안문서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맞춤형 컨테이너를 위한 블록 입출력 히스토리 학습 기반 컨테이너 레이어 파일 시스템 선정 기법 (A Method of Selecting Layered File System Based on Learning Block I/O History for Service-Customized Container)

  • 용찬호;나상호;이필우;허의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10호
    • /
    • pp.415-420
    • /
    • 2017
  • OS-level의 가상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존의 가상화 기술인 가상 머신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는 기존의 리눅스 컨테이너에 유니온 마운트 포인트(Union Mount Point) 와 레이어 구조의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가 가능하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특징들은 스냅숏 기능을 제공하는 레이어 구조의 파일 시스템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레이어 파일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레이어 파일 시스템들의 특징을 조사한 뒤, 레이어 파일 시스템의 동작 원리인 Allocate-on-Demand 및 Copy-up 방식에 따른 파일 시스템의 쓰기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또한 각 레이어 파일 시스템 방식의 블록 입출력 사용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 신경망을 통해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적합한 레이어 파일 시스템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한다.

RGB 컬러의 Contour 개념을 이용한 직관적인 이미지 검색 설계

  • 이지민;;차병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57-260
    • /
    • 2009
  • 기존 이미지 검색사이트는 대부분 이미지 파일의 이름에 포함된 단어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였다. 좀더 진보한 이미지 검색을 위해서 하세도표를 이용한 색 구성 영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Contour개념을 이용하여 이미지 자체의 직관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DMB-AF 파일 포맷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지원 방법 (A Method to Support Stereoscopic Video in DMB-AF File Format)

  • 김용한;박민규;오창열;윤국진;이봉호;허남호;이수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8-110
    • /
    • 2010
  • 최근 3D 비디오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지상파 DMB 및 위성 DMB에서도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1]-[3]. DMB-AF 파일 포맷[4]은 MPEG에서 제정한 DMB 파일 포맷 국제 표준이다. 이 표준 제정 당시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콘텐트를 지원하는 기능이 들어 있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DMB-AF 한 파일 내에서 2D 비디오, BIFS에 의해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2D 비디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등이 시간적으로 혼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방법은 기존 2D 비디오의 재생만 지원하는 기존 DMB-AF 플레이어와의 호환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기존 DMB-AF 플레이어가 BIFS에 의해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2D 비디오 또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가 포함된 DMB-AF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2D 이미지 또는 2D 비디오로 재생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은 한 프레임을 좌우로 반으로 나누어 좌안 및 우안 비디오를 좌우로 배치한 화면분할(side-by-side) 포맷에 의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뿐만 아니라 좌안 또는 우안 비디오 중 하나는 2D 재생용의 기준 비디오로 다른 하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위한 부가 비디오로 사용하는 기본 포맷에 의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도 지원한다. 후자의 경우, 부가 비디오는 가로 해상도가 기준 비디오의 1/2인 선택사항 포맷도 지원한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지원하기 위해, 기존 DMB-AF 표준의 확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x86 기반 임베디드 리눅스를 위한 DOC 파일시스템 (Building DOC Filesystem for x86-based Embedded Linux System)

  • 이병권;김석일;전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67-1670
    • /
    • 2004
  • x86기반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저장장치로 단일-칩 플래시 디스크인 DOC(DiskOnChip)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OC 스스로 부팅하도록 부팅이미지, 커널이미지, 루트파일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DOC는 자체 기능으로 에러탐색 및 수정기능과 파일시스템으로 TrueFFS가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또한, 구성된 DOC 저장 시스템에 GUI 구현할 수 있도록 Qt-E 계층을 추가하여 시스템 개발자는 단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쉽게 임베디드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 PDF

색상 보존 방법을 이용한 포아송 테크닉으로 인한 적화 현상 및 동화현상의 보완 (Remedy for Reddening and Assimilation Phenomenon by Poisson Technique Using Preserving Object Colors)

  • 전우경;이일병;이보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1-504
    • /
    • 2011
  • 현대에는 다양한 촬영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 등을 통한 이미지 파일 공유, UCC의 발달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미지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툴을 원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rag and Drop을 통해 Poisson Technique을 이용한 Image Composition Program을 제안한다. Source Image와 Target Image 파일만 가지고 있으면 원하는 부분을 마우스를 이용해 선택하고 Drag and Drop 이라는 간단하고 가시적인 동작만을 취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그림을 자연스럽게 합성 할 수 있다. 또한 포아송 테크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동화현상 및 적화현상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리눅스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 (A Linux Cluster File System for Efficient Multimedia Services)

  • 강미연;홍재연;김형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652-654
    • /
    • 2002
  • 최근 리눅스 클러스터 시스템의 활용 범위가 커지면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리눅스 클러스터 시스템 상에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적합한 파일 시스템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즉,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단일 입출력공간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파일/디렉토리 연산을 제공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클러스터 시스템을 위한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Cluster File System, 이하 CFS로 표기)을 설계 및 구현한다. CFS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 위에 사용자 수준에서 구현된 시스템으로 사용자에게는 단일 시스템 이미지를 제공한다. 내부적으로는 대용량의 파일이 분산되어 저장되며 이를 위해 파일/디렉토리 정보도 각각의 노드에서 분산 관리된다. 사용자에게는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용이하도록 API가 제공되며, 또한 CFS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들이 제공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