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 디자인 개발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Clothing for Healthcare Based on Sensing Technology of Vital Signs (생체 신호 측정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 Cho, Hyun-Yee;Lee, Joo-Hyeon;Lee, Chung-Keun;Lee, Myou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27-232
    • /
    • 2006
  •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pc 를 분산, 부착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연구로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1990 년대 후반 이후 착용자 감성을 고려해 더욱 편안하며, 의복과 유사한 외관을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스포츠, 의료 분야에 적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생체신호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의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예상으로 인해 건강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최근 트렌드를 볼 때, 건강 관리용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생체신호 뿐 아니라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복의 형태와 착용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복 착장 시 생체 신호를 전송,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의복은 심전도, 체온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 호흡량,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기 위치 선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지침' 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착장 시 기기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기의 하중을 최소화 하였다. 의복의 디자인은 센서의 안정된 부착과 활동성,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고려하여 표피의 면적 변화를 고찰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노인, 건강 이상자, 통원 치료자에게 평상시의 건강을 체크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치료의 가능으로 의료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하여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ZIGTECHnology" Apparel for Body Shape Renovation of New Senior Life Generation

  • Cha, Su-J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1
    • /
    • pp.157-166
    • /
    • 2020
  • In this study, I tried to develop ZIGTECHnology clothing for renovation that can correct the body shape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aging and delay the change of body shape. Develop and suggest corrective clothing for elderly women with easy movement that can alleviate symptoms and delay changes in body shape by analyzing body types for each symptom, such as bending of shoulders, back and waist caused by aging and diseases such as spinal curvature. As a result of the wear evaluation of the developed ZIGTECHnology clothing designs 1, 2, and 3, in terms of functionality, Design 1 was evaluated as excellent by reducing the back angle by 3.17°, but design 3 was evaluated as the most excellent considering the fit. In the clothing of elderly women, the need for clothing that complements physical shortcomings increases, so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development of body shape relief devices should be made.

Comfort and Body Temperature in Different Fabrics by Sensitivity Assessment (감각평가에 따른 원단의 쾌적감과 피부온도)

  • 전향란;신윤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5-147
    • /
    • 2000
  •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운동복을 만들어 선수들에게 입혀서 운동을 20분간 실시하게 하여 원단에 따라 쾌적감을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피부온도를 4부위 측정하였고 가슴부위에서 의복 내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매 5분마다 주관적인 쾌적감을 신고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제작한 운동복에 따른 쾌적감과 피부온도의 변화와 의복내 온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서 원단별로 쾌적감을 느끼는 피부온도와 의복 내 온도를 찾아내고 운동복의 디자인이나 설계에 적용하여 쾌적한 운동복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 결과 동일한 원단에서 운동시의 쾌적감은 부위별 피부온도가 높을 때 보다 낮을 때에 쾌적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운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의복이 열 평형을 이루기 위해 빨리 열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의복의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기 다른 원단에서는 시간별 감각평가를 비교한 결과 PE/Wool의 원단이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처음 의복을 입었을 때와 운동 중 그리고 운동 후에 피부온도나 의복 내 온도 변화가 적을 때에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 PDF

수술용 가운 착용 만족도에 따른 디자인개발

  • 박상희;최정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4-44
    • /
    • 2003
  • 모든 의복은 최소한의 기능성이 요구되고 신체를 지지하고 신체의 움직임을 허용해야한다. 의복은 이브닝 드레스와 같은 미적인 의복과 미적인 것과 기능적인 요구를 함께 수용하는 비즈니스 수트, 수술가운과 같은 기능성 의복으로 분류된다. 특히 수술가운은 한정된 장소에서 특수한 활동을 가능케하면서 의료진을 보호해야하는 기능을 가져야한다.

  • PDF

Clothing Preference Analysis of Elderly Women for ZIGTECHnology Clothing Development

  • Cha, Su-J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8
    • /
    • pp.89-98
    • /
    • 2020
  •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recognition patterns of elderly women's clothing preferences. For the type 1, knitted materials and natural materials were preferred, and pastel colors were preferred. The type 2 preferred pants that cover the body shape, look young, and have good simple activity. The type 3 was a type in which the waist was treated with a rubber band, the clothes were comfortable to wear and the loose style was preferred. The type 4 was simple and prefers a style with a raised neck and no fasteners, and a clothes that was comfortable to wear. Type 5 was a type that prefers a style that looks important and colorful and youthful in design or color. In order to develop ZIGTECHnology apparel for older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sign that can look aesthetically beautiful while covering the body shapes such as bending of the back and bending of the waist by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older wome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lothing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movement functionality without obstacles to movements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behavior and movement of hands.

Video Ethnography를 위한 컴퓨터 지원 분석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이지현;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65-69
    • /
    • 1998
  • 기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시 다양한 사용자 니즈들이 수집되고 이러한 정보들의 효과적 활용을 위하여 여러 가지 분석방법들이 활용, 개발되고 있다. 그중 Video Ethnography는 특정 시스템 상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행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내의 변화를 비디오를 이용해 저장하고 저장된 상황 의 변화요인을 해석 체계에 의거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는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해 사용자의 자연스 러운 작업의 수행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계획된 실험에서 얻 을 수 없는 시스템에 관한 발견점을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Video Ethnography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사용성 정보들이 총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분석되지 못하고 있고, 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 관리하는데 필요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Video Ethnography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 니즈를 체 계적으로 수집,해석, 관리하는 효과적인 도구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특정한 사용상황에 맞추어 수집 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니즈들은 먼저 컴푸터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과업의 목적, 주변상황,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의 과정을 통해특정 시스템 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도출되고 새로운 디자인 해결안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은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며 추후 제품 개발의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사 용환경에 대한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 PDF

Comparison of Range-of-motion test methods for measuring Clothing Mobility (의복의 기능성 측정을 위한 관절각도법에 관한 비교연구)

  • Kim,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74-138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의 기능성 측정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관절각도측정의 방법들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개발, 이를 기존의 방법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의복의 기능성 측정 및 기능적 디자인 개발에 기여함에 있다. 미국 Kansas 지역의 전문 소방수를 대상으로, 선택된 10가지 실험동작에서의 관절각(range-of-motion)을 computer-aided method, Leighton flexometer, goni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순서는 무작위 순서(random order)로 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3종류의 측정방법(computer-aided method, flexometer, goniometer)이며, 종속변인으로는 선택된 동작에서의 관절각(range-of-motion)이다. 또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측정한 통계처리결과, 각 측정방법들 간에 긍정적이며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성 평가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김병욱;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81-86
    • /
    • 1998
  • 제품의 사용성 평가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의 하나인 비디오 프로토콜 분석(Video Protocol)은 정 보의 질과 양적 측면에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우위에 있다고볼 수 있다. 그러나 비디오 프로토콜 분석 은 많은 물적, 시간적 비용의 투자가 필요한 방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컴퓨터의 정보 관리 기능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해결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에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위한 컴퓨터 지원 시스템 개발' 의 일환으로 사용자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인 개발된 제품의 사용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컴퓨터 지원시스템으로써 컴퓨터를 활용한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용성 평가 비디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사용자 의 기초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사용성평가에 이용되는 제품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성의 다양한 측면 정보를 비디오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정보와 제품정보, 사용자 기초정보를 연관지어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분석된 정보로부터 디자인개선의 컨셉을 도출하는 단계 등에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용성 평가 컴퓨터에서 제어가 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이를 화면에 재생시키면서 관찰자가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에 분석하고 기록할 수 있는 모든 지원 도구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기록이 자동적으로 분석정보로 활용되어 다양한 측면에서 제품의 사용성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석정보를 도표화하고 분석과 정보검출, 정보생성 단계들 간의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 PDF

투명성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아트플라워 기법을 응용하여-

  • 이연희;김영인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72-74
    • /
    • 2004
  • 현대 디자인 분야에는 건축이나 제품, 의복 등에까지 투명성이 디자인의 매우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아름다우면서도 기능성과 견고함을 지닌 투명한 재료들이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투명성 디자인은 현대 디자인의 트랜드인 즐거움과 유희 등을 표현하는 감성 트랜드와 잘 부합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사용자들에게 재미와 즐거움의 가치를 감각적인 부분과 통합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20세기 후반부터 트랜드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명성을 좀 더 재미있고 여성스러운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재해석의 방향을 찾아 패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략)

  • PDF

The Development of Scarves Design by Mixing Lotus Flower Patterns Expressed on Buncheon Pottery and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cloth (분청사기에 나타난 연꽃문양과 전통 조각보를 조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 Jung, Jin-Sou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1 s.63
    • /
    • pp.59-68
    • /
    • 2006
  • Scarf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as keeping warm of human body but also as accessory of clothes. These days with taking a growing interest of accessory, scarf had thrown off a subsidiary part and gradually had a leading place which guides the overall mode of fashion. Because scarf design of Korea does not get out of imitation step of foreign countries bran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carf design which can show the cultural identity and originality of Korea in international society. Therefore in this study, I chose lotus flower patterns expressed on Buncheon pottery and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cloth as the subject material of scarves design development, and my intention for this study is to develop scarves designs of Korean images by adding modern scenes. For that, first I researched lotus flower patterns expressed on Buncheon pottery and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cloth. Among those materials, I selected to had been presented modern image. And by using computer design program of adobe illustrator 10.0 I designed the basic patterns of three types and developed the square scarves design and rectangle scarves design with those.

  • PDF