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동억제효과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36초

킹크효과 억제를 위한 새로운 f-모양 트리플게이트 구조의 저온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Novel F-shaped Triple Gate Structure for Suppression of Kink Effect and Improvement of Hot Carrier Reliability in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hin-Film Transistor)

  • 송문규;최성환;국승희;한민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416-1417
    • /
    • 2011
  • 킹크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f-모양 트리플게이트 구조를 가지는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는 추가적인 공정과정 없이 제안 및 제작되었다. 이러한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에는 순차적인 횡방향 고체화(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SLS)나 CW 레이져 횡방향 결정화(CW laser Lateral Crystallization, CLC)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횡방향으로 성장시킨 그레인이 있다. 이 소자의 전체적인 전류흐름은 횡방향으로 성장시킨 그레인 경계에 강력하게 영향을 받는다. f-모양 트리플게이트에는 횡방향으로 성장시킨 그레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 채널, 그리고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한 채널이 있다. 이 소자는 f-모양 게이트 구조에서의 비대칭 이동도를 이용하여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킹크효과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되었다. 우리의 실험 결과는 이 논문에서 제안된 f-모양 트리플게이트 박막트랜지스터가 기존의 박막트랜지스터와 비교할 때 더 효과적으로 킹크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온 캐리어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신뢰성도 개선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혈관내피세포에서 curcumin이 ICAM-1 및 VCAM-1발현에 미치는 효과 (Curcumin's Effect on ICAM-1 VCAM-1 Expres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김경수;나철;신병철;권영달;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
    • /
    • 2008
  • 목 적 : 동맥경화 유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착분자는 혈관내피세포가 염증성 물질에 자극 받아서 생성된다. 본 연구는 항염증성 curcumin이 혈관내피세포 부착분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 법 : 혈관내피세포는 HUVEC을 사용하였고, 염증성 물질 $TNF-\alpha$로 자극하였다. 결 과 : Curcumin은 부착분자 VCAM-1 및 ICAM-1 발현을 억제시켜, 혈관내피세포에 백혈구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였다. Curcumin은 ICAM-1 및 VCAM-1 promoter 활성을 억제하였고, 또한 억제 kB의 인산화를 차단하였다. Curcumin은 NF-kB p65의 핵내 이동을 차단하였고, 세포내 ROS 양을 감소시켰고, JNK 및 p38 인산화를 억제시켰다. 그러나 curcumin은 TNF 수용체 I및 II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결 론 : Curcumin이 NF-kB 비활성화 및 p38과 JNK의 기능저하를 매개로 VCAM-1 및 ICAM-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hibition of Chitin Sulfate on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Oxidation by Macrophages

  • Ryu, Beung-Ho;Yang, Seung-Taek;Moon, Yoon-He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48
    • /
    • 2001
  • 본 연구는 동맥경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사람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chitin sulfate의 산화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사람 LDL을 쥐의 마크로파지 유도 oxidized LDL로 산화시킬 때 chitin sulfate를 첨가하여 TBARS와 전기영동에 의한 이동상 및 $O_2$소거 기능을 확인하였다. 사람 LDL에 macrophage를 이용해서 LDL을 산화시킬 때 chitin sulfate를 50~100 $\mu$M 첨가하였을 때 억제 효과가 높았으며, chitin sulfate를 100 $\mu$M 첨가하였을 때 LDL의 산화가 거의 억제되었고, 전기영동에 의한 이동거리도 100 $\mu$M chitin sulfate에서 완전히 억제되었다. 그리고 phorbol myristate acetate를 처리한 마크로파아지 유도 활성 산소의 소거 효과는 chitin sulfate의 농도가 100$\mu$M일 때 거의 소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hitin sulfate는 동맥경화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산화방지, 산화질소 제거 및 암세포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effect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pancreatic cancer cell proliferation)

  • 박민경;윤혜지;이화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9-215
    • /
    • 2018
  • 치자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분획-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와 뷰탄올 분획의 폴리페놀 함량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함을 하였고,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와 환원력 실험에서 강력한 라디칼 제거와 환원능력을 나타냈다. 또한 치차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의 라디칼 제거 활성을 세포수준에서 평가한 결과, LPS로 활성화된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발생하는 과량의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였고,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췌장암 세포주의 증식과 이동성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이 라디칼 제거효과, 과산화수소 유도형 암세포의 증식과 이동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치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GJ-EA)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and Cholesterol on Sperm Swim-up Separation through Sucrose Layer)

  • 김경화;여영근;박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0
    • /
    • 1998
  • 난포액에 함유되어 있는 steroids와 sterol이 수정에 참여하는 정자의 주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이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rogesterone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억제하였으나 수정능획득한 정자를 유인하였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progesterone은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2. Estradiol 17 beta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이 억제되었으나, 10$\mu$g/ml 수준의 estradi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 및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자극하였으나,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4. Progesterone, estradiol 및 cholesterol의 병용처리에서,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나, progesterone과 estradiol은 이러한 cholesterol의 효과를 감소시켰다. Progesterone은 수정획득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이나 cholesterol은 progester-one의 이러한 효과를 억제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rogesterone은 50$\mu$g/ml 첨가수준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swim-up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며, cholesterol은 5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은 1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수용성 EPCR에 의한 활성화된 단백질 C의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 (Effect of Soluble EPCR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ctivated Protein C)

  • 배종섭;박문기;박상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501-50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혈관내피세포에서 활성화된 단백질 C(Activated Protein C, APC)의 항염증 작용에서 수용성 EPCR(Soluble Endothelial Protein C Receptor, sEPCR)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sEPCR은 APC가 매개하는 항염증 작용에 있어 내피세포막의 보호효과를 저해하고,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백혈구의 부착저해 효과를 억제하며, 혈관내피세포를 관통하는 백혈구의 이동을 저해하는 효과를 억제한다. 그리고 흥미롭게도 sEPCR은 내피세포에서 TNF-alpha에 의한 세포부착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APC의 기전을 저해함으로써 APC가 가지는 항염증 효과를 억제한다. 이것은 APC의 Gla 도메인이 내피세포의 수용체인 EPCR에 결합할 수 있는 부위에 sEPCR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더 이상 APC이 세포막에 존재하는 EPCR과 결합을 못함으로써 APC의 항염증 작용은 억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향후 중증 패혈증 및 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약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고 내피세포에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APC의 항염증 작용의 기전을 밝히는 데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Renal epithelial cells에서 oxidant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황금(黃芩)의 영향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on Oxidant-Induced Apoptosis in Renal Epithelial Cells)

  • 이동준;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5-85
    • /
    • 2004
  • 목적 : 黃芩(황금)과 黃芩(황금)의 주요 flavonoid 성분인 baicalein이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에서 산화제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 세포를 유기산화제인 t-butylhydroperoxide (tBHP)에 노출시켜 apoptosis를 일으킨 후 관련된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tBHP는 농도에 의존하여 apoptosis를 유발시켰는데, 이러한 효과는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지 되었다. tBHP에 의한 OK 세포사는 항산화제인 Trolox와 N-acetylcysteine에 의해 방지 되었다. tBHP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subfamily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를 활성화시켰다. ERK 억제제인 PD98059와 U0126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ERK 활성화는 U0126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철착염제인 deferoxamine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과 ERK 활성화를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은 casopase 억제제인 BOD-U-FMK와 zDEVD-FMK에 의해 방지되었다. 결론 : 黃芩(황금)은 산화제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는데, 이는 kinase 억제, 항산화제 역할 및 철착염제의 작용에 기인하지 않았다. 黃芩(황금)의 이러한 효과는 산화제에 의관 신부전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Murine 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구실잣밤나무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astanopsis cuspidata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고영종;송상목;현우철;양수경;송창길;이동선;윤원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39-446
    • /
    • 2014
  • 본 연구는 구실잣밤나무(C. cuspidate) 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이 염증성 매개인자 생성 저해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짐에 따라, 구실잣밤나무를 대상으로 80% 에탄올를 가지고 추출한 후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구실잣밤나무 80%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들이 염증반응의 주체가 되는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억제효과, 그리고 iNOS와 COX-2의 mRNA와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 및 IL-6와 IL-$1{\bet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 LPS로 자극을 주고 구실잣밤나무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NO의 생성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는 iNOS와 COX-2 생성 억제 효과가 다른 분획물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능도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IL-6와 IL-$1{\beta}$에서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실잣밤나무 잎에서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염증 물질의 연구 또는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구실잣밤나무 추출물로부터 염증억제 성분을 도출하고자 활성분획인 디클로로 메탄 분획물에 대하여 활성성분의 분리가 진행 중이다.

Macrophage 유도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수식에 대한 Streptomyces sp. BH-405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treptomyces sp. BH-405 on Macrophage Mediated Modific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 류병호;박종옥;김희숙;김민정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56-161
    • /
    • 2000
  • 해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정제하여 얻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획분 band 2 에 대하여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획분 band 2는 LDL에 대한 $5\mu\textrm{m}$ $CuSO_4$ 의 유도 산화를 측정한 결과 100 및 200 $\mu\textrm{g}$/mL에서 LDL의 산화억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band 2를 이용한 macrophage 및 J774 유도 LDL의 수식에 대한 항상화 효과도 native LDL에 비하여 높았다. 이때 같은 농도의 band 2를 첨가하여 산화 LDL의 전기영동의 이동거리를 측정한 결과 native LDL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Oxid LDL의 대조군보다는 이동거리가 낮으며 공액2중결합의 생성억제 효과도 있었다. 사람 LDL의 산화에 대하여 macrophage 및 내피세포를 이용하여 125I-LDL 산화에 대하여 band 2를 각각 100 및 200 $\mu\textrm{g}$/mL씩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사람 LDL의 분해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용량 의존형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