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of Nursing Students)

  • 박경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111-117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를 확인하고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다. 2022년 3월15일부터 2022년 4월30일까지 D시에 위치한 일개 간호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디지털리터러시와 자기효능감(r=.394, p<.001), 디지털리터리시와 의사소통능력(r=.567,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디지털리터리시의 하부요인 중 규범준수능력을 제외한 모든 요인은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를 파악하고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한국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KSE-12))

  • 길초롱;성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37-34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Questionnaire (KSE-12)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20년 3원 2일부터 3일 사이에 일개 지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KSE-12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도구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Varimax 직각회전방식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단일요인의 12문항이 도출되었다. KSE-12는 포괄적 대인관계 의사소통능력(GICC)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여(p<.001) 준거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Conbach's α값이 .98로 나타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도구를 사용하여 한국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평가하고 이들을 위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해 나가길 바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Study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09-617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각 요인들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간호대학 3,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27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자료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고 변수들간의 관계는 자기효능감(r=.533, p<.001), 의사소통능력(r=.497, p<.001), 비판적 사고성향(r=.439, p<.001) 모두 임상수행능력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순으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8%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나아가서 이러한 요인들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역할극을 활용한 의사소통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 정신간호실습교육 중심으로 -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Using Role playing : Focused o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um)

  • 조경아;엄미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7-45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실습을 위해 역할극을 활용한 의사소통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함이다. 적용된 프로그램은 실제 실습현장에서 접하기 쉬운 사례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의 한 방법인 역할극을 주요한 교수방법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었다. 역할극을 활용한 의사소통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은 의사소통 지식과 의사소통 수행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교육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 PDF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일치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Intervention Effect of Group Counseling in Improving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ngruent Communication Style among Female Victims of Family Violence)

  • 이종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03-12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the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ngruent communication style of female victims of family violence. A twice-weekly group counseling consisting of 10 sessions was provided to 5 women residing in shelters in Seoul, South Korea from October $19^{th}$ to November $20^{th}$ 2009. This study employed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Jeon Byoung Jae(1974), a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Kim A Young,1997) and a congruency scale(Go Moon Jeong, 2008). The Wilcoxon non-parametric verifica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group counseling sessions. The results reveal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ngruent communication styles.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ion-based Neonatal Nursing Care Educa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심미경;김신향;김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63-571
    • /
    • 2022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을 개발·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의 실험연구로 D시 소재 일 간호대학생 3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3일부터 6월 4일까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 한 학생에 한해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은 3-4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준비, 시나리오 구현, 디브리핑의 총 3단계의 4.5시간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 전·후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간호학 분야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관찰 위주인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박수진;최효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26-4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일개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8일부터 2018년 1월 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사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전조사, 3회기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사후조사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대인관계 정도는 만족함이 75.0%, 전공만족도는 만족 54.4%로 나타났으며,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성향(t=-2.734, p=.007), 의사소통능력(t=-4.237, p<.001)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강혜승;김윤영;이홍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D와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6곳에 재학 중인 4학년 184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IBM SPSS/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능력은 평균 3.60점,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79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3.45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수행능력은 문제해결능력(r=.537, p<.001), 의사소통능력(r=.507, p<.001), 자기효능감(r=.54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수행 능력에 대해 문제해결능력(${\beta}=.283$, p<.001), 자기효능감(${\beta}=.249$, p<.001), 전공 지원동기(${\beta}=.182$, p=.002), 의사소통능력(${\beta}=.176$, p=.016), 대인관계(${\beta}=.101$, p=.082)의 순으로 총 42.8%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에서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에게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 술기 능력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Program Applying Clinical Scenario in Nursing College Students -Centered Self efficacy, Communication Skill, Nursing Skill-)

  • 백경화;하은희;김종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79-489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술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며,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35명과 대조군 46명의 2학년 간호 대학생이었다.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 적용 후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 술기 능력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06, p=.042). 의사소통능력은 실험군에서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28, p=.778). 간호 술기 능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46 4, p=.016). 이에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은 학생들의 임상 상황의 이해를 돕고 간호 술기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다.

하브루타 학습법이 방사선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avruta Learning Method 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of Radiology Students )

  • 나길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009-1015
    • /
    • 2023
  •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의 적용이 방사선과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3년 5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라남도 1개 대학교 방사선과 2학년을 대상으로 방사선기기학을 수강하는 38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을 사용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측정변수에 대한 사전값과 사후값은 기술통계, 하브루타 학습법의 전과 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은 학업적 자기효능감(t=-2.70, p<.001), 학업성취도(t=-2.87, p=.006), 의사소통능력(t=-2.76,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은 방사선과 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학습법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하브루타 학습법의 확대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