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모티콘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the Utility of Emoticons as a Communication Tool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이모티콘이 가지는 효용성 분석)

  • Park, Chani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v.13 no.2
    • /
    • pp.71-76
    • /
    • 2017
  • In this study, we learned about the emergence of on-line communications originating from peoseuteol Computer Communications, the limitations of online communication, and the definition, traits and development of emoticons that serve as complementary roles, such as emotion and status. After analyzing various literacture and re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emoticons functioned a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the visual language of the digital era and communicating more sensitively to emotional factors. In a multimedia environment, emoticons are developed at a more advanced stage as the users' own icons due to a stronger tendency to pursue particularity and uniqueness. It is expected that eomotions added with multimedia functions will be more popular and vary in type. However, although the diversification of emotions as a commercial tool is already actively progressing, there appears a reverse effect in which an excessive use of emoticons is considered insincere in online communications. In such a backgrou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at can support a systematic and effective development of emoticons through visual research rather than producing multimedia emoticons indiscreetly.

The Emotional State Analysis using Twitter Timeline (트위터 타임라인을 이용한 감정 상태 분석)

  • Kim, Jong-In;Kim, Kyung-rog;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452-1454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와 SNS가 대중화가 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분석을 통한 추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표현단어 500여개와 이모티콘을 활용하여 감정 범주를 9가지로 분류하고, 트위터광장의 여러 유명인사 트위터 타임라인의 텍스트를 가져온 후, 감정상태 분석으로 감정 범주를 카운트 한다. 이를 통해, 한사람의 감정상태의 수치를 나타내고, 추후 음악, 음식, 문화 활동 등을 다양하게 추천할 수 있는 감정상태분석모듈을 설계 및 구현한다.

Context Visualizing SMS Based on Decision Tree (의사결정트리 기반의 컨텍스트 시각화 SMS)

  • Gahng, Shinwook;Oh, Jehwan;Lee,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15-518
    • /
    • 2009
  • 이동단말기가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이동단말기를 사용하고 필연적으로 많은 통신행동을 하고 있다. 특히 SMS 는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적어 사용자들의 통신행동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SMS 통신행동에서 이모티콘의 사용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텍스트 기반의 의사소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볼 수 있다. SMS 로부터 사용자의 감정을 추론하려는 기존의 연구가 있었지만 SMS 텍스트에 국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통신행동 기록, 위치 정보와 같은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SMS 텍스트와 함께 이동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론에 사용하였다.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하여 가용한 컨텍스트 정보로부터 추론한 정황 정보를 SMS 통신에서 사용하여 기존의 텍스트 기반의 의사소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Visual SMS 를 제안한다. 사전에 정의한 훈련 데이터 집합을 통하여 의사결정트리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Visual SMS 를 구현, 시뮬레이션하여 추론 결과를 통해 그 기대효과를 확인한다.

Implementation of interaction to increase user immersion in VR conferencing applications (VR 회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의 몰입도 증가를 위한 상호작용 구현)

  • You, Do-jin;Kim, Su-ji;Kang, Ye-jin;Kim, Hwi-jun;Park, Eun-ji;Lee, Chae-hee;Chang, Yu-jin;Jeong, Min-hyuk;Kim, Sa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17-11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VR 기반 원격 회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높은 사용자의 몰입도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작용 기능들을 제안한다. 우선, 향기 효과를 구성하여 감각 효과 제공을 통한 상호작용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이모티콘과 아바타의 애니메이션을 통해 다양한 감정적 상호작용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다수 사용자의 원활한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테이블 별 음성 채널 분리를 기능을 제안한다. 본 어플리케이션은 Oculus Quest 2 기기를 통하여 VR 환경에서 구현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n emotional subtitle editor for the deaf and hearing impaired people (청각장애인을 위한 감성자막 편집기 개발)

  • Kim, Hyunsoon;Oh, J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69-471
    • /
    • 2020
  •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른 비장애인 대비 소외 계층의 정보 접근성의 부족은 소외 계층에 대한 정보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 이에 캐릭터 수화 방송, 자막 방송 등 장애인을 위한 방송 서비스의 양적, 질적 개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막 방송 서비스의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상파 UHD 방송의 경우에도 본 방송을 시작한 이래 폐쇄 자막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자막 서비스는 텍스트 형태의 단조로운 내용 전달 방식이어서 다양한 스타일로 풍부하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UHD 방송을 대상으로 개선된 형태의 자막 서비스인 감성자막 서비스를 소개하고 이를 위한 감성 자막 편집기 기술 개발에 대하여 다룬다. 감성자막 서비스는 화자의 감정 정보를 자막 메타데이터에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감정에 따라 다양한 이모티콘이나 다른 종류의 폰트 스타일로 자막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다. 감성자막 편집기는 이러한 감성 자막 메타데이터를 추가, 편집하고 감성자막 파일로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지상파 UHD 송출 시스템 및 폐쇄 자막 표준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 PDF

GAN-based avatar generation and animation for video conferencing service (화상회의 서비스를 위한 GAN 기반 아바타 생성 및 애니메이션 구현 기술)

  • Moon, Ji-Eun;Kim, Ji-Yun;Park, Ji-Hye;Ahn, Hyo-Won;Lee,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761-763
    • /
    • 2022
  • 코로나19 이후 화상회의 빈도가 높아지면서 줌 피로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상대방을 가까이 마주하며 회의를 진행하는 것이 사람들의 피로도를 상승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 합성과 이미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아바타를 통해 사용자가 화상회의에 참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와 닮은 개성 있는 캐릭터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표정 및 움직임을 반영하여 화상회의에 적용될 수 있고 채팅과 커뮤니티에서 캐릭터의 이모티콘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Age differences of preference for humanoid AI speakers (얼굴형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선호의 나이 효과)

  • Oh, Songjoo;Hwang, Jihyun;Yew, Jiho;Hahn, Sow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9 no.1
    • /
    • pp.1-16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ge differences of preference and trust ratings when the appearan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 resembles a human face.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 was presented in seven levels from robot face to human face. In addition, face stimuli were divided into gender (male and female) and age (20s / 60s). Participants evaluated the reliability and likability of each face stimulus on a 7-point scale. The results show that younger adults tend to prefer the face that was halfway between the robot and the human face, while older adults evaluated that the perceived reliability and likability were higher when the stimuli resembled the human face. When asked to choose the most preferred of the four face categories, all participants chose a younger face. However, with additional conditions including emoticon face and empty condition, older adults still preferred human face, while younger adults preferred emoticon face and empty condition. Taken together, older adults are more receptive to human faces than robotic faces in the contex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present study will be a good reference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s for the elderly users.

A Study on the Emoticon Extraction based o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 (딥 러닝 기술 이용한 얼굴 표정 인식에 따른 이모티콘 추출 연구)

  • Jeong, Bong-Jae;Zhang, Fan
    • Korean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 /
    • v.5 no.2
    • /
    • pp.43-53
    • /
    • 2017
  • In this paper, the pattern of extracting the same expression is proposed by using the Android intelligent device to identify the facial expression.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xpression are very important to human computer interaction, and the technology to identify human expressions is very popular. Instead of searching for the emoticons that users often use, you can identify facial expressions with acamera, which is a useful technique that can be used now. This thesis puts forward the technology of the third data is available on the website of the set, use the content to improve the infrastructure of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ccuracy, in order to improve the synthesis of neural network algorithm, making th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model, the user's facial expressions and similar e xpressions, reached 66%.It doesn't need to search for emoticons. If you use the camera to recognize the expression, itwill appear emoticons immediately. So this service is the emoticons used when people send messages to others, and it can feel a lot of convenience. In countless emoticons, there is no need to find emoticons, which is an increasing trend in deep learning. So we need to use more suitable algorithm for expression recognition, and then improve accuracy.

A Study on the User Preference Type of Avatar Character in the Web Environment (Web환경에 따른 아바타 캐릭터의 사용자 선호 Type에 관한 연구)

  • 강민수;조동민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121-128
    • /
    • 2002
  • It makes an appearance that multi-media of Avatar, Cyber-Character, Cyber-Pet, Emoticon caused by Web-Environment advancement. Internet-User was fascinated by anonymous name of Web in the past but a desire goes on increasing to express oneself using the multi-media characte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feature of avatar character different from the general characters as making a survey of preference of avatar characters type in the various multi-media characters and presenting an efficient method at the making avatar characters. Consequently, the most efficient avatar characters type have to be concerned about functional factors rather than feature, feeling. exactly, it must be make conspicuous to personality of user and must make suitableness type of personality.

  • PDF

Emotional Interface on the Internet Messenger (인터넷 메신저를 위한 감성 인터페이스)

  • Shin, Hee-Sook;Lee, Jun-Young;Park, Jun-Seok;Oh, Hyun-Joo;Kim, Young-Jae;Lee, Tae-Hw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75-88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메신저를 위한 새로운 감성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이는 상용 인터넷 메신저에 시각과 촉각 정보를 이용한 입력과 표현 기술을 적용하여 원격지 사용자 간의 감성 교류의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및 메신저 사용자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감정에 대한 분류 및 응용 대상이 되는 주요 감정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과 촉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visual icon으로써 ECON(Emotional ICON)을 정의하였다. 이 ECON은 ECON Editor를 이용하여 생성, 수정, 표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ECON Player, 즉 실제 형체를 가지고 ECON의 동작 정보를 표현하는 새로운 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ECON 시스템을 인터넷 메신저와 연동하여 메신저의 이모티콘처럼 ECON을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의 감정을 시각적, 촉각적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직관적인 입력을 제공하여 Emotional Interface 환경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CON의 정의, ECON Editor의 구현, 키보드받침과 입술 모양으로 형상화된 ECON Player의 제작 및 메신저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체 ECON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고, 또한 메신저 응용에 기반한 Emotional Interface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