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리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9초

논에 서식하는 거미의 조사(I) (Survey on the Spiders of the Rice Paddy Field ( I ))

  • 최성식;남궁 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3
    • /
    • 1976
  • 논에 서식하는 거미의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1975년 11월 4일부터 11일 사이에 전북지방의 답작지대에서 $1m^2$의 면적내에 서식하는 거미를 채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늦가을 논에 서식하는 거미의 우점종은 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dentatum), 황산적거미(Piratasubpiraticus), 혹황갈애접시거미(Gnathonarium gibberum), 등줄애접시거미(Oedothorax insecticeps)이다. 2. 단위면적$(1m^2)$당의, 평균서식밀도는 이리에서 125 마리, 진안 102마리, 부안 133마리, 대장 58마리였다. 3. 논거미로서 혹황갈애접시거미 (Gnathonarium gibberum), 착살가랑잎꼬마거미 (Enoplognatha japonica), 톱니애접시거미(Erigone prominens), 혹갈애접시거미(Erigonidium graminicola) 여덟점꼬마거미(Theridion octomaculaculatum) 들늑대거미 (Lycosa pseudoannulata), 가는줄맛거미(Dolomedes angustivirgatus) 등의 7종이 추가되어 우리나라의 논거미는 55종이 된다.

  • PDF

생명과학과 '두 문화' 문제 (Bio-Science and the Problem of 'Two Cultures')

  • 김환석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311-342
    • /
    • 2001
  • 우리나라에서 진행중인 생명과학의 윤리 논쟁에는 과학문화/인문문화라는 '두 문화' 차원만이 아니라, 고급문화/대중문화의 또 다른 '두 문화' 차원이 서로 중첩되어 있다. 이 글은 이렇게 보다 확대된 '두 문화'의 틀을 가지고 우리나라 생명과학 논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스노우의 과학문화/인문문화 틀로만 생명과학 논쟁을 들여다본다면 왜 과학자와 윤리학자 사이의 갈등이 생겨났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은 되지만, 그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는 이 두 전문가 집단의 의사소통과 신뢰를 위한 어떤 제안으로 머물고 마는 '전문가주의의 함정에 빠질 수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 고급문화/대중문화라는 제2의 틀을 합침으로써 전문가와 시민대중 사이의 괴리와 갈등이라는 문제가 비로소 부각이 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안을 구상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이리한 분석이 기존의 '두 문화' 논의에 대해서는 물론이요, STS의 문화적 역할에 대한 함의를 고찰하는 데에도 큰 시사점을 던져준다.

  • PDF

냉각수상실 사고시 격납용기로부터 누출되는 유체유량 추산을 위한 해석적 방법 (Analytical Methods of Leakage Rate Estimation from a Containment tinder a LOCA)

  • Moon-Hyun Ch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121-129
    • /
    • 1981
  • 많은 기존 공식중 세계의 가장 우수한 최대 유량공식을 찾아, 그 세개의 한계유량공식의 개요와, 냉각재상실사고시 격납용기격리에 실패하는 경우를 특정지을 수 있는 구멍의 크기와 격납용기의 압력 및 온도 등이 주어진 상태하에서 격납용기로부터 외부대기로 방출되는 개략적인 핵분열생성물의 양을 추정하기 위한 계산절차를 제시하였다. 이상기체의 임계유량공식과 이상유(two-phase flow)의 최대유량을 산출하기 위한 무디(Moody)의 도표를 이용하여 계산실예를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콘뎀프트-앨티(CONTEMPT-LT) 전산코드의 질량유출공식을 콘버징 노즐(converging nozzle)을 통과하는 음속류(sonic flow)의 경우에 적용하여 산출한 값과 비교하여 보았다. 이리하여 이상 기체의 임계유량공식은 무디(Moody)의 공식이 주는 값과 거의 비슷한 결과를 줌을 입증하였다. 또한 냉각재상실 사고시 격납용기로부터의 유출율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콘템프트-앨티(CONTEMPT-LT)의 질량유출공식을 사용하는 것보다 이상 기체의 최대유량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더 보수적인 방법임을 보여 주었다.

  • PDF

스터드 볼트 접합부의 인장 거동에 관한 연구 (Tensile Behavior of Stud Bolt Connections)

  • 이태석;김승훈;서수연;이리형;홍원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21-328
    • /
    • 2001
  • 본 연구는 인장력을 받는 스터드 볼트 접합부에서 주근과 전단보강근이 스터드 볼트의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내력과 변형 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주근과 전단보강근이 스터드 볼트 접합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8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은 주근과 전단보강근량의 각기 다른 5개의 실험체와 접합상세 개발을 위한 3개의 실험체로 구성되었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주근은 스터드 볼트 접합부의 인장내력 상승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단보강근의 증가는 최대 내력이후 급격한 취성파괴방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C형(폐쇄형, 개방형)보강근, U형 보강근을 사용한 접합부는 스터드 볼트 전합부의 연성거동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존실험결과 분석으로부터 CCD식에 의해 인장을 받는 접합부를 설계시, 강도감소계수를 0.75 ø로 사용할 것을 제시한다.

현미 및 백미의 수분흡수속도와 취반속도의 비교 (Comparison of Hydration and Cooking Rates of Brown and Milled Rices)

  • 송보현;김동연;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211-216
    • /
    • 1988
  • 현미를 Satake 시험 도정기로 무게비로 도감율이 8%가 되도록 도정하여 백미를 얻고, $30^{\circ}C$에서의 현미와 백미의 수분흡수속도를 비교하였다. 확산계수는 다수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보다 컸으며, 침지 초기에서의 현미의 확산계수는 겨층에 의하여 좌우되었다. 현미와 백미의 확산계수의 차이를 보면 백미는 현미에 비하여 일반계인 천마벼는 144배, 서남벼는 107배, 섬진벼는 109배, 다수계인 가야벼는 87배, 원풍벼는 75배, 이리 362호는 74배의 큰 값을 보였다. 현미 및 백미를 $110^{\circ}C$에서 취반하는 경우 취반 완료 시간은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취반속도 상수는 백미가 현미보다 $1.8{\sim}1.9$배 정도 빨랐다.

  • PDF

RC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의 뚫림전단성능평가 (An Evaluation on Punching Shear Capacity of R/C Flat Plate Slab)

  • 김종근;신성우;양지수;이리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05-213
    • /
    • 2003
  • RC구조물의 기둥과 같은 수직부재에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그리고 슬래브와 같은 수평부재에는 보통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경제적인 효율성은 물론 구조적인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 경우 슬래브와 기둥의 강도 및 강성차이로 인한 뚫림전단의 위험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기둥에는 $fck=460kgf/cm^2$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슬래브에는 $fck=285kgf/cm^2$의 보통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한 실물크기의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 실험체 6개를 제작하여 뚫림전단성능을 평가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기둥면으로부터 내민길이, 휨철근 추가에 의한 전단 보강근량이다. 실험결과 고강도 콘크리트 내민길이와 슬래브 휨철근 추가에 의한 전단보강은 최대내력의 증가와 뚫림전단저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최대하중 이후 실험체의 거동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변형:얼굴 스케치와 사진간의 증명가능한 영상변형 네트워크 (Image Translation: Verifiable Image Transformation Networks for Face Sketch-Photo and Photo-Sketch)

  • 숭타이리엥;이효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1-454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erifiable image transformation networks to transform face sketch to photo and vice versa. Face sketch-photo is very popular in computer vision applications. It has been used in some specific official departments such as law enforcement and digital entertainment. There are several existing face sketch-photo synthesizing methods that use feed-forward convolution neural networks; however, it is hard to assure whether the results of the methods are well mapped by depending only on loss values or accuracy results alone. In our approach, we use two Resnet encoder-decoder networks as image transformation networks. One is for sketch-photo and another is for photo-sketch. They depend on each other to verify their output results during training. For example, using photo-sketch transformation networks to verify the photo result of sketch-photo by inputting the result to the photo-sketch transformation networks and find loss between the reversed transformed result with ground-truth sketch. Likely, we can verify the sketch result as well in a reverse way. Our networks contain two loss functions such as sketch-photo loss and photo-sketch loss for the basic transformation stages and the other two-loss functions such as sketch-photo verification loss and photo-sketch verification loss for the verification stages. Our experiment results on CUFS dataset achieve reasonable results compared with the state-of-the-art approaches.

강한 기둥-약한 보로 설계된 철근 콘크리트 골조구조의 변형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n the Deformation Capacity of RC Frame Structure with Strong Column-Weak Beam)

  • 서수연;이리형;진세옥;최윤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25-233
    • /
    • 2003
  • 최근 성능에 근거한 설계법의 개발과 더불어, 변위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 RC 골조의 변위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골조의 횡변위를 계산하기 위해서 보와 기둥의 변형뿐만 아니라 정착부와 조인트 부분의 변형을 변위 산정시 고려하였다. 기존의 실험 및 계산결과의 비교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강한 기둥-약한 보의 설계개념을 설계된 다층 RC골조 건물에 적용하여 그 거동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보다 정확한 건물의 변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착부와 조인트의 변형을 반드시 반영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흰불나방의 피해(被害)와 분포조사(分布調査)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and Damage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urury)

  • 고제호;이상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39
    • /
    • 1968
  • 1. 흰불나방의 전국적(全國的)인 분포(分布)는 1967년(年) 현재(現在) 강릉(江陵, 영주(榮州), 대구(大邱) 이리(裡里) 및 광주지방(光州地方)에 까지 만연(蔓延) 발생(發生)되었다. 2. 흰불나방의 피해(被害)가 심(甚)한 수종(樹種)은 푸라다나스, 벗나무, 네군도단풍 포푸라 및 느릅나무 등(等)이였다. 3. 피해수(被害樹) 1본당(本當) 충소수(虫巢數) 정원수(庭園樹)가 7.0개(個), 가로수(街路樹)가 4.3개(個)로 정원수(庭園樹)의 피해(被害)가 심(甚)하였다. 4. 수고(樹高)가 6m~10m되는 수목(樹木)들이 피해본수(被害本數)도 많았고 본당(本當) 충소수(虫巢數)도 심(甚)한 피해(被害)를 나타내었다. 5. 흰불나방 충소(虫巢)는 수관(樹冠)의 상위부분(上位部分)보다는 중위(中位)와 하위부분(下位部分)에 많이 분포(分布)되었다. 6. 2화기(化期)의 피해율(被害率)은 1화기(化期)의 피해(被害)보다 55%가 증가(增加)되었으며 3화기피해(化期被害)는 1화기(化期)보다 18%가 감소(減少)되었다.

  • PDF

전라북도 이리지역의 20대 남녀 하악 제1대구치 우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ntal Caries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in the Age from 20 to 29 in Iri City, Chunrabuk-do)

  • 이인규;김연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99
    • /
    • 1986
  • In order to evaluate the community dental health level the actual health capacity of the lower-first permanent molar is suitable as a indicator for assessment. So we had surveyed decayed, missed and filled lower permanent first molar of 460 persons who were in the age from 20 to 29 in Iri Cit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MFT indices of the lower first permancent molars showed in 1.40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1.44 from 25 to 29. 2. The actual dental health capscities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showed in 84.86%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81.03% from 25 to 29. 3. The DMF indices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showed 15.15%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18.98% of from 25 to 29. 4. The DMF rates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showed 85.66%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88.70% of from 25 to 29. 5. The DMF rates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showed 70.00%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71.96% of from 25 to 29. 6. The DT rates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showed 48.84%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39.55% of from 25 to 29. 7. The FT rates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showed 40.22%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43.98% of from 25 to 29. 8. The MT rates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showed 10.94% in the age group of from 20 to 24 and 16.17% of from 25 to 2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