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면지역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rogress and Problems in Local Public Library Policies of South Korea (지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 광역자치단체를 사례로 하여 -)

  • Jae-Whoan Lee;Chul J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4 no.3
    • /
    • pp.1-32
    • /
    • 2023
  •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both progress and problems in local library policies of South Korea, with emphasis on public libraries. Special concerns are given to analyz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local library regulations and implementation plans, prepared for the promotion of local public libraries. Also investigated are the structural problems in both current procedures and systems for library policy making. The final discussion includes the customized solutions to make local library policies be healthy and reliable, as well as the analysis on the indigenous factors to make local library policies be weak and defective.

The Politics of Space in Cultural Strategies of Japanese Local Cities (일본 지방도시의 문화전략과 '지역다움'의 논리)

  • Cho, A-R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5
    • /
    • pp.480-491
    • /
    • 2008
  • Recent globalization and de-industrialization have caused intensive competition among places; hence, cities worldwide are pursuing regeneration and enhanced competitiveness through cultural strategies. Focusing on the cultural strategies of local cities in Japan, this paper reveals that the concept of "being-a-region" is key to cultural strategies, and explores what logic is inherent in such regional developments. Since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Japanese local cities have played the role of "Furusato(home) for Japanese." With the recent decentralization, "being-a-region" is now emerging as a powerful discourse for the cultural strategies of local cities. This idea of "being-a-region" can be largely defined as a region's special character or even an existential sense of place, but in fact it is political relationships among agencies that define the region. "Being a region" in Japan appears to extend to "being a nation."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focus on the power relationships that surround the concept of "being a region" when we deal with the meaning of region in relationships to cultural strategies of local cities.

  • PDF

The Growth of Private Enterprises in the 1990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China (1990년대 중국 사영기업의 성장과 지역발전)

  • Lee, Won-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2
    • /
    • pp.285-299
    • /
    • 2005
  • The economic reform in China since 1978 has been increasingly sped up and deepened. The recent development of private enterprises, especially, has significant econom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whereas its regional differentiation has considerable impacts on both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certain regions and overall regional growth patter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gional pattern of private enterprise growth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change which has structured the growth process. The development of private enterprises turned out to be closely tied to the marketization strategy of dual-track system and policy needs to reduce the unemployment level in both urban and 겨ral China. The regional pattern of the private enterprise growth can be characterized as ever-increasing spatial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t is argued that the private enterprise growth is closed related with the marketization level of the regional economy. Therefore, the strategy of developing private sector will be more important in shaping the regional development path as well as potential.

  • PDF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considering user behavior (아동의 독서 및 놀이 행태를 반영한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 Song, So-Ra;Pan, Young-Hwan;Jeong, Ji-H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01-906
    • /
    • 2009
  • 어린이 도서관은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도서관 서비스의 수준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생활 친화적 문화기반 시설인 소규모 도서관(혹은 문고)시설이다. 즉 어린이 도서관은 접근성을 가장 큰 장점으로 하여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객중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여가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또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서가를 비롯한 입식. 좌식 테이블과 의자들은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가구의 새로운 쓰임을 발견하며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어린이만의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반조사 및 어린이 도서관 방문을 통한 정황조사(Contextual Inquiry)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생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과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행태를 관찰하여 Photo Based Research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 하였다.

  • PDF

Place-based Policy and Urban Poverty: An Analysis of Employment Mismatch and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 Lee,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1
    • /
    • pp.41-5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loyment and spatial mismatch as a significant acting factor of deepening urban poverty and analyses the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that the more efficient place-based labor market intervention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nge of unemployment rate as a regional labor market outcome in metropolitan cities is determin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disequilibrium of labor supply and demand and employment mismatch according to various labor market conditions and its process is certainly differentiated across the metropolitan regional labor markets. In addition, it is analyzed that during the employment suburbanization the spatial mismatch puts differentiated impacts on different labor groups through human capital requirements and industry-selective job opportunities. As a result, because this whole process works with its unique process within individual regional labor markets, in order to link between urban poverty and employment mismatch and to promote problem-solving labor market intervention, we need to develop place-based policy based on the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ekt.

  • PDF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한국어 음성지원 대민 서비스

  • 류문경;신기혁;전계택;김길연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1 no.2
    • /
    • pp.110-116
    • /
    • 2004
  • 우리나라는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정보화 선진국 실현을 위해 $\boxDr$Cyber Korea 21$\boxUl$ 을 수립하여,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건설을 국가의 정보화 비전으로 설정하여 추진해 왔으며, 다양한 정보인프라와 컨텐츠 및 서비스 개발을 통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정보화의 성과 이면에 연령, 직업 등 사회적 여건과 지역적, 신체적 여건으로 인해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정보소외계층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정보통신부에서는 2003년 5월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한 정보통신 접근성 보장지침을 발표하였고, 컨텐츠 제공업자로 하여금 그래픽 문자를 음성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중략)

  • PDF

수도권 남부 계란 물류 본거지로 부상한다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7 no.3 s.425
    • /
    • pp.106-109
    • /
    • 2005
  • 2003년 11월 출범한 한국양계농협은 출범 이후 오는 11월 이면 2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전국 양계농가의 $60\%$가 조합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신용사업 및 경제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경제사업의 계란판매사업 비중이 높은 상태이다. 한국양계농협은 지난해 경제사업 정상화 지속 추진의 일환으로 유통센터 운영 안정을 위하여 전문 기관에 컨설팅을 의뢰하는 등 신속한 대처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양계농협의 계란유통센터는 수도권 양주시에 북부유통센터, 용인시에 남부유통센터, 전라남도에 목포유통센터, 경상북도에 영주유통센터, 대구광역시에 대구유통센터 등 5곳이 있으며 경기도 평택시에는 계란 가공센터 1개가 있다. 전국에 산재한 계란유통센터는 조합원의 계란을 수집$\cdot$선별$\cdot$포장을 하여 각 지역 대형마트와 같은 소비매장에 납품하고 있으며, 가공센터는 유통센터에서 선별되는 계란(원란) 및 등외란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번 호부터는 계란유통현장인 한국양계농협 계란판매사업장을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순서로 수도권 남부의 계란유통을 전담하고 있는 남부유통센터를 소개코자 한다.

  • PDF

Security Reinforcement Technics against WD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WDA에 따른 보안 강화 기법)

  • Kim, Young Seok;Sh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090-1093
    • /
    • 2010
  •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과 이용자의 증가로 인터넷은 이미 우리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달은 IT산업의 핵심요소가 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는 다양한 단말기(노트북, PDA, 스마트폰)가 대중화되었고 이를 지원하는 표준이 만들어졌으며, 무선 네트워크 사용지역의 확대로 인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정보환경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동성이 좋고 편리한 무선 네트워크의 장점의 이면에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는데,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선환경과는 달리 무선환경에서는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점을 악용하여 무선 AP를 도청하거나 패킷을 스니핑하여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표준을 분석해보고 실제 무선환경에서 개인정보가 얼마나 쉽게 노출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사설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AP의 신호를 가로채 패킷을 분석하는 방법을 시연한다. 또한 안테나 각각의 지름을 달리하여 신호강도의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분석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토양의 중금속 오염과 대책

  • 류순호;한광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6.05a
    • /
    • pp.15-33
    • /
    • 1996
  • 우리나라의 토양은 지형적인 요인과 토양모재 및 기후적인 조건에 의해 토양에 유입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보유력이 낮은 특성으로 인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 중금속에 대하여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토양의 중금속 자연 함유량은 논토양의 경우 Cd 0.13, Cu 4.15, Pb 4.17, Zn 3.95 mg/kg의 수준이며 밭토양은 Cd 함량이 논토양보다 높은 수치를 보인다. 과수토양은 과거에 중금속이 함유된 영농자재가 투입된 결과로 자연함량을 결정하기 힘드며 매우 높은 중금속 농도를 보인다. 그리고 현재 토양환경보전법이 시행되어 중금속류 및 유해유기물에 대한 오염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토양의 중금속 오염현황은 환경부의 토양오염 측정망에서 금속광산, 제련소, 매립지 부근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산업폐수 및 생활하수가 관개수로 유입되는 논토양에서 중금속 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제련소 및 금속광산 부근의 토양은 거리에 따라 중금속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인접지역에서는 규제농도에 육박하거나 초과하고 있다. 또한 폐광산 부근에서 생산된 현미 역시 전반적으로 작물재배제한 기준를 초과하지는 않으나 상당 지역이 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0.1 M HCl로 침출가능한 Cd 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 상관관계에 의하면 0.1 M HCl로 침출가능한 토양 중 Cd의 양이 5 mg/kg 이면 생산된 현미의 Cd 함량이 1 mg/kg을 초과할 확률은 40%인 반면, 일본 식량청 수거대상인 0.4 mg/kg을 초과할 가능성은 100%로 파악된다. 광명시 가학광산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한 중금속 오염에 대한 대책연구에서는 현미 중 Cd 함량이 0.4 mg/kg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토양 농도 5 mg/kg)은 최소 20 cm 이상 두께로 객토를 하고, 현미 중 Cd 함량이 0.4 mg/kg 을 초과할 가능성이 낮은 지역은 석회, 규산질 비료, 용성인비, 등을 사용하여 중금속의 용해도를 낮추어 작물이행을 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광미사를 현위치에서 처리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Study on the the Emergence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the Mokpo Region (목포지역 민간 사회사업기관의 출현과 특징에 관한 연구)

  • Choi, Jeong-Mi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5 no.3
    • /
    • pp.209-235
    • /
    • 2014
  •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has formulated the formul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privat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the Mokpo region and has drawn the social background in their hidden side and social service-oriented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privat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rom 1897 when Mokpo opened its port to the late 1960s when private social services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practice processe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Mokpo.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of privat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the social desires of Mokpo residents played a major role. Second, even if private organizations played a large rol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social service, the government's support and Social support was confirmed to be essential for consistent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