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네비게이션

Search Result 28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f Web Navigation Design to Improve Usability of Old-aged Users (고령자의 사용편의성 향상을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Bae, Yoon-Sun;Lee, Hyun-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09-214
    • /
    • 2006
  •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경쟁력이 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고령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고자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을 제안하였고 30 명의 고령자 그룹을 대상으로 정보 검색 소요 시간, 오류발생 측면,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측정된 정보 검색 소요 시간은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비디오 분석과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령자에게 이상적인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페이지의 상단에 가로로 길게 위치한 글로벌 메뉴 아래에 세로로 서브 카테고리 메뉴가 나타나는 유형이며 롤오버 메뉴와 단계적으로 분류된 메뉴, 크게 처리된 본문과 레이블, 움직이지 않는 이미지가 고령자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편의성을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가 효율적으로 오류 없이 정보를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으며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개발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계층의 인터넷 사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User's Intend-based Navigation System using Ontology on Mobile (모바일 환경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사용자 의도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

  • Choi, Young-Soo;Yang, Hyu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59-61
    • /
    • 2011
  • 스마트폰 사용자 1천만 시대가 도래하였다. 올해 안에 스마트폰 가입자가 2천만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면서 소위 대박을 꿈꾸는 스마트 폰 앱 개발의 열풍에 불을 지피고 있다[1].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관련 앱도 속속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2]. 하지만 최근 출시된 네비게이션 앱이라 할지라도 기능상으로는 기존 네비게이션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스마트폰 가입자의 30% 가량이 20대 이하의 연령임을 고려해 볼 때 비운전자를 타켓으로 한 네비게이션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3].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비게이션에서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순한 시스템을 벗어나 비운전자라도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사용자 의도에 기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이라는 가정 하에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온톨로지는 사용자 의도를 추론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 PDF

Efficient Navigation for Device Independent Web Browsing (디바이스 독립적 웹 브라우징을 위한 효과적인 네비게이션)

  • 김회모;이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445-44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를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에 적합하도록 동적으로 변환하는 트랜스코딩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웹 표준인 CC/PP프로파일을 지원한다. 원본 컨텐츠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기술할 수 있도록 정의한 어노테이션을 바탕으로 웹 페이지를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분할된 다수의 페이지에 대한 계층적 정보인 네비게이션 웹을 동적으로 생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분할된 페이지간의 네비게이션을 돕기 위한 네비게이션 페이지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의 어노테이션 저작을 돕기 위한 어노테이션 저작 도구를 구현하였다.

  • PDF

Scorm-based Sequencing & Navig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Learning (Scorm 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시퀀싱 & 네비게이션 모델)

  • Doo, Chang-Ho;Lee, Jun-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6
    • /
    • pp.189-196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orm-based Sequencing & Navig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Learning. It is an e-Learning process control model that is used to efficiently and graphically defining Scorm's content aggregation model and its sequencing prerequistites through a formal approach. To define a process based model uses the expanded ICN(Information Control Net) model. which is called SCOSNCN(SCO Sequencing & Navigation Control Net). We strongly believe that the process-driven model delivers a way of much more convenient content aggregating work and system, in terms of not only defining the intended sequence and ordering of learning activities, but also building the runtime environment for sequencing and navig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experiences.

An implementation on Network-free Green Navigation on Android Platform (네트워크-프리 안드로이드 그린 네비게이션 구현)

  • Lee, Joo-Young;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284-286
    • /
    • 2014
  • 여행자들은 여행 중 지도나 네비게이션 (Navigation) 어플리케이션을 종종 사용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도 지도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비용을 지불하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야 하며 실시간으로 많은 지도 이미지를 보여주게 되어 네트워크 비용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많은 배터리를 소모하는 문제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행자들의 네트워크 비용 부담을 줄이고, 여행 중 충전이 어려운 스마트폰의 배터리 사용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목적지를 안내해주는 안드로이드 기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비네트워크 그린 네비게이션(Network-free Green Navi) 라고 명한다. 비네트워크 그린 네비게이션은 최소한의 발광 이미지를 사용하며 오직 GPS 센서만을 사용해 간단하게 목적지를 안내해준다. 이는 여행 중 문제가 되는 요소를 단순하지만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Business Method Developing a "Walking" Navigator for Street Shoppers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 Lee, Jong-Deok;Hwang, Kee-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3
    • /
    • pp.129-141
    • /
    • 2008
  • Portable navigation markets grew up to 95% last yea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usiness model for pedestrian-oriented portable navigator for street shoppers. Related previous studies developed successfully the alogrithm for a portable navigator, and the current study seeks for diverse ways to turn this system into a new type of on & off line-based LBS business. The business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dopted two different approaches of benefit yields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so-called Wanavi navigation system. One is segmented approach seeking for benefits from each individual system component such as communication network, contents, and platform. The other approach is to run the business by integrating relevant system componts in every possible way to attract customers to this portable navigator. The purpose of this proposal is not limited to activate emerging walking navigator markets, but to aim at creating idealistic free market system where all the shoppers are furnished complete market information to the fullest extent when they go on shopping.

Sex Differences in Preference Style for Navigation Design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있어 성별에 따른 선호 스타일 연구)

  • Kim Soon-Deok;Seo Jong-Hw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8 no.3
    • /
    • pp.221-229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behaviors in website design and demonstrate a practical basis for utilizing these differences into more user-centered design concept.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sex-different preferen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of website navigation. First, We investigated gener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cognitive behaviors through various literature studies.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men's cognitive works generally tend to follow a regular sequence and proceed step by step. On the other hand, women's cognitive style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random generation and simultaneous progress. To examine that these differences can be found in use of website navigation, we made an experiment in website design. We designed several test websites that have same contents but different style of navigation structure. A similar number of men and women were chosen for this test and they implemented given tasks. During the test, participants reported their preference on each websites and their implementing time and number of error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est data,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at mal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navigation with a narrow and deep information structure is relatively higher than femal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same navigation, On the other hand, female participants have a preference of the navigation with a broad and swallow information structure.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ex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navigation types and the general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behavior. This finding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the website navigation in which sex differences are reflected.

  • PDF

A study on the Use and Implications of a Facet-based Navigation: focusing on the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패싯 기반 네비게이션 활용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 Cho, MiRa;Oh, Sam 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57-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패싯 기반 네비게이션의 제공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이용자들이 얼마나 이용하는 지 간단한 실험과 설문지를 통하여 이용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패싯 기반 네비게이션의 제공현황 및 이용현황 연구를 기반으로 더 나은 패싯 기반 네비게이션 구축을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Chi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on the Navigation Design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중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 Feng, Jianan;Seo, Jonghwan
    • Smart Media Journal
    • /
    • v.9 no.2
    • /
    • pp.63-68
    • /
    • 2020
  •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user experience in mobile device interaction is navigation design. Navigation design plays a key role in enabling users to perform their desired functions and to access the information and content they need by mobile applications. In this process, differenc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users may affect the navigation design, and thus the user experience may represent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compared the navigation design of popular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analyzed the reasons. Based on this comparison, we proposed that the Chinese preferred rich information, colorful images and various menu styles, while Americans preferred simple designs, layouts and limited types of menu. In addition, two types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 navigation design schemes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nese and American users' preference, and the validity of our study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The development of photo navigation app uses gps (사진의 GPS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앱 개발)

  • Jang, Eun-Gyeom;Seo, Eun-Bok;Choi, D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03-204
    • /
    • 2016
  • 본 프로젝트는 Tmap을 사용해서 사진의 GPS 정보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App이다.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 및 환경은 GPS가 탑재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GPS를 활용한 사진 촬영의 경우, 사진에 포함된 경/위도 위치 값을 활용한 네비게이션 기능이다. 인터넷 및 디지털 사진의 경우 멋진 풍경이나 맛집, 행선지 등의 사진을 보고 장소가 어디인지? 또는 가보고 싶은 장소가 있다. 이러한 사진의 촬영 장소는 GPS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경우, 정적인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만 된다. 이렇게 정적인 지도의 위치 값을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동적으로 쉽게 사진 속 장소를 쉽게 찾아 갈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약속장소를 잘 못 찾을 때 현재의 네비게이션 주소를 알면 상대가 기존 네비게이션을 활용하여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주소나 상점 등위치 정보를 모를 때 상대에게 약속 장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 위치를 사진을 찍어 전송하면 그 사진에 포함된 경/위도 위치 값을 활용한 길 안내와 실제 촬영한 이미지를 함께 보면서 약속 장소를 찾아가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