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력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34초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 Strengths and Communication Typ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김향수;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00-708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건강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18년 5월 7일부터 5월 28일까지로 총 204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지성적 성격강점과 감성적 성격강점, 의사소통유형 및 이성친구 유무를 예측변수로 대인관계만족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6.57,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대인관계만족도 총 변화량의 45%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강점에 관한 자기인식을 높이는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장애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ommunication Barriers on Nursing Performance in Hospital Nurses)

  • 조정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39-246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장애, 간호업무성과의 정도 및 그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94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 정도는 셀프리더십(r=.59, p=<.001)과 의사소통 장애(r=.35,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셀프리더십(${\beta}=.50$, p<.001), 직위(${\beta}=.15$, p=.011), 의사소통 장애(${\beta}=.16$, p=.014),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변수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설명력은 37%이었다(F=37.95, p<.001).

중년남성의 대인관계 만족도, 의사소통역량,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capacity, and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men)

  • 장정수;최동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62-72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대인관계 만족도, 의사소통역량,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중년남성의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다섯 개의 회사에 재직 중인 중년남성 208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t-test, 분산분석, Pearson's 상관계수 및 위계적 회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남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24.30, p=.000), 의사소통역량(β=.23, t=3.07, p=.002)과 자기효능감(β=.44, t=6.91, p=.000)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59.4%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남성의 의사소통역량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 윤미진;진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61-567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188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9월 5일부터 9월 20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의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 way ANOVA, Pearson's correation coeff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3.54±0.41,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64±0.60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의사소통능력, 학과만족도, 성별로 검증되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0.4%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욱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 of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actice Stress on Practice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 김미자;오현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3-72
    • /
    • 2023
  • 본 연구는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4학년 간호학생 237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실습만족도(r=.2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실습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연계 교육(r=-.13, p<.05)과 음의 상관관계, 의료진과의 갈등(r=.18, p<.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실습스트레스는 실습만족도(r=-.28,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간호학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역할 모델(β=-.43, p<.001), 의사소통능력(β=.23, p<.001), 전공만족도(β=.21, p<.01), 연계 교육(β=.20, p<.05)이었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7.1%이었다. 간호학생의 실습만족도 향상을 위해 실습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모델, 연계교육과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on Major Immersion

  • Suk-Kyong Cho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55-163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전공몰입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전공몰입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도 지역 소재 1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47명으로 자료수집은 2023년 11월 20일부터 12월 1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한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e test,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공감능력은 3.49점, 의사소통능력은 3.64점 및 전공몰입은 3.61점이었다. 전공몰입은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과 의사소통능력으로 설명력은 42.9%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의 방향설정 및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국내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 분석: 비교 사례 연구

  • 조항정;송찬후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16-826
    • /
    • 2008
  • IT 거버넌스(Governance)는 IT 관련 의사결정에 있어서 기업 내부 주체들의 권한과 책임, 의사결정 조직체계와 프로세스, 의사소통 방법, 의사결정 실현 체계, 조정과 통제, 그리고 의사결정에 대한 사후 평가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IT가 기업 경영의 필수 인프라로 인식되고, 기업의 경쟁력 제고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잡으면서 IT 거버넌스의 중요성은 점차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를 분석하였다. 4개의 국내 대기업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들 기업들이 어떤 조직 체계와 과정, 의사소통 체계, 그리고 성과 측정 방법 등을 가지고 IT 관련 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국내 대기업들은 IT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IT 서비스 계열사를 이용하여 IT 기능을 아웃소싱하고 있었으며, IT 관련 최종 의사결정은 IT 전문 조직이 아닌 비즈니스를 담당하고 있는 경영자들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기업들의 IT 서비스에 대한 계약과 성과 측정은 서비스 수준 협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과 균형성과 기록표 등도 널리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대기업 내의 IT 서비스 전문 기업들의 미래 역할 정립과 정부 기관이나 공기업들의 IT 거버넌스 체계 확립에 있어서 벤치마킹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국내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 체계의 효율성 등을 측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스타트업 팀워크와 성과: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의 영향을 중심으로 (Startup Teamwork and Performance Research: the Impact of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 박준기;이혜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01-111
    • /
    • 2016
  • 스타트업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소수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창의석인 성과를 달성하는 소규모 조직이다. 실제 스타트업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갈등을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으로 구분하고,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팀워크의 요소로는 의사소통, 협업, 업무조정과 응집력을 설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스타트업 팀의 성과에 미치는 개별 구성요소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스타트업 팀 14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PLS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과업 갈등은 팀워크에 긍정적인 영향을, 관계 갈등은 팀워크의 일부 요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워크 중 의사소통을 제외한 협업, 업무조정, 응집력은 팀의 성과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조직의 리더 또는 관리자와 구성원을 위한 조직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이론적 기여점을 서술하였다.

  • PDF

원격 촉감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프로토타입 (A System Prototype for Remote Haptic Communication)

  • 차종은;이준훈;류제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38-243
    • /
    • 2006
  • 최근에는 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원격의 사람과 전화, 이메일, 메신저 또는 화상회의 시스템 등을 통해서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이 시스템들은 주로 음성, 그림, 동영상 또는 문자 기반의 시청각 정보를 서로 주고 받으며 자신의 의사 및 감정을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서 시청각 정보 외에 촉감 정보도 서로 의사소통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악수, 포옹 등의 촉감 상호작용은 사람 사이에서 친근감을 표시하는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거나 느낌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촉감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는 의사소통 시스템의 연구는 아직 폭넓게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일상에서와 같이 원격에서도 상대를 바라 볼 수 있고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는 원격 촉감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로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대의 몸 특정 부위를 만질 수 있고 서로 그 촉감을 실시간으로 느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크게 AR 시스템, 그래픽 시스템, 햅틱 시스템, 택타일 시스템의 부시스템들로 나눌 수 있다. AR 시스템에서는 몸의 한 부위에 사각형의 AR 마커를 부착한 원격 사용자를 웹카메라로 촬영하고 ARToolKit 을 사용하여 마커의 위치를 측정한다. AR 마커의 바로 밑에는 택타일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부위를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는 로컬사용자가 자신의 팔을 만지는 느낌을 받게된다. 그래픽 시스템은 로컬사용자에게 촬영된 원격 사용자와 측정된 마커의 위치가 대표하는 원격 사용자의 가상 피부, 그리고 자신의 가상 손가락을 보여준다. 햅틱 시스템에서는 촉감 장치를 사용하여 로컬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구하여 원격 사용자의 가상 피부와 접촉했을 때 그 충돌을 감지하고 접촉력을 계산하여 촉감 장치에 반영함으로써 그 접촉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택타일 시스템에서는 원격 사용자의 AR 마커 밑에 장착된 배열 타입의 진동 촉감 장치에 접촉 정보를 주어 로컬 사용자와 접촉 했을 때 접촉 부위에 진동을 줌으로써 촉감을 느끼도록 한다.

  • PDF

정상 청년층과 노년층의 비유언어 이해 능력: 직유, 은유, 관용어, 속담을 중심으로 (Comprehension of Figurative Language in Young and Old Adults: The Role of Simile, Metaphor, Idiom and Proverb)

  • 김지혜;윤지혜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981-1001
    • /
    • 2016
  • 노년기에는 의사소통의 전체적인 맥락을 해석할 때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단서에 주로 의존하게 되면서, 함축적이고 우회적인 표현인 비유언어를 처리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의사소통 시, 타인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상 청년층 50명과 정상 노년층 50명을 대상으로 비유언어의 하위영역인 직유 은유 관용어 속담 이해 과제를 실시하여 노화에 따른 비유언어 처리능력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제는 제시되는 전체적인 내용과 적합한 비유언어를 보기문항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모든 비유언어 하위 과제에서 더 저하된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노년층은 비친숙한 관용어와 속담 이해과제에서 더 저하된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노년층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 국한하여 문항을 이해하는 양상을 빈빈히 보였다. 노년층은 특정 상황 맥락에 맞게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인 화용언어 능력과 더불어 내포된 의미를 추론하는 능력 및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 같은 표면적인 단서를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로 인하여 일상의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의 내포된 의미를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