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약품 공급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volution of Medicinal Crop Industry as the Bio-resources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생물산업 소재인 약초 산업의 진화)

  • Park, Chun-Geon;Kang, Yong-Ku;Choi, Ae-Jin;Lee, Jeong-Hoon;Woo, Jong-Gyu;Park, Chung-Ber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8-8
    • /
    • 2011
  • 인류는 자연으로부터 식량과 질병 치료를 위하여 자연스럽게 약초를 얻을 수 있었다. 약 6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무덤에서 오늘날 향료로 쓰이는 약초가 발견 될 정도로 인류가 약초를 이용한 역사는 오래 되었다. 약초는 난치병, 노화, 성인병 등 현대의학에서 미비점을 보완하는 대체의약 산업의 원료이자 새로운 생물자원의 보고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새로운 생물자원 소재로 약초는 약용성분을 함유한 식물자원의 확보 및 개발 등 고부가산업의 소재로 선진국에서 연구개발의 경쟁이 치열하며, 약초산업은 천연소재 신약과 기능성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중요한 생명산업으로서 약초는 한약뿐 아니라 신약 개발을 위한 소재로도 부각되고 있으며, 항암제인 택솔,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 등 천연물 약의 가능성은 이미 증명되었다. 식품 분야에서는 재배기술 발달과 웰빙 트렌드 속에서 약초는 신선채소와 기능성 식품으로 변신하고 있다. 한약재의 이미지를 벗어난 약초는 음료와 과자, 술 등으로 활용되고, 비빔밥 등 다양한 약선음식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산업소재의 활용분야에서는 약초는 특히 화장품 산업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미 다양한 화장품 회사에서 한방화장품을 출시하여 세계 속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약초는 천연 색소이자 생활 용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데, 약초를 활용한 염색약과 여성 생리대, 샴푸 등의 인기가 높다. 약초산업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하여 한약재 위주의 약초산업을 천연물 신약, 기능성 식품, 화장품, 산업 소재 등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확장시키고, 우리 약초 산업의 세계화를 추진해야 한다.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을 반영하여 연구 방향을 수립하고, 산학연 및 생산자단체 등과 새로운 약초 산업의 블루오션 창출을 위해 협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약초의 생산기술 안정화를 통해 산업화 기반을 구축하여, 약초 공급의 안정화, 약초 생산 농가 소득 안정화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변해가는 약초 산업의 트렌드에 부응할 수 있는 품질관리와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한 정책과 제도의 선진화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morbidity in Korean peninsula due to sand dust using satellite aerosol observations (위성기상자료를 활용한 황사에 따른 한반도 국민 건강영향평가)

  • Choi, Minyoung;Kim, Hyunglok;Kim, Sangman;Choi, Minha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2 no.5
    • /
    • pp.499-509
    • /
    • 2016
  • The occurrence of sand dust has been steadily increased since 1990 and the amount of damage was also increased. In most of previous studies, ground based observations were used for sand dust analyses, but its high spatio-temporal variability has not been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satellite aerosol observations were used to overcome current limitations of the sand dust variability in space and time and to estimate associations with morbidity of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ailments. In general, high AODs were observed in the west part of the Koran peninsula in spring. The reasonable associations between the morbidity and sand dust were observed from April to July with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0.6) at three month lags (lag 3).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a utility of the satellite aerosol observations for sand dust analyses by considering of morbidity effects. In addition, health effect against the sand dust is proved to be examined and smooth medical supplies and prevention of undesired medical expenses would be possible.

Biosynthesis of Organic Germanium Using Cordyceps militaris (동충하초를 이용한 유기게르마늄의 생산)

  • Kim, Seung;Kim, Jae-Sung;Sapkota, Kumar;Choi, Bong-Suk;Park, Se-Eun;Park, Yeal;Chun, Hong-Sung;Yoo, Jin-Cheol;Choi, Han-Seok;Kim, Myung-Kon;Kim, Sung-Ju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34 no.2
    • /
    • pp.84-87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duce a high quality medicinal mushroom Cordycops militaris supplemented with organic Ge. Cordycops militaris was cultivated in SDAY liquid medium containing yeast extract 10 g, peptone 10 g, glucose 40 g per liter and chrysalis media supplemented with inorganic Ge at 100, 500, 1000, and 5000 ppm concentrations. The greatest organic Ge production of 442.4 ppm/g and 284 ppm/g were observed in SDAY liquid and Chrysalis media cultures supplemented with 100 ppm inorganic Ge respectively. Similarly, 4,509.7 ppm/g and 1,058 ppm/g of organic Ge were obtained from liquid and chrysalis media cultures supplemented with 5,000 ppm and 1,000 ppm inorganic Ge, respectively. In addition, higher concentration of organic Ge was obtained in mycelia than fruiting bod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Ge increase with decreasing inorganic Ge concentration in the medium. This is the first report on production of high valuable Cordyceps militaris contained with organic Ge.

The Effects of Mulberry Fruit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Serum Mineral Contents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of Middle-Aged Humans Living in Choongnam Area (오디추출물 급여가 충남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중년 남, 녀의 혈청 무기질 수준 및 항산화 관련 인자에 미친 영향)

  • Kim, Ae-Jung;Kim, Hyun-Bok;Bang, In-Soo;Kim, Sun-Yeou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2
    • /
    • pp.284-289
    • /
    • 2006
  • Effects of mulberry fruit extract (MFE) on the levels of serum mineral and serum oxidative stress markers on 31 middle-aged humans (16 males and 15 females) supplemented with MFE for 4 weeks were investigated. Contents of mineral per 100 g MFE were 80.66 (Ca), 12.26 (Mg), 6.26 (Fe), 0.05 (Cu), and 4.04 mg (Zn). Relative scavenging activities of MFE and its cyanidin-3-glucoside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were 34 and 85%, respectively, using ascorbic acid as standard. Anthropometry measurements, serum mineral (Ca, Mg, Fe, Cu, and Zn)levels, and serum oxidative stress marker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supplementation of MFE. After supplementation of MF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nthropometry measurements and levels of serum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in males and females, and ferric-reducing ability plasma (FRAP) in males, whereas serum mineral levels (Fe in males, and Fe, Cu, and Zn in females) and serum FRAP levels (both males and females) increased significantly.

Polyphenols in peanut shell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and the evaluation of anti-obesity effects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력에 따른 피땅콩 겉껍질의 최적 추출 조건 확립과 항비만 기능성 평가)

  • Gam, Da Hye;Hong, Ji Woo;Yeom, Suh Hee;Kim, Jin Wo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4 no.1
    • /
    • pp.116-128
    • /
    • 2021
  • Purpose: The extraction conditions for bioactive components from peanut shells, which is a byproduct of peanut processing, were optimized to enhanc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Y1), total flavonoid content (TFC, Y2),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Y3).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besity effect of peanut shell extract. Methods: Optimization of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UAE) was performed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independent variables applied for extraction were time (X1: 5.0-55.0), temperature (X2: 26.0-94.0), and ethanol concentration (X3: 0.0%-99.5%). Quadratic regression model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17 experimental sets, and an analysis of the variance was performed to verify its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regression equations. Results: When evaluating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responses using statistically-based optimiz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with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TPC, TFC, and RSA was the ethanol concentration (p = 0.0008).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o satisfy all three responses were 35.8 minutes, 82.7℃, and 96.0% ethanol. Under these condition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by the extract were 86.4% and 78.5%,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is study, UAE showed superior extraction effici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hot-water extraction in the extraction of polyphenols and bioactive materials. In addition,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s were identified, suggesting that peanut shells can be used as effective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gents in functional foods and medicine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Five Seaweed Species (해조류 5종의 아미노산 조성 및 계통 다양성 비교 분석)

  • Seung Won Son;Hyeyoung Le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4 no.3
    • /
    • pp.145-152
    • /
    • 2024
  • Seaweeds represent a widely harnessed marine resource that are valued for their abundant supply of essential nutrients, particularly proteins and amino acids. In Korea, where over 500 species of seaweed thrive and more than 50 are utilized for culinary purposes, seaweed has become a staple in regular diet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five of the most commonly consumed seaweed species in Korea: Capsosiphon fulvescens, Hizikia fusiforme, Porphyra yezoensis, Saccharina japonica, and Undaria pinnatifida. We closely examined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these five specie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that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and leucine were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in the seaweed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ve seaweed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according to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partially corroborating findings from the phylogenetic analysis. Among various amino acids,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alanine were the primary amino acids driving differentiation. Notably, U. pinnatifida and C. fulvescens, which demonstrated close phylogenetic proximity, exhibited remarkably similar amino acid profiles. Conversely, although P. yezoensis and S. japonica shared a phylogenetic relationship, they displayed distinctly different amino acid compositions. H. fusiforme emerged as a distinct group in both analyses.

식품영양과 콜레스테롤

  • Han, 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49-70
    • /
    • 1995
  • 콜레스테롤은 성호르몬,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D, 담즙산 및 다른 체내화합물에 존재하는 생명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특히 세포막에는 이의 안정적인 기능수행을 위해 일정량의 콜레스테롤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우리의 몸안에는 완전히 음식물의 섭취에 의한 공급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체조직의 온전한 기능수행을 위해 즉시 이용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콜레스테롤이 존재한다. 따라서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음식물을 통해 흡수되는 양보다 일반적으로 훨씬 높다. 매일 우리의 체내에서는 약 1,500mg 정도의 콜레스테롤이 합성되는데, 주로 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소장세포에서도 일부 합성이 이루어진다. 식단(食單)의 구성에 따라 물론 차이는 있으나, 우리가 매일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평균 300~700mg 정도이다 .이중 소장을 통해 흡수될 수 있는 양은 50% 정도에 불과하여 대부분 식사를 통해 흡수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실제적인 의미에서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은 혈액내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항상 정상적인 범위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체내 Feed-back 기작을 유지하고 있다. 음식물을 통한 식이(食餌)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많을 경우에는 이 물질의 장관(腸管)내 흡수율이 낮아지고, 체내 콜레스테롤의 합성량 역시 저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은 음식물을 통한 많은 양의 식이 콜레스테롤 섭취에 대해 효율적으로 보상하는 체내기작을 갖게 되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필요 이상 높아지는 것을 막게 된다. 물로 s이러한 보상작용(補償作用)은 사람에 따라 일정하지는 않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들의 약 60%정도는 하루에 3개 정도의 달걀에 포함되어 있는 양 정도의 콜레스테롤을 추가적으로 보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달걀 이외의 음식물에서도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양을 감안할 때 하루 총 1,000~1,500mg에 해당하는 양이다. 뿐만 아니라 이중 일부 사람들은 일반적인 식단 하에서 6개의 달걀을 추가하여 섭취하여도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다고 한다. 여러 나라에서 아직도 일률적으로 권장되는, 음식물을 통한 일당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최고 300mg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은 건강인에 있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생리적인 피이드-백 기작으로 말미암아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지 못하거나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정상적인 범위인 180~240 mg/dl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건강인에게도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달걀이나 기타 축산물을 이용한 식품의 지속적인 섭취를 적극 피하도록 권장하는 것은 국민보건상 별로 큰 위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로 말미암아 국민 건강상 문제점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연구보고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동물성 콜레스테롤 다량 함유식품인 달걀, 우유, 유제품 및 육류 등의 섭취를 꺼리게 되면 이들 식품들이 영양생리학상 매우 중요한 양질의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중요한 필수 영양소의 공급상태를 뚜렷히 감소시키게 된다. 병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높은 사람은 관상성 심장병의 발병 내지는 심장경색에 의한 사망에 대한 통계학적 위험성이 증가된다. 고콜레스테롤 혈증(청, 중년층의 경우 260mg /dl 이상) 환자중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음식물을 통한 다량의 콜레스테롤 섭취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아진 것이 아니고, 주로 유전적인 콜레스테롤 대사 결함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한다. 이런 환자들의 경우에는 콜레스테롤 및 지방함량이 낮은 음식물만 계속적으로 섭취한다고해서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만족할만한 정도까지 낮출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로 의학적 약물투여에 의한 치료법을 적용한다. 식이성 고콜레스테롤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 있어서는 음식물의 섭취방법을 조절해 줄 필요가 있는데, 가장 효과적인 식이요법은 체중을 정상적인 수준으로 조절하는데 있다. 이러한 환자의 경우는 지방을 통한 열량 섭취량을 총열량의 30% 정도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좋으며, 팔미틴산의 함량이 높은 지방의 섭취는 가능하면 삼가는 것이 좋다. 단순 및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지방의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한 포인트 정도 낮추는데 추가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단순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올리브 기름이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대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는데, 이는 오로지 혈액내 LDL-Cholesterol을 감소시키는 작용에 기인한다. 이에 반해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은 저밀도지단백질 부분 외에도 심장 보호성(心臟 保護性) HDL-부분까지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특수하게 리놀산을 강화시켜 제조한 마아가린이나 이와 유사한 기름을 이용한 리놀산 강화식품의 섭취는 이러한 이유 외에도 일정한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 더 이상 강하게 추천되지 않고 있다. 만일 이러한 식이조절에도 불구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원하는 정도까지 떨어지지 않을 경우, 물론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최저로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시도해 봐야 하나 일반적으로 미미한 정도의 효과만을 가져온다. 유전 및 식이와 관계되는 사항 외에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은 나이, 성별, 스포츠, 흡연, 스트레스 및 음주 등과 같은 요인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다. 물론 현재까지 과도하게 증가된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전체 국민의 사망률을 현저하게 낮추고 평균수명을 연장시켰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단독 식이 요법을 통한 해당 연구들이 현재까지 뚜렷한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약품의 투여로 심장경색 및 이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는 보고는 여러 연구결과들에서 보여주고 있으나, 그대신 다른 질병 및 암에 의한 사망률 역시 동시에 증가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말미암아 콜레스테롤 저하요법에 있어서 본래의 치료목적 이외의 위험성에도 항상 주의해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Web based Logistic Information System(KT-Logis) (웹 기반 통합물류정보시스템(KT-Logis) 개발에 관한 연구)

  • 오상호;김태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b
    • /
    • pp.125-141
    • /
    • 2001
  • In this paper, the current problems of logistics industry in Korea and their possible solutions were discussed. With Korea Telecoms KT-Logis, the supplier and demander of logistics service would not have to invest large sum of money into their computer system. All they need is just a computer with internet connected. What KT-Logis influence on the logistics industry are the following; 1. Many logistics service supplier and demander can do the business on the web with one computer system. 2. This web based computer system does not only work on the office but also apply on the field worker such as delivery personnel or even the forwarder with mobile phone. 3. KT-Logis is an integrated system which cover the broad arrange of logistics management from truck management to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4. Finally, KT-Logis is web based systems which suits for current e-business and mobile environment. In future, more studies should be done to develop more progressive integrated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with 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and supply chain management(SCM).

  • PDF

Legal Issues on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Infectious Disease Data in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감염병 데이터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미국 감염병 데이터 수집 및 활용 절차를 참조 사례로 하여-)

  • Kim, Jae Sun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3 no.4
    • /
    • pp.29-74
    • /
    • 2022
  • As social disasters occur under the Disaster Management Act, which can damage the people's "life, body, and property" due to the rapid spread and spread of unexpected COVID-19 infectious diseases in 2020,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inspection and reporting of infectious disease pathogens (Article 11),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rticle 18),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r vaccination (Article 29), artificial technology, and prevention policy Decision), (3) It was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decision-making in the context of an infectious disease crisis, such as promoting vaccination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damage. In addition, medical policy decisions using infectious disease data contribute to quarantine policy decisions, information provision, drug development, and research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terest in the legal scope and limitations of using infectious disease data has increased worldwide. The use of infectious disease data can be classified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and blocking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management, and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use of information will be more widely made in the context of an infectious disease crisis. In particular, as the serious stage of the Disaster Management Act continues, the processing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sitive information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formation on "medical records, vaccination drugs, vaccination, underlying diseases, health rankings, long-term care recognition grades, pregnancy, etc." needs to be interpreted. In the case of "prevention, management, and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medical practicesThe types of actions are judged based on "legislative purposes, academic principles, expertise, and social norms," but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should be based on the need for data use in quarantine policies and urgent judgment in public health crises. Specifically, the speed and degree of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a crisis, whether the purpose can be achieved without processing sensitive information, whether it unfairly violates the interests of third parties or information subject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quarantine policies through processing sensitive information can be used as major evalu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provision, and use of infectious disease data for research purposes will be used through pseudonym processing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onsent under the Bioethics Act and deliberation by the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and data provision deliberation committee. Therefore, the use of research purposes is recognized as long as procedural validity is secured as it is reviewed by the pseudonym processing and data review committee,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 and the institutional bioethics review committee. However, the burden on research managers should be reduced by clarifying the pseudonymization or anonymization procedures, the introduction or consent procedures of the comprehensive consent system and the opt-out system should be clearly prepared, and the procedure for re-identifying or securing security that may arise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should be clearly def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