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력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32초

중학교 화학에 적용한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의사소통 불안 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ing by Communication Apprehension Level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for Middle School Chemistry)

  • 강훈식;이정순;김경순;전경문;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69-576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의사소통 불안 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를 조사했다. 수 업 전 중학교 3학년 세 학급(N=99)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불안 검사를 실시한 후, 의사소통 불안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했다. ‘화학 반응식의 계수 맞추기', ‘질량 보존의 법칙', ‘일정 성 분비의 법칙' 등에 관한 수업을 7차시 진행한 후,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 및 수업 처치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 시했다. 이원 변량 분석 결과,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의 점수에서 수업 처치와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단순 효과 검증 결과, 의사소통 불안이 낮은 학생들의 경우 이질 집단의 평 균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수업 처치에 대한 인식은 동질 집단에서 긍정적인 경 향이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Empathy,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박정화;정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698-7707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D시에 있는 4년제 2개의 간호대학에 다니는 간호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2014면 9월부터 한 달간 조사하여 21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수행능력은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F=37.010, p<.001) 이들의 설명력은 26.2%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beta}$=.384, p<.001),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beta}$=.283, p<.001) 임상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 (The Relevance betwee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mong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이미라;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7-145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의 상관성과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충청남북도 3개 대학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과 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만족도는 자기효능감(r=.337, p<0.001), 의사소통능력(r=.293, 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도 의사소통능력(r=.634, 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자기효능감, 학점 및 전공만족도였다. 설명력은 19.0%였다. 이에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임상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athy, Communication skills and Resilience on the Adapta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College Student)

  • 김미영;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05-113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3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공감능력은 3.49±.44점, 의사소통능력 3.86±.85점, 회복탄력성 3.63±.56점, 임상실습적응은 3.63±.52점이었다. 대상자의 임상실습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9.9%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ho took Blended Learning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신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392-4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133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차이검증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간호학과 선택동기 순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44.3%이었다. 결론적으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일수 있도록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김은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625-63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가설검증을 위해 G시에 소재하는 일 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3일부터 21일까지 온라인 자가설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여, 최종 104명이 자발적 동의 후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48.62/66점, 의사소통능력은 59.60/75점이었고, 과반수이상이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읽기 수준을 실제보다 높게, 적합한 건강 정보의 읽기 수준은 적정 수준보다 어려워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β=.309, p<.001), 건강정보 이해능력(β=.284, p=.002), 주관적 학업성취도(β=.235, p=.009) 순이었고(F=10.546, p<.001),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추가하여 설명력이 7.3% 증가하였다(F=10.339, p=.002).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제고을 위해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다 체계화된 교육과정의 구성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tress)

  • 박미현;서복남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59-466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A시와 Y시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기간은 2023년 3월 2일부터 3월 9일까지였고, 분석 대상은 13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Process macro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과의존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업스트레스(β=-186, p=.023)는 스마트폰 과의존(β=.226, p=.005)과 의사소통능력(β=-.314, p<.001)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변인별 설명력은 15.4%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낮추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교육하고 자제력을 키울 필요성이 있으며, 학업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중재방안을 마련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1학년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 분석: 과학과 핵심역량 중심으로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Grade 7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 윤도운;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96-2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질의 성질과 물질의 변화 영역의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을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과학적 사고력의 '논리적 사고하기', 과학적 탐구 능력의 '탐구 설계와 수행', '자료분석 및 해석', '모형의 개발과 사용', '결론 도출 및 평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선택하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말 글 그림 기호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사용하기'만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활동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합리적 의사결정'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며 조정하기'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의 평가 문항에도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과학적 사고력의 '논리적 사고하기', '창의적 사고하기', 과학적 탐구 능력의 '탐구 설계와 수행', '결론 도출 및 평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문제 발견하기', '정보와 자료를 수집 및 선택하기', '문제 해결방안 제시하기', '실행하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말 글 그림 기호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사용하기', '증거에 근거하여 논증하기',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과학 기술의 사회적 문제 관심 갖기'만 포함되어 있었다.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긍정심리자본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 최아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29-3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부모-자녀 의사소통, 긍정심리자본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G시의 중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8.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긍정심 리자본,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긍정심리자본 모두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긍정심리자본 변인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별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복원력이 가장 높았고, 희망, 모-자녀 개방적 의사소통, 부-자녀 개방적 의사소통, 낙관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있어 환경적 요인인 부모 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심리적 요인인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도록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긍정심리자본이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정이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5-243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과 직무 만족 간의 관계와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과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의사소통능력과 직무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설문 조사 대상자는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G광역시에 위치한 8개의 노인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255명의 간호사가 참여하였다. 설문 조사는 대상자들이 직접 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긍정심리자본(3.23±.49), 의사소통 기술(3.56±.47), 직무 만족(2.88±.55) 점수를 보였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과 긍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주의와 희망은 의사소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낙관주의는 33%, 희망의 6%의 설명력을 보여 낙관주의와 희망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 만족 효과를 높여 노인요양병원의 간호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긍정심리자본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요소를 지속적으로 찾아내고, 이러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