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착장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의복의 3차원 드레이프 표현을 위한 모델 개발

  • 박종규;강태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65-368
    • /
    • 1998
  • 2차원으로 제도, 재단 과정을 거친 의복 패턴이 3차원의 형상을 갖는 의복으로 만들어져 인체와의 접촉의 결과 생기는 착장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에 3차원 의복 CAD 시스템을 이용하면, 직접 재단 봉제 시착(찰볼)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만들어진 의복의 형상과 착장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3차원 시스템에서는 의복의 자연스런 처짐, 이른바 드레이프(4.ape)를 잘 표현하여야만 실제에 최대한 가까운 의복의 형상을 보여줄 수 있다. (중략)

  • PDF

의복 착장 과정 및 착장 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The Exploratory Study on Daily Grooming Process and Outfit Satisfaction)

  • 이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11-326
    • /
    • 2018
  • The satisfaction of wearing an outfit in daily life can lead to the attitude toward the clothes and further the brand image and repeat purchases; however, satisfaction generated from the moment the outfit was purchased is only temporar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antecedent variables that precede daily outfit satisfaction. In the current study, to understand the antece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aily outfit satisfaction of consum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irteen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s' outfit satisfaction was dependent on a comparison between their prior expec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outfit based on expectation-performance disconfirmation. The outfit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mselves or others. Simultaneously, it was found that the others' opinion on the clothes and surroundings influence daily outfit satisfaction. This research helps deepen the understanding on the individual and social influential factors of the temporary satisfaction from purchase to the satisfaction of actually using clothes. This result ultimately intensifies the understanding on the consumption and evaluation of clothes in the whole life cycle of clothing products from purchase to disposal.

직물의 3차원 드레이프 표현을 위한 모델 개발

  • 박종규;강태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8-261
    • /
    • 1998
  • 2차원 시스템과는 달리 3차원 의복 CAD 시스템을 이용하면, 직접 재단 봉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만들어진 의복의 형상과 착장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3차원 시스템에서는 의복의 자연스런 처짐, 이른바 드레이프(drape)를 잘 표현하여야만 실제에 최대한 가까운 의복의 형상을 보여줄 수 있다.(중략)

  • PDF

온라인 의류 판매를 위한 디지털 의류의 착장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Fitting Simulation System of Digital Garment for Online Retailing)

  • 최란;윤근호;조창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5-518
    • /
    • 2011
  • 본 연구는 3차원 인체 데이터 위에 가상 의류를 착장시키는 착장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현을 소개 한다. 인체 데이터는 3차원 전신 레이저 스캐너로 계측하였으며 가상의류는 의복의 앞뒷면 촬영 영상으로 하였다. 대상 의류는 원피스, 티셔츠, 바지 등과 같은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구조의 의류이며, 본 논문에서는 상의 및 원피스의 착장 과정과 바지의 착장 그리고 바지위에 상의를 착장하는 중첩 착장의 과정을 보여준다. 가상 착장 결과로 실제 착장과 동일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치수가 자신에게 맞는지의 정보와 착장시의 어울림의 정보가 온라인상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제공되며, 디지털 의류의 준비도 간단하여, 본 논문의 결과로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의류 판매 방식이 제시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Clothing for Healthcare Based on Sensing Technology of Vital Signs)

  • 조현이;이주현;이충근;이명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27-232
    • /
    • 2006
  •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pc 를 분산, 부착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연구로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1990 년대 후반 이후 착용자 감성을 고려해 더욱 편안하며, 의복과 유사한 외관을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스포츠, 의료 분야에 적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생체신호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의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예상으로 인해 건강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최근 트렌드를 볼 때, 건강 관리용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생체신호 뿐 아니라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복의 형태와 착용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복 착장 시 생체 신호를 전송,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의복은 심전도, 체온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 호흡량,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기 위치 선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지침' 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착장 시 기기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기의 하중을 최소화 하였다. 의복의 디자인은 센서의 안정된 부착과 활동성,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고려하여 표피의 면적 변화를 고찰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노인, 건강 이상자, 통원 치료자에게 평상시의 건강을 체크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치료의 가능으로 의료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하여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중국 여대생의 겨울철 의복 착장활동에 관한 연구 -항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lothes-Wearing of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Winter)

  • 정화연;정명희;문영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5-14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lothes-wearing of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Hangzhou. By random sampling, a total of 183 Chinese female students in Hangzhou aged between 17 and 24 were used into data analysis from November 20, 2010 to January 20, 2011.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6 questions in to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urpose of wearing clothes in winter, it was found that many female students wore clothes for a "protection purpose" or "ornamental purpose" in winter. As for the question about whether or not underwear was worn in winter, Chinese students answered that more upper underwear was worn than lower underwear. As for the question about the types of outer garments, Chines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ore 3-layered upper garments in winter most. The upper garments worn in winter preferred most was long coat(68.3%). In the survey on the types of accessories, More Chinese students wore mufflers and gloves while less students wore hats and earmuffs.

  • PDF

3차원 가상 착장 시스템을 이용한 체형별 니트 재킷의 맞음새 연구 -30~40대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s of Knitted Jackets According to Body types Using a 3D Virtual Try-On System -Focus on Adult Women in Their 30's and 40's-)

  • 도월희;박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32-1646
    • /
    • 2010
  •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fit preference of the knitted jacket according to body types for 30's and 40's adult women through a comparison of real and virtual fit. A five 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preference of real and virtual fi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ANOVA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17.0.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real and virtual fit preference of the knitted jacket according to body types indicates that respondents preferred pattern 2 for body type N than the rest of the patterns; however, respondents preferred pattern 3 for body type A and H.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al and virtual fit preference. 3. It is necessary that the knitted jacket follow a similar size tolerance like a woven jacket. The results show that the next generation of virtual try-on systems need the development of a minus clothing ease scale.

The Standardization of Graded Sizes through Comparing Bodice Patterns by Draping Method and Studied Flat Pattern Method -Using Replica Body-

  • 심규남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99-403
    • /
    • 2004
  • 대학에서 의류학과 교육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하나 의복구성은 의복제작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의복디자인분야 부터 품질관리에 이르기까지 기본과목으로 되어있다. 의복제작은 인체의 이해에 따른 기본원형의 설계로 시작된다. 기본원형은 활용이 다양하여 모든 종목의 의복 패턴 제작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각 인체 치수에 맞는 사이즈를 등급화하여 초보자라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기본원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초반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입체재단 방법에 의한 기본원형을 제작하여 등급별로 표준화된 치수를 산출하고 연구된 평면재단 방법에 의한 길의 기본원형을 비교 검정하여 적합성을 비교하였다. 석고법에 의하여 제작된 인체모형에서 드레이핑된 기본원형과 연구된 평면재단 방법에 의한 기본원형을 비교 검정한 결과 5단계로 치수를 등급화 하였다. 착장평가 결과 다양한 체형에 만족힌 결과를 얻어 의복구성을 시작하는 초보자들에게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창의적 의복소비행동에 대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Creative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 김우빈;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94-609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xperience of creative dressing tasks influences consumers' perceptions and behavior towards clothing consumption. Consumer creativity can solve several problems in consumption practices; however, few studies have analyzed it in the consumption context. This study adopted an action research method so that consumers could experience creative clothing consumption in their daily live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on eight adults in their 20s and 30s. Participants had to dress creatively 10 times and recorded their creative fashion styles, the ideas they used, and their feelings during the tasks in a consumer diar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regarded the meaning of creative dressing as a 'visually novel, transformative, and hiding the physical flaw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dressing, they showed many creative ideas by expanding the product usages or varying coordination among the fashion items. As a result of the task experience, participants became aware their stagnant fashion style and reflected on shopping habits and low clothing usage-effici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explored creative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step by step from a consumer perspective.

국가별 TED 강연자의 의복선택을 통해 본 수트에서 캐주얼 웨어까지 착용 변화 (Attachment Transition from Suit to Casual Wear via TED Speakers' Clothing-Behavior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 이윤경;윤초롱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6-5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clothing-behavior for the same occasions in terms of a cross-cultural context. It analyzed clothing items worn by TED speakers via video at TED.com in the US, UK, France, Japan, and South Korea from October to December 2012. An analysis on the 233 video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American speakers wore casual items on the top and formal wear on the bottom. Most British speakers wore the same styles on the top and the bottom outfits such as 'formal-top & formal-bottom' or 'casual-top & casual-bottom'. French speakers chose mix and match styles. Japanese and Koreans selected the same styles on the top and the bottom outfits such as 'formal-top & formal-bottom' or 'casual-top & casual-bottom'. In particular, Japanese speakers selected various casual items more than other countries' speakers. Korean senior speakers had a preference to wear more formal clothing and young people liked more casual attachments. This study found that clothing attachments differed by cultural context and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