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향

검색결과 807건 처리시간 0.031초

의류매장 매니저와 20대 소비자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Mass Customization Adoption in the Apparel Industry: Retail Managers' and Young Consumers' Point of View)

  • 김수연;;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68-97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산업 리테일 매니저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과 의류소비자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제품 구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특성적 요인을 분석함에 있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을 결정하는 4가지 특성적 요인으로, 기업, 개인, 기술, 환경적 특성이 제시되었다. 66명의 매니저와 274명의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제시된 가설 중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류매장 및 매니저의 기술, 환경적 특성, 그리고 의류소비자의 개인, 기술, 환경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술적 특성이었는데, 개인 주문생산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소비자와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기술 환경적 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3D Body Scanning, QR, IT 기술들의 필요성 인지도 및 도입 의향과,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과는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또 한가지 결실은, CRM 도입에 대한 매니저 및 소비자의 높은 관심도였다. 의류소비자 개개인의 니즈에 맞춘 생산 설계를 통한 유연생산시스템과 함께, 고객과 직접 교류하는 소비자 중심의 경영은 메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의 발판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 특성, 미디어 이용과 위성 DMB의 수용 : 지역 시청자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The TV Audience's Traits, Media Usage and the Adoption of the Satellite DMB : Focus on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Local TV Audience)

  • 이시훈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141-169
    • /
    • 2005
  • 본 연구는 새로운 뉴미디어로 부상하고 있는 위성 DMB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시청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미디어 이용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령별로 고연령층이, 학력별로 고학력 계층이, 자동차 운전 여부에 따라서는 운전자들이 위성 DMB 가입 의향이 상대적으로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사무/관리직이나 경영/관리/전문/자유직과 같은 화이트칼라 계층의 가입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가족 소득은 중간 정도인 집단의 가입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미디어 이용과 휴대폰 서비스 이용 정도에 따른 위성 DMB 가입 의향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기존 미디어를 많이 이용하는 시청자가 가입 의향이 높았으며, 휴대폰부가 서비스의 기능도 많이 이용한다는 응답자들이 위성 DMB의 가입 의향이 높았다. 추가적으로 선호하는 장르와 지상파 재전송이 지역방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응답자들은 위성 DMB의 영상과 음성 서비스는 오락적 성격이 강한 장르를 선호하고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는 정보적 성격이 강한 장르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일 지상파 재전송이 허용된다고 해도 지역방송에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 PDF

정신장애인에 대한 친숙함이 차별에 미치는 영향 - 두려움과 도움의향을 매개로 - (The Effect of Familiarity with Mental Illness on the Discrimination - Mediating Effect of Fear and Helping response -)

  • 이민화;서미경;최경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75-96
    • /
    • 2016
  • 본 연구는 접촉이론에 근거하여 정신장애인과의 다양한 접촉경험을 통한 친숙함이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돕고자 하는 의향을 증가시켜 차별을 의미 있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전국에서 표집된 성인 922명을 대상으로 조현병, 우울증, 알코올중독의 모의 사례 중 1사례를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제시된 해당사례에 대한 친숙함이 두려움(경로 1)과 도움의향(경로 2)을 매개로 차별에 대한 예측력을 Baron과 Kenny의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현병의 경우, 경로 1과 경로 2 모두 지지되어 조현병 사례에 대한 친숙함은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도움의향을 증가시켜 차별을 의미 있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의 경우, 경로 2만 지지되어 우울증 사례에 대한 친숙함은 도움의향을 증가시켜 차별을 의미 있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알코올중독의 경우 친숙함이 차별을 의미 있게 예측하지 못해 정서의 매개효과 뿐만 아니라 직접 효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정신장애 유형별로 반낙인 전략이 달라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 PDF

사이버수업에서 학업스트레스, 성취동기, 학습환경, 학교몰입,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tress,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environment, School flow, Learning persistence in Cyber Education)

  • 주영주;정애경;한애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3-8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수업에서 학업스트레스, 성취동기, 학습환경, 학교몰입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 2학기 S 사이버대학의 879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에는 성취동기를, 학기 말에는 학업스트레스, 학습환경, 학교몰입, 학습지속의향을 조사하는 총 2차에 걸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 성취동기, 학습환경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둘째, 학업스트레스, 성취동기, 학습몰입은 학업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학습환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스트레스와 성취동기, 학습몰입이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한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데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농림어업종사 노인의 자살 의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Suicide Intention of Elderly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이향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08-214
    • /
    • 2021
  • 도시화 진전으로 도시에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농촌지역 또는 도시지역으로 구분해 노인들의 자살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보다는 직업(농림어업 종사)에 따른 노인들의 자살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순위 프로빗 모형을 이용해 농림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노인의 자살 의향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로움을 느끼는 농림어업 종사 노인의 자살 의향은 3.0% 증가, 일에 대한 가치를 소중히 느끼는 경우 자살 의향은 1.1% 감소, 지역의 소속감을 강하게 느끼는 경우 자살 의향은 2.7% 감소한다. 그리고 매일 만나는 가족이나 친척이 많을수록 농림어업 종사 노인의 자살 의향은 2.5% 감소한다. 하지만 동거 가족수가 매년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족(또는 친척)의 대면 접촉 확대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농림어업 종사자의 외로움이나 가족(친척) 대면 접촉의 한계를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증진 활동 노력과 연계하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지속적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자기감시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Online Childrearing Communi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 이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26-536
    • /
    • 2021
  • 본 연구는 어떤 요인들이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지속적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 지속적 참여 의향 영향 가능 요인으로 커뮤니티 특성 차원에서는 신뢰, 호혜성 및 인지된 보안성을 도출하였고, 이용자 차원에서는 명성 동기, 정보 동기, 즐거움 동기 및 자기감시성 요인을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이들 요인들이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 지속적 참여 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자기감시성이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 역시 검증하였다.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에 현재 가입해 있는 20-40대 사이의 여성 응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뢰, 호혜성과 정보 동기가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 지속적 참여 의향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감시성은 호혜성과 지속적 참여 의향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학생의 도박특성이 향후 도박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mbling Characteristics on the Future Gambling 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박완경;이수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35-445
    • /
    • 2021
  • 최근, 청소년 도박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도박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도박참여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에서 실시한 2018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 10,228명을 대상으로 𝑥2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학년, 용돈, 부모의사소통은 향후 도박참여의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박특성 중 도박심각성 및 지출 인식, 도박참여빈도, 도박참여시간, 도박비용, 추격행동경험, 문제도박 수준이 향후 도박참여의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학년, 도박심각성인식, 도박빈도, 추격행동, 문제도박수준이 향후 도박참여의향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도박문제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호스피스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to Advance Directives and Hospice Perception)

  • 이금주;최예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81-19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호스피스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로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후 간호 대학생들의 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향후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올바르고 현명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고자 하며 적극적인 대처로 간호 전문직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제정된 일명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후, 연명의료의향서제도에 대한 지식을 간호 대학생들에게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로 간호 대학생들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호스피스 인식정도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기반으로 간호 대학생들이 향후 다양한 실무현장에서 임종환자 간호와 연명의료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대상자에 대한 긍정적인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추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rried Women's Couple Equality on the Intent to Additional Childbirth)

  • 이단비;남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79-389
    • /
    • 2022
  •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이 인지하는 부부 평등성과 출산 행위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인인 추가출산 의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기혼 여성 10,35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과 카이 제곱 검정 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변수와 추가출산 간 관련성 분석을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층화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부 평등성이 가장 낮은 0점 그룹 기준 4점 그룹은 2.01배 추가출산 의향이 높았다. 또한 3점 그룹과 2점 그룹은 각각 1.46배, 1.41배 높아 부부 평등성과 추가출산 의향이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 외에 자녀 수가 많을수록, 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아내가 비정규직이거나 무직일 경우 기혼 여성의 추가출산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부부평등성에 초점을 맞춰 추가출산 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출산율 제고를 위해 거시적 차원의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SNS를 떠나는 사람들 : 사용자의 특성과 SNS 피로감 중심으로 SNS 중단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특성 (Why do people leave SNS? : The Influences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SNS Fatigue)

  • 이은지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19
    • /
    • 2018
  • SNS의 폭발적인 성장 이면의 부작용으로 최근 SNS 사용자들은 피로감(SNS Fatigue)을 호소하며,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SNS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피로감이 서비스 지속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혀왔지만, 사용자의 특성들이 SNS 피로감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규명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특성(인구구성학적 특성, 성격 특성, SNS 이용 특성)에 집중하여 (1)이에 따른 SNS 피로감 지각과 SNS 중단의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2) 사용자의 특성(인구구성학적 특성, 성격 특성, SNS 이용 특성)이 SNS 중단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존감 수준이 낮은 사용자는 자존감 수준이 높은 사용자 보다 더 높은 SNS 피로감과 중단의향을 나타냈으며, 20대 사용자는 40대 사용자보다 더 높은 SNS 중단의향을 보였다. 또한, 사용자의 연령과 자존감 수준이 낮을수록 SNS 중단의향이 높았으며, 피로감 수준이 높고 여성 사용자의 경우 SNS 중단의향이 높았다. 본 연구는 SNS 피로감 외에도 사용자의 여러 가지 특성이 SNS 중단의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조명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SNS 시장에 실무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