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득 차단 주파수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mm-wave용 전력 PHEMT제작 및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EMT for mm-wave)

  • 이성대;채연식;윤관기;이응호;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6호
    • /
    • pp.383-38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응용 가능한 AIGaAs/InGaAs PHEMT를 제작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에 사용된 PHEMT 웨이퍼는 ATLAS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DC 및 RF 특성을 최적화 하였다. 게이트 길이가 0.35 ㎛이고 서로 다른 게이트 폭과 게이트 핑거 수를 갖는 PHEMT를 전자빔 노광장치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게이트 길이와 핑거수에 따른 RF 특성변화를 측정 분석하였다. 게이트 핑거 수가 2개인 PHEMT의 DC 특성으로 1.2 V의 무릎 전압, -1.5 V의 핀치-오프 전압, 275 ㎃/㎜의 드레인 전류 밀도 및 260.17 ㎳/㎜의 최대 전달컨덕턴스를 얻었다. 또한 RF 특성으로 35 ㎓에서 3.6 ㏈의 S/sub 21/ 이득, 11.15 ㏈의 MAG와 약 45 ㎓의 전류 이득 차단 주파수 그리고 약 100 ㎓의 최대 공진주파수를 얻었다.

  • PDF

다차원 패턴기술을 이용한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Design of Wideband Microstrip Antenna using Multi-dimensional Pattern Technology)

  • 이호준;박규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2004
  • 본 논문은 wireless LAN 주파수 대역 (5725∼5825 MHz)에서의 다차원패턴기술(Photonic Band Gap : PBG)을 이용한 Yagi-Uda 안테나와 결합하여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구현하였으며, PBG Cell을 이용한 안테나와 이용하지 않은 안테나를 비교 분석하였다. PBG 구조를 적용한 안테나에서의 대역폭이 약 30 MHz 정도 더 넓게 나왔으며, 안테나의 이득 또한 1dB정도 더 높게 나왔는데 이는 Ground 면에 2차원적인 다차원 패턴 구조를 적용하여 안테나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전자파의 전송이 억제되도록 표면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PDF

고배속 광디스크 적용을 위한 외란 관측기 설계 (Disturbance Observer Design for a High Speed Optical Disk Drive)

  • 이주상;최진영;박노철;양현석;박영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70-1175
    • /
    • 2003
  • Recently, the disturbance caused by an optical disk vibration and the external vibration/shock are more serious problem in an optical disk drives (ODD) as an ODD become small size and rotation speed increases. The conventional controller cannot cope with the mentioned problems properly when the disturbance and vibration are larger than some range. Therefore, we propose a new control scheme using a disturbance observer (DOB) and it can control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e designed the controller is applied to a commercial ODD in focusing direction, then its validity is proved by experimental method. By rising the disturbance observer theory, the focusing performance is conspicuously improved in the presence of sinusoidal vibrations or a shock disturbance. This algorithm also applies to a tracking structure also, because focusing structure is very similar to it.

  • PDF

적응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DSRC와 ETC 상호간 간섭 제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nterference Cancellation between DSRC and ETC with Adaptive Array Antenna)

  • 정재승;이병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147-1155
    • /
    • 2000
  • ITS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5.8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설치는 상호간의 간섭을 발생시키며, 그 대표적인 경우로서 이종 통신 시스템인 DSRC 시스템과 ECT 시스템의 주파수 공유는 상호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양쪽 또는 한쪽 시스템이 통신 오류나 통신 방해를 받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차단벽(Shield Plate), 안테나 지향성(Antenna Directionality), 전력 제어(Power Control)의 이용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것은 원하는 사용자와 간섭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RSU에서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완전한 해결책이 괼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원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이득을 취하고, 간섭원의 방향으로는 null을 형성하는 적응 배열 안테나를 DSRC, ECT 시스템의 상,하향 링크에 적용함으로써, 두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이 약 20dB 감쇄된 것을 BER 성능을 통해 보인다.

  • PDF

PHEMT Passivation을 위한 ${Si_3}{N_4}$ (Studies on the deposition of ${Si_3}{N_4}$ for the passivation of PHEMT's)

  • 신재완;박현창;박형무;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1호
    • /
    • pp.25-3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PECVD 장비를 이용하여 PHEMT 소자의 passivation 막으로 사용되는 Si₃N₄박막의 특성을 최적화하고, 0.25 ㎛급 PHEMT 제작에 적용하였다. 제작된 PHEMT(60 ㎛×2 fingers)의 소자 특성을 측정한 결과, passivation 후 드레인 포화전류와 최대 전달 컨덕턴스는 passivation 전보다 각각 2.7% 와 3%씩 증가하였으며, 전류이득 차단 주파수는 53 ㎓, 최대 공진 주파수는 105 ㎓ 였다.

변조 도핑된 SMQW-PBH-DFB-LD의 고속변조 특성 (Fabrication of High Speed Modulation Doped SMQW-PBH-DFB-LD)

  • 장동훈;이중기;조호성;박경형;김정수;박철순;김흥만;편광의
    • 한국광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8-232
    • /
    • 1995
  • 초고속 광통신을 위한 고속변조용 단일모드 반도체 레이저로서 변조 도핑된 SMQW-PBH-DFB-LD를 제작하고 변조특성을 축정 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최소 임계전류는 16.0mA, 최대 slope efficiency는 0.275mW/mA였다. 고속변조를 위한 활성층의 변조도핑으로 소자의 내부손실은 $37cm^{-1}$로 크게 주어졌으나. 이득계수의 증가에 따라 선폭확대계수는 1.8로 감소되었다. 소신호 변조 특성 측정 결과, $46mA(I_{th}+30mA)$ 에서의 공진주파수 8GHz, -3dB 차단주파수 10GHz 이상으로서 고속변조 특성이 우수한 변조도핑된 SMQW-PBH-DFB-LD를 시험 제작하였다.

  • PDF

반원 형태의 UWB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Half-Circle Shape UWB Antenna)

  • 이효경;이정남;장화열;박종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932-94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UW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CPW 급전 구조를 이용한 평면형 반원 형태의 UWB 안테나를 설계, 제작 및 측정하였다. UWB 통신 주파수 대역(3.1 GHz${\~}$10.6 GHz) 내에 IEEE 802.1la(5.15 GHz${\~}$5.825GHz) WLAN 대역이 포함되어 있어 상호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주파수 대역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치 기능을 갖는 세 종류의 rectangular 슬롯, hat-shaped 슬롯, circle- shaped 슬롯 UWB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안테나는 슬롯의 길이와 폭을 변화시켜 주파수 조정이 가능하다. 측정결과, IEEE 802.1la WLAN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서는 무지향성을 갖는 평탄한 이득을 얻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도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60 GHz 무선 LAN의 응용을 위한 고이득 저잡음 증폭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igh-gain Low Noise Amplifier for 60 GHz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조창식;안단;이성대;백태종;진진만;최석규;김삼동;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11호
    • /
    • pp.21-2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60 GHz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응용을 위해 0.1 ㎛ Γ-gate 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PHEMT)를 이용하여 V-band용 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MIMIC)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HEMT의 DC 특성으로 드레인 포화 전류 밀도(Idss)는 450 mA/mm, 최대 전달컨덕턴스(gm, max)는 363.6 mS/mm를 얻었으며, RF 특성으로 전류이득 차단주파수(fT)는 113 GHz, 최대 공진 주파수(fmax)는 180 GHz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의 개발을 위해 PHEMT의 비선형 모델과 CPW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PHEMT 기반의 MIMIC 공정을 이용해 제작되었으며,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의 측정결과, 60 GHz에서 S21이득은 21.3 dB, 입력반사계수는 -10.6 dB 그리고 62.5 GHz에서 출력반사계수는 -29.7 dB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V-band MIMIC 저잡음 증폭기의 잡음지수 측정결과, 60 GHz에서 4.23 dB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MHEMT를 이용한 광대역 특성의 밀리미터파 Cascode 증폭기 연구 (Research on Broadband Millimeter-wave Cascode Amplifier using MHEMT)

  • 백용현;이상진;백태종;최석규;윤진섭;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4호
    • /
    • pp.1-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광대역 특성을 갖는 MHEMT (Meta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cascode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Cascode 증폭기 제작을 위해 먼저 $0.1{\mu}m$ InGaAs/InAlAs/GaAs MHEMT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MHEMT는 드레인 전류 밀도가 670 mA/mm이고, 최대 전달컨덕턴스(gm)는 688 mS/mm이며, 주파수 특성으로 전류이득 차단 주파수($f_T$)는 139 GHz, 최대 공진 주파수($f_{max}$)는 266 GHz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설계된 cascode 증폭기는 회로의 발진을 막기 위해서 저항과 캐패시터를 commom gate 소자의 드레인이 병렬로 연결하였다. Cascode 증폭기는 CPW (Coplanar Waveguide)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정합회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증폭기는 본 실험실에서 개발된 MHEMT MMIC 공정을 이용해 제작되었다. 제작된 cascode 증폭기의 측정결과, 3 dB 대역폭이 20.76$\sim$71.13 GHz로 50.37 GHz의 넓은 대역 특성을 얻었으며, 대역내에서 평균 7.07 dB 및 30 GHz에서 최대 10.3 dB의 S21 이득 특성을 나타내었다.

경로 손실 변화의 보상이 가능한 77 GHz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을 위한 65 nm CMOS 베이스밴드 필터 (65 nm CMOS Base Band Filter for 77 GHz Automotive Radar Compensating Path Loss Difference)

  • 김영식;이승준;어윤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151-115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77 GHz 자동차 레이더 시스템에서 거리가 달라도 일정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밴드 필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DCOC(DC Offset Cancellation) loop 회로를 이용하여 DC offset을 제거함과 동시에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의 크기 차이를 이득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측정 결과, 이득은 최대 51 dB의 크기를 가지며, 고역 통과 차단 주파수는 5 kHz에서 15 kHz까지 가변 가능하게 하였다. 거리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고역 통과 필터의 기울기는 거리 보상 범위를 위해 -10~-40 dB/decade로 가변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1 V의 전압에서 전류 소모는 4.3 mA이며, 측정된 NF는 26 dB이고, IIP3는 +4.5 dBm을 가진다. 칩은 65 nm CMOS 공정을 사용하였으며, 입출력 패드를 제외한 크기는 $500{\mu}m{\times}1,050{\mu}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